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1. 성상 및 용도

 

 

가. 종류 및 분포

당귀는 미나리과(Umbelliferae)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나

일본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참당귀(朝鮮當歸, 土當歸)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부지역에 자생분포하고,

재배는 우리나라 고냉지인 경북 봉화, 영주, 울진, 강원 평창, 홍천, 강릉, 삼척,

태백, 정선, 인제, 충북 제천, 단양, 전북 무주, 충남 태안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당귀는 감숙, 운남, 섬서, 사천, 귀주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일당귀는 일본 북부지역에 야생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을 들여와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충남 금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현재는 일본에 수출할 목적으로 일부재배하고 있다.

참당귀와 일당귀 및 중국당귀는 모두 미나리과의 Angelica속 식물이지만

종이 다르고 외부형태가 다르며,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도 다르다.

나. 주요성분 및 용도

(1) 참당귀 (朝鮮當歸 : Angelicae gigantis Radix)

(가) 주요성분 : Decursin, Decursinol, Nodakenin, α-pinene, Limonene, β -Eudesmol, Elemol 등

(나) 용도 : 자궁기능 조절, 진정, 진통, 이뇨, 비타민E 결핍증 치료작용, 항균 작용, 사하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어서 한방치료약으로 쓰이고,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생뿌리로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

 

(2) 일당귀 (日當歸 : Angelicae Radix)

(가) 주요성분 : Bergapten, Hydropthalid, Valerophenome 등

(나) 용도 : 온성 강장약으로 빈혈치료, 산후진정(鎭靜), 통경약으로 쓰인다.

 

 

 

2. 재배적지

 

가. 기후

참당귀는 우리나라의 어느 지방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나

중, 남부 평야지의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하면 꽃대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재배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재배적지는 7~8월의 평균기온이 20~22℃ 정도인

중북부 산간고냉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며 꽃대도 적게 생긴다.

특히 일교차가 크고 일사량이 많은 곳에서 생육이 잘되고 품질도 좋다.

나. 토양

재배할 땅은 흙살이 깊고 물 빠짐이 좋은 모래참흙이나 참흙이 좋으며,

또한 수분보유력이 좋아야 한다.

모래땅이나 자갈밭에서는 잔뿌리 발생이 많고,

질흙에서는 뿌리의 비대가 잘 안될 뿐만 아니라 수확노력이 많이 든다.

이어짓기를 하면 병충해가 많아지고 수량이 낮아지므로 화본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하도록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 농업기술지(10월호).

__________. 1997. 연구와 지도(5월호).

__________., KBS. 1995. 약초재배(영농공개강좌교재).

__________. 농촌진흥청. 1994. 약초재배(표준영농교본).

작물과학원. 1992~1998. 시험연구보고서(특,약작편).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육성경위

장백도라지는 영남농업연구소에서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전국에서 재래종 및 야생종을 수집하고 계통분리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밀양에서 수집된 계통이 수량성이 높고 균일성이 인정되어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개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밀양, 봉화, 진안, 함양 4개소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였고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 위원회에서 우수성이 인정되어

'장백도라지'로 명명하여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2. 주요특성

가. 생육특성

장백도라지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래종의 꽃이 백색과 청색이 혼합되어 있는데 반해

백색으로 균일하며 잎모양은 재래종과 비슷한 피침형이다.

개화기, 경장 및 경태는 재래종과 비슷하나 재래종보다 뿌리가 길고 굵다.

 

<표 1> 생육특성

계 통 명

개화기

(월.일)

화 색

경 장

(cm)

경 태

(mm)

근 장

(cm)

근 태

(mm)

지근수

(개/주)

장백도라지

YCC 2

7. 21

7. 21

청백 혼합

81.6

81.1

5.6

5.3

21.0

20.4

21.0

19.9

3.4

3.4

 

나. 품질특성

장백도라지의 조사포닌과 Platycodin D의 함량은 YCC 2보다 적었으나 엑스함량은 YCC 2보다 많았다.

