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반변련]

 

 

맛은 맵고 맛은 달며(辛, 甘),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심,소장,폐(心, 小腸, 肺)이다.

약리작용

1. 이뇨작용

2. 호흡을 늘리고 혈압강하작용

3. 뱀독(코브라)에 대한 방어작용

4. 병원성진균 억제작용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이질, 설사, 습진

②. 유방염, 유방물혹

③. 뱀에 물린데

④. 인후가 부어올라 음식을 삼키지 못하는 경우

⑤. 임질

2. 이뇨소종(利尿消腫)

①. 배전체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

②. 얼굴과 다리가 부어오르는 경우

③. 황달

주의사항 및 독성

임산부에게는 사용하지 않으며,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설사이외에 다른 독성은 발견되지 않음.

하지만, 옛 기록에서는 침을 흘리고, 오심, 두통, 구토, 부정맥과 함께

대량으로 사용할경우 호흡중추 마비로 인해 사망한다고 기록되어 있음

민간에서는 대부분 항암약초로 사용.

배합예

1. +백모근(白茅根): 항암치료

2. +금전초(金錢草): 신장결석

3. +우방자(牛蒡子): 인후염, 인후종양

4. +인진(茵陳): 황달

 

임상보고

1.만기의 흡혈충증에 의한 간경화 복수

각 지방의 보고에 의하면 치료 효과에 대한 평가가 같지 않다.

다수를 관찰한 결과 수염가래꽃 전초는 이뇨 작용을 하고

때로는 하리 작용도 나타나지만 이뇨량에 차이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일부 병례에서 소변량이 전혀 증가되지 않았다.

이뇨 작용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도 다르고

대부분이 1~5일째에 복수가 사라지거나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복수가 사라지거나 줄어드는 것과 동시에 체질을 개선하고 식욕을 증진시켜서

영양이 호전되도록 하며 혈액상을 좋게 하고 간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은

antimon제에 의한 치료 효과와 같다.

그러나 수염가래꽃 전초에 의한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많으며 주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① 식물의 품종이 혼돈되어 있어서 채취 시기가 달라진다.

 

② 식물의 보존 또는 운반이 적당하지 않아 곰팡이가 생기고 변한다.

 

③ 약물의 포제(炮製)가 부적당해서 유효 성분이 고온으로 파괴된다.

 

④ 생체의 상황이 달라진다.

어느 의료 기관의 규정에 의한 수염가래꽃 전초의 임상 지표는

중등도 및 경증의 복수로서 발병 기간이 그다지 길지 않고

체질이 좋으며 악액질을 볼 수 없고 간장이나 신장 기능의 손상이

그다지 심하지 않으며 중증의 혼합증 또는 병발되는 증상이 없는 것이다.

그밖에 일반적인 영양 지지 요법, 저염이나 무염의 식사,

저지방 고단백 식사 등도 무시할 수 없다.

 

 

용법과 용량

수염가래꽃 전초(건조한 것)를 10% 또는 20%의 탕제로 만들어(약한 불에 천천히 달인다)

성인은 매일 10%의 탕제를 300~480ml, 또는 20% 탕제 150~240ml에

당을 가하고 3~4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 기간을 15~20일로 하여 효과가 있을 때는 계속하여 복수가 없어질 때까지 복용한다.

탕액은 신선한 것을 달여 얻은 것이어야 한다.

여름에는 약 4시간 지나면 변질하므로 흔히 엑스나 정제로 만들어 복용하는데,

그 치료 효과는 탕제보다 적다.

100명을 관찰한 결과 복수가 줄어들거나 소실된 유효율이 약 69%였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대부분 합제에 의한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2.뱀에 물린 상처

수염가래꽃 전초를 매일 30~48g씩 약한 불에

30분 동안 천천히 달여서 3회에 나누어 내복한다.

또 한편, 수염가래꽃 전초를 짓찧어 붙이고 1일 2회 갈아 붙인다.

뱀에게 물린 상처 88명을 치료한 결과, 전신 증상은 약 1~2일만에 없어졌고,

국소의 부종은 3~5일에 없어졌으며 평균 5.4일에 모두 치료되었다.

