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25. 09:00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곽향(藿香) 약초야 놀자/혼용에 주의해야 할 약초2020. 6. 25. 09:00
728x90
엽(葉)·향(香) 이용 약재, 국산이 더 유리
중국, 광곽향(廣藿香)을 기원식물로 변경
곽향(藿香)은 순형과(脣形科에) 속하는
배초향(배향초, 방아풀·Agastache rugosa (Fisher et Meyer) O. Kuntze)의 지상부 전초(全草)이다.
그러나 중국은 脣形科에 속하는
광곽향(廣藿香,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의 지상부 全草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중국도 80년말 까지는 배초향을 기원식물로 하였으나
90년초에 약전을 개정해 廣藿香으로 기원식물을 바꾸었다.
효능에 있어서 배초향과 廣藿香은 매우 유사하므로
특별한 주의점은 없으나 廣藿香의 경우 수입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이나 관리과정을 고려하면 葉을 주로 약용으로 하고
향을 중요시하는 곽향의 특성상 불리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국내에는 廣藿香과 배초향이 유통되는데,
葉을 약용으로 하는 곽향은 국내에서 자생하고 재배되는
배초향을 쓰는 것이 약효를 내는데 유리할 것으로 본다.
다년생 초본인 곽향은 2년생보다 1년생이 훨씬 잎이 많고 특유의 향도 더 많이 난다.
시중에 유통되는 곽향은 대부분 1년생이며 줄기보다 잎이 많은 약재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1년생 곽향의 가장 어린잎에서는 소엽과 같이 보라색을 띠는 것도 있다. <계속>
정종길(동신대 한의대 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약초야 놀자 > 혼용에 주의해야 할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인진(茵蔯) (0) | 2020.07.03 |
---|---|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소회향(小茴香) (0) | 2020.06.29 |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목통(木通),통초(通草) (0) | 2020.06.22 |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전호(前胡) (0) | 2020.06.19 |
혼용약재 감별 가이드 - 하수오(何首烏)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