 

<표 2> 품질특성 (2년근, 밀양)

품종 및 계통명

엑스함량(%)

조사포닌 함량(%)

Platycodin D 함량(%)

장백도라지

YCC 2

38.4

36.1

3.686

3.849

0.072

0.086

 

다. 수량성

밀양, 봉화, 진안, 함양 4개소에서 1999년~2002년까지 4개년간

3회에 걸쳐 실시한 지역적응 시험에서 2년생의 10a당 건근 수량은 324㎏으로

재래종 285kg 대비 14% 증수하였으며,

생근 수량은 1,405kg으로 재래종 1,235kg인 YCC 2 대비 14% 증수하였다.

 

<표 3> 시험지별 장백도라지의 건근수량 (kg/10a)

계 통 명

년 도

영농연 밀양

경북 봉화

전북 진안

경남 함양

평 균

지 수

장백도라지

'99~'00

'00~'01

'01~'02

253

261

394

269

459

666

328

250

572

-

200

92

283

293

431

 

평균

303

465

383

146

324

114

YCC 2

'99~'00

'00~'01

'01~'02

233

223

304

250

439

632

272

252

397

-

174

108

252

272

360

 

평 균

253

440

307

141

285

100

 

<표 4> 시험지별 장백도라지의 생근수량 (kg/10a)

계 통 명

영농연 밀양

경북 봉화

전북 진안

경남 함양

평균

지수

장백도라지

1,536

2,044

1,409

631

1,405

114

YCC 2

1,258

1,933

1,160

588

1,235

100

 

3. 적응지역 : 전국

 

 

4.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본 품종은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나

주야간 기온의 일교차가 큰 지역이 수량이 높아 유리하며,

소립종자이므로 입모의 확보에 유의하고 습해에 약하므로 배수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영남농업연구소 전특작과 053-350-1210

:
Posted by 약초세상
2020. 2. 27. 09:04

부처손 산림청 자료/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2020. 2. 27. 09:04

728x90

 

 

부처손-부처손과(Selaginellaceae)

건조한 바위 겉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잎이 없이 줄기와 뿌리가 뒤엉켜 줄기처럼 형성된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4줄로 밀생하고 난형이며 끝이 실 같은 돌기가 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낭 이삭은 잔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네모가 진다.

학명: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분포: 한국(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대만, 몽골, 자바, 필리핀

약재명: 권백(卷柏)

이용: 전초를 봄과 가을에 채취하나, 봄에 채취한 것이 더 좋다.

효능: 복통, 월경이상, 지혈, 타박상, 탈항, 토혈, 토혈각혈, 통경, 폐기천식, 폐암, 하혈, 혈뇨, 혈변, 혈폐, 활혈

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散劑)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가루로 하여 상처부위에 사용한다.

'산림청 자료 > 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새  (0) 2020.04.11
쇠뜨기  (0) 2020.03.27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식물명 고본(산형과 Umbelliferae)

*생약명 : 고본(藁本)

*학명 및 식물기원 :

고본 Angelica tenuissima Nakai (=Ligusticum tenuissimum Kitagawa),

중국고본(中國藁本) Ligusticum sinense Oliv.

또는 요고본(遼藁本) Ligusticum jeholense Nakai et Kitagawa

*이용부위 : 뿌리

2. 식물의 성상

 

가. 재배식물의 성상

고본은 다년생초본으로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60~80cm, 굵기 10mm, 마디수 8개 전후로,

아랫부분은 암자색, 윗부분은 녹자색을 띤다.

잎은 뿌리에서 올라오는 근생엽(根生葉)과 줄기에서 나오는 정상엽(正常葉)이 있다.

 

줄기의 잎겨드랑이(葉序)에서 4개정도의 가지가 발생하고,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꽃이 핀다. 꽃은 양성화로 꽃밥은 농자색이고 수술 5개, 암술 1개이다.

꽃잎은 총 5개로 크기는 2.5×2.5mm인데 가운데 가장자리에서 깊이 1mm의 홈이 파져 있다.