이것은 수염가래꽃 전초가 뱀에게 물린 상처에 대하여 좋은 해독 작용이 있으며

그 효과가 빠르고 더욱이 심한 전신 중독 증상이 있는 환자에 대하여

뚜렷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중약대사전]

 

 

3.미란성 수족선(手足癬) 및 아급성 습진

8%의 수염가래꽃 전초 탕제로 찜질을 하거나 40%의 수염가래꽃

전초 탕제로 발랐더니 바로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조휴]

 

 

맛은 맵고 쓰며(辛, 苦),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으며(小毒)

작용장부는 심,간,폐(心, 肝, 肺)이다.

약리작용

① 진해 작용이 있고 천식을 그치게 하며,

② 정자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③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이질균, 대장균, 뇌막염균 등에 억제 작용이 있다.

주치(主治)

① 열을 내리므로 열로 인한 종기에 단미로 쓰거나 배합해서 투여하고,

② 벌레나 뱀에 물렸을 때에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③ 외상 출혈 또는 어혈성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에 내복하거나 외용한다.

임상보고

1, 만성기관지염

중루(重樓) 뿌리줄기의 껍질을 제거하고 짓찧어 갈아서 가루내어 정제로 만든다.

한 번에 3g씩 하루에 2번, 식후에 복용한다.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여 모두 3단계를 복용하는데

각 단계가 끝날 때마다 3일간 복용을 중단한다.

모두 250명을 치료하였다.

제 1단계의 174명에게서 유효율은 78%였다.

제 2단계의 122명에게서 유효율은 96.7%이고

3치료 기간을 경과한 92명에게서 유효율은 97.3%였다. [중약대사전]

 

2, 신경성 피부염

조휴(蚤休)의 뿌리 줄기를 곱게 가루를 내어 향유(香油)나 식용유(食用油)에 개어서 바른다.

미란되거나 습윤하게 된 병변에 대해서는 가루약을 직접 살포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2~3일의 치료에서 소양증이 멎고 피부 손상도 점차 없어졌다. [중약대사전]

 

3, 외과 염증

조휴(蚤休)의 덩이뿌리로 1ml에 생약 2g을 함유하는 주사액을 만들어

한 번에 2~4ml를 하루에 2~3번 근육 주사한다.

알러지성 피부염, 옹절(癰癤), 봉와직염, 급성 림프절염 27명을 치료한 결과,

치유가 17명, 호전이 6명, 무효가 4명이었다. [중약대사전]

 

p.s:민간에서 전초를 건위제, 강장약으로

신경쇠약, 현훈증, 불면증, 소화불량증 등에 쓰며,

 

뿌리줄기를 소염제, 해열제로 기관지염,

림프결핵, 인후염, 편도염, 유행성뇌염 등에 씁니다.

 

전초와 열매는

구토, 설사, 전신마비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가끔 식용이 가능한 우산나물과 혼동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우산나물은 잎이 톱니처럼 생겼고 삿갓나물은 매끈합니다.

꼭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우황]

 

 

 Bos taurus Linné var. domesticus Gmelin (소과 Bovidae)의 담낭 중에 생긴 결석이다.

Cattle Gallstone이라 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며(苦, 凉)

작용부위는 간, 심장이다.(肝, 心)

약리작용

1. 중추신경에 대한 작용: 항경련

2. 혈관확장, 혈압강하작용

3. 담즙분촉진, 간보호작용

4. 평환근 이완작용

5. 적혈구 증가작용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인후종통(咽喉腫痛): 인후염( 대체약재: 토복령, 현삼, 우방자)

②. 옹(癰): 암종, 식도암, 간암

2. 식풍지경(息風止痙)

①. 외감풍열(外感驚風)

②. 열심발경(熱心發痙)

--> 고열로 인한 경련증상이 나타날 때

3. 화담개규(化痰開竅): 가래를 가라앉히고 거담작용

①. 중풍구금(中風口噤): 중풍에 걸려 입을 벌리지 못하는 경우

②. 열입심포(熱入心包): 경련

-->2번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고열로 인해서 뇌의 기능에 이상이 온 상태에서 나타나는 경련과

근육의 강직을 의미합니다.

배합예

+사향(麝香): 우황청심환에서의 정신이 깨는 기능은 사향에서 얻는다.

기타

전염성 질환 열이 높고 의식이 없고 경련 발작.

만성 간염 간기능 개선. 급성 폐렴과 염증개선.

중풍 의식이 깨어나고 가래를 삭힘.