과실은 분과(分果)로서 10월 중하순경에 성숙하여 암갈색을 띠고

쌍현과(雙懸果)의 모양은 타원판과 같으나 분과는 긴 반타원형이다.

뿌리는 비대하면 직경이 20mm 이상이나 되는 것도 있다.

외피는 암갈색이고 속살은 황갈색의 점이 있다.

 

나. 주요 성분 및 용도

고본의 뿌리에는 주로 리구스티리데콜(ligustilidecol), 센큐노리드(senkyunolid),

뷰티리덴프싸리드(butylidenphthalide) 등의 정유성분이 들어있다.

종자에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프란고라린(prangol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진통작용,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한방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본은 향기와 색소가 좋아 술이나 차로 개발, 이용할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3. 재배환경

가. 기 후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기 때문에 중북부의 산간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중북부평야지에서 고랭지까지 재배 범위는 비교적 넓다.

나. 토 양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으며, 물빠짐이 좋은 식양토~사양토가 적당하다.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뿌리가 썩기 쉽고 토심이 얕거나 모래땅에서는

잔뿌리의 발생이 많고 뿌리 비대가 저하되어 수량성이 낮다.

연작을 싫어하므로 화본과 작물과 윤작재배를 하는 것이 좋다.

4. 재배법

가. 품 종

주로 자생되고 있는 고본의 뿌리를 채취하여 이용하다가 재배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육종기관에서 육성 보급된 품종은 없고

자연생 종자를 채취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재배기술

본 밭에 직접 종자를 파종하는 직파재배와

묘상에서 묘를 길러 본 밭에 옮겨 심는 육묘이식재배법이 있다.

직파재배는 생력화는 되지만 수량성이 낮고 규격품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육묘이식재배로 2년생 근으로 수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채종 및 종자처리

 

가) 채 종

종자는 병해충이나 다른 재해를 받지 않은

건실한 3년생 포기에서 성숙된 종자를 채취하는 것이 좋다.

2년생에서도 추대가 되어 종자가 맺히는 것도 있지만 건실하지 못하므로 피한다.

10월 중하순경 잘 여문 종자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11월 초순에 파종하거나 노천매장(露天埋臟)했다가 봄에 일찍 파종한다.

 

나) 종자처리

종자는 건조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발아까지 기간이 길뿐만 아니라 발아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채종 후 즉시 가을파종을 하거나 종자를 가는 모래와 섞어서

물빠짐이 잘되는 장소에 충분히 물을 주고 묻어 놓았다가 얼음이 풀리면 꺼내서 파종한다.

채종 후 상온에서 이듬해 봄까지 보관한 종자는 흐르는 물에

3~4일간 침지하여 축축한 상태로 냉장고(2~5℃)에서

48시간 이상 저온처리한 후 파종하면 발아율이 높아진다.

2) 모기르기

가) 육묘상 만들기

육묘상은 비교적 물빠짐이 좋고 수분유지가 잘되는 곳으로 물관리가 편리해야 좋다.

묘상은 본포 10a당 약 30㎡ 정도로 하여 33㎡ 완숙퇴비 50kg과

토양살충제를 뿌린 후 깊이갈이를 하여 전층시비가 되도록 하고

너비 1.2~1.5m의 넓은 두둑을 만들고 흙을 잘 부수면서 평탄 작업을 한다.

나) 파종시기

파종은 10월하순~11월상순에 할 수 있으나

가을에 파종하게 되면 땅이 얼었다가 녹으면서 종자가 땅위로 드러나서

말라죽는 것이 많으므로 짚으로 두껍게 피복하였다가 싹이 나올 때 걷어주는 것이 좋다.

봄 파종은 3월하순~4월중순에 하는데 지역에 따라 해빙과 동시에 하는 것이 유리하다.

만약 파종이 늦어지면 묘의 생육이 충실치 못하여 정식 후 활착이 늦고 수량성도 떨어진다.

다) 파종량 및 파종방법

파종량은 30㎡에 약 3ℓ 정도 파종하면 10a에 심을 수 있는 묘를 생산할 수 있다.