폐렴으로 열이 나고 기침을 잇달아 하는 경우.

인공우황의 경우도 폐열강하와 거담기능도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판람근]

 

기원식물

숭람(菘藍) Isatis indigotica Fortune (십자화과 Cruciferae)의 뿌리이다.

중국약전에는 남판람근(南板藍根)인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 Bremek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도 기원식물로 수재하고 있다.

*숭람의 잎은 대청엽으로 쓰이고 뿌리는 판람근으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쪽이라 불리는 식물의 뿌리도 판람근으로 사용이 가능할것 같지만

본초강목에 의하면 쪽의 뿌리는 판람근의 용도로는 어렵다는 기록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위,심장이다.(肝, 胃, 心)

약리작용

①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뇌막염쌍구균,

폐렴쌍구균, 인플루엔자균, 이질균의 발육 억제 작용과 B형간염 억제 작용이 있다.

② 해열, 항염작용이 있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대두온(大頭瘟): 열로 얼굴과 머리에 뻘겋게 달아오름 반진과 통증

②. 자시(痄腮): 유행성 이하선염

③. 단독(丹毒): 피부발진, 두드러기

2. 량혈지혈(凉血止血)

①. 비축(鼻衄): 코피

②. 토혈(吐血)

③. 반진(斑疹): 두드러기

3. 이인(利咽): 인후염

①. 풍열인통(風熱咽痛)

②. 울화인통(鬱火咽痛)

*둘다 인후염이라 보시면 됩니다.

배합예

1. +산두근(山豆根): 인후염

2. +현삼(玄參): 고열로 인한 인후염

3. +대청엽(大靑葉): 신종플루

4. +인진(茵陳): 급성, 전염성 간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청엽]

 

식물의 기원

숭람(菘藍) Isatis indigotica Fortune (십자화과 Cruciferae)

요람(蓼藍) Polygonum tinctorium Ait. (여뀌과 Polygonaceae)의 잎

여기서 요람은 식물 쪽을 의미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심장과 위이다.(心, 胃)

약리작용

①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뇌막염쌍구균,

폐렴쌍구균, 인플루엔자균, 이질균의 발육 억제 작용과 B형간염 억제 작용이 있다.

② 해열, 항염작용이 있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단독(丹毒) : 피부발진, 두드러기

②. 자시(痄腮) : 이하선염

③. 후비(喉痺) : 인후염

④. 습열황달(濕熱黃疸): 황달

⑤. 폐옹(癰腫): 폐농양

⑥. 구설생창(口舌生瘡): 구내염

⑦. 이질(痢疾)

2. 량혈소반(凉血消斑): 피부 병독 발반

①. 온사입영(溫邪入營): 고열을 동반하는 피부 종기, 발진, 두드러기

②. 토혈(吐血)

③. 축혈(鼻衄): 코피

① 약성이 몹시 차므로 해열 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외감성으로 인하여 고열이 있거나,

온병(溫病) 초기게 고열 및 신체에 반진이 돋고 정신이 혼몽한 증상에 활용되며,

홍역, 볼거리염, 급성간염, B형뇌염, 인후염 등에도 쓰인다.

② 열독(熱毒)으로 인한 반진과,

피부의 살갗이 벌겋게 되면서 화끈거리고 열이 나는 병증, 코피, 토혈 등에 활용된다.

용량: 8-15g

주의사항

비위가 허약하고 평소 몸이 찬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임상보고

① 소아감기감염증에 1회 4g을 하루 3~6회로 나누어서 복용시키고,

② 급성 인후염, 급성 기관지염, 급성편도선염에 비교적 우수한 반응을 나타냈다.

③ B형뇌염에 1회 3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시킨 지 2~3일 후 해여 작용이 나타났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화지정 - 제비꽃]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작용장부는 심장과 간이다.(心, 肝 )

약리작용

1.결핵균의 성장을 억제시킨다.

2.일정한 해열, 소염작용을 나타낸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정창옹종(疔瘡癰腫): 피부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피부의 화끈거림.

②. 독사교상(毒蛇咬傷): 뱀에 물린데 찧어서 환부에 붙임.

2. 청열이습(淸熱利濕): 눈충혈과 통증에 사용.

임상보고

1.외감성열병에 가미하여 치료하고

2.폐부감염증에 효과가 현저하였고

3.급성편도선염, 종기에도 유효한 반응을 얻고 있다.

p.s: 민간에서는 위암과 후두암에 사용합니다.

산에 가면 주위에 흔하게 볼 수 있는 풀로

효용가치가 많다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민들레 황화지정 포공영]

 

 

맛은 쓰고 달며(苦, 甘), 성질은 차갑다(寒)

작용장부는 간,위(肝, 胃)이다.

약리작용

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뇌막염쌍구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등에 억균작용이 있다.

② 림프 세포의 모세포를 증강시키므로 신체의 면역 기능을 강화시킨다.

③ 담즙 분비 작용 및 간 기능 보호 작용과 이뇨 작용이 나타난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유옹(乳癰): 유선염(+금은화, 연교)

②. 정창(疔瘡): 피부부스럼이나 종기

③. 폐옹(肺癰): 폐농양

④. 장옹(腸癰): 급성 맹장염(+금은화, 목단피, 대황)

⑤. 자시(痄腮):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2. 청열이습(淸熱利濕)

①. 습열황달(濕熱黃疸): 급성간염(+인진, 토복령)

②. 열림삽통(熱淋澁通): 전립선염

③. 열리하중(熱利下重): 이질설사

3. 통리소변(通利小便)

①. 소변폐색(小便閉塞)

②.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이 아예 나오지 않거나 소변을 눌때 불편한 경우

주의사항

비위허약한 사람에게는 주의

배합예

1. +하고초(夏枯草): 유방염

2. +자화지정(紫花地丁): 자궁내종 피부종독

3. +금은화(金銀花): 소염

4. +차전자(車前草): 피부농양

5. +결명자(決明子): 안과질환

6. +과루(瓜蔞): 급성 충수염

 

임상보고

① 소화불량과 습관성 변비에 유효하였고,

② 급성유선염에 화농이 안 되었을 때 신통력이 있다.

③ 급성 요도염에 소염, 이뇨 작용이 있고,

④ 급성편도선염에 매일 120~180그램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였으며,

⑤ 급성인후염에는 달인 물을 목 안에 분무하였다.

⑥ 급성 황달형간염에 일정한 효력을 나타내고,

⑦ 각막이 혼탁하여 물체를 잘 못 보는 증상에도 쓰인다.

⑧ 화상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며,

⑨ 볼거리염에도 생것을 짓찧어 달걀, 설탕을 가미해서 환부에 붙였다.

⑩ 피부에 생긴 사마귀에도 생것을 붙이자 효력이 있었다

p.s: 민들레는 굳이 꽃색을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노란민들레가 외래종이라고는 하지만 국내에 유입된지 매우 오래되어

귀화종으로 평가받고 있고 효능상에서도 큰 차이는 없기에

굳이 흰민들레를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교-개나리]

 

 

맛은 쓰고(苦), 성질은 서늘하며(凉)

작용장부는 심,간,담(心, 肝, 膽)이다.

약리작용

항균작용: 티푸스균,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콜레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연쇄구균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외감풍열 열입심포 번열신혼(外感風熱 邪入心包 煩熱神昏)

①. 외감풍열(外感風熱)

②. 열입심포(熱入心包)

③. 구설생창(口舌生瘡)

④. 인후종통(咽喉腫痛)

2. 소종산결(消腫散結)

①. 통종창독(痛腫瘡毒)

②. 나력영류(瘰癧癭瘤)

3. 청열이뇨(淸熱利尿): 열로 인하여 소변 못 봄

①.습열임증(濕熱淋症)

②. 소변불리(小便不利)

p.s: 위의 세가지 주치에 나오는 여러 증상은 하나의 원인으로 바라보셔야 합니다.

어떠한 원인으로 고열이 발생하면 그로 인한 탈수가 일어나며, 심하면 뇌의 기능이상을

초래하는데 이럴때를 [열입심포]라고 표현했으며, 탈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여러증상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용량

8-15g

금기

피부발진 혹은 수포가 부풀어 이미 터지거나 비위가 허약하여 설사하는 자

배합예

1. +적소두(赤小豆):고열로 인한 탈수로 소변이 나오지 않을때

2. +우방자(牛蒡子):인후염

3. +금은화(金銀花):인후염

4. +패모(貝母): 유방염

임상보고

1.급성신염

2.자반병

3.폐농종

4.망막출혈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