파종방법은 흩어 뿌리거나 줄뿌림으로 한다.

흩어뿌림을 고르게 잘 해주는 것이 줄뿌림보다 묘의 생육이 고르게 되므로 유리하다.

종자를 파종한 후에는 상토나 잘 썩은 부엽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고 짚이나 건초를 덮어 건조를 방지한다.

만약 가뭄으로 건조피해가 우려될 때는 물을 준다.

라) 묘상 관리

추대율이 낮고 품질이 우수하며 수량성이 높은 중묘를 많이 생산하려면

토양의 비옥도가 중간 정도의 밭에 웃거름을 주지 않고 묘를 약간 베게 심어야 한다.

거름을 지나치게 많이 주면 줄기와 잎이 무성해지고 개체 간 생육차이가 커지는데,

묘가 큰 대묘를 정식하면 추대하기 쉽고, 소묘는 활착이 불량하여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량도 크게 낮아진다.

본엽이 2~3매 정도 될 때 너무 밴 곳은 솎아 주고

김매기를 해서 잡초와 경합되지 않도록 해준다.

마) 묘의 선별 및 가식저장

가을에 묘의 지상부 잎이 시들면 즉시 캐내어

대묘(직경 0.8cm 이상), 중묘(직경 0.5~0.7cm), 소묘(직경 0.5cm이하)로

선별 구분하고 20~30개를 한 단으로 묶어서 땅속에 가식 저장하였다가

가을이나 다음해 봄에 묘의 크기에 따라서 정식하면 관리에 편리하다.

3) 정식

가) 정식 시기

고랭지에서는 4월상순에 땅이 풀리는 대로 곧바로 심는 것이 좋으나

중산간지에서는 늦가을(11월상순경)에 심는 것이 좋다.

정식은 흐리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을 택하여 심고 심을 때

묘가 마르지 않도록 해서 활착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나) 정식 방법

재식거리는 줄 사이 30cm 간격으로 깊은 골을 치고 포기사이는 10cm 간격으로 심는다.

묘는 크기별로 구분하여 중묘를 한개씩 심고 묘가 부족하면 소묘를 심는데 2개씩 심는다.

대묘는 가능하면 심지 않는 것이 좋다.

정식할 때는 묘두(苗頭)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어주고

가볍게 눌러주어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수분유지가 잘된다.

가을에 심을 때는 비교적 흙을 두껍게 덮어주어야

동해를 적게 받고 안전한 월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봄에 심을 때는 엷게 덮어주어야 싹이 곧바로 땅위로 올라와 생육도 잘 된다.

다) 거름주기

거름은 심는 거리, 토양, 기상환경 등에 따라 다른데,

10a당 퇴비 1,500kg, 질소 4kg, 인산 6kg, 칼리 6kg을

밭갈이 전에 밭 전면에 골고루 뿌린 후 경운한다.

추비는 6월중순과 8월상순에 준다.

추비 시에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골 사이를 파고 뿌린 후

묻어 주어야 비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10a당 추비량은 질소비료 2kg 정도가 알맞다.

5. 병해충 방제

병해에는 흰가루병, 노균병이 발생되고 충해는 토양선충이 발생된다.

토양선충은 뿌리에 기생하여 뿌리혹을 형성하면 품질이 나빠지고

뿌리 비대도 저해되어 수량이 감소된다.

방제법으로는 화본과 작물과 윤작재배를 한다.

선충, 흰가루병, 노균병은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한다.

(등록약제 확인경로 : 농사로 → 농자재 → 농약 → 농약등록현황)

6. 수확 및 조제

수확은 정식을 한 당년 가을, 줄기와 잎이 누렇게 변한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하는데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수확해서

흙을 털고 지상부를 잘라버린다.

수확한 뿌리는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리는데 비나 이슬을 맞지 않도록 한다.

어느 정도 마르면 뿌리를 곧게 펴고 잔뿌리는 적당한 크기로 묶어서

다시 건조기에 넣고 60℃이하의 온도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7. 생약의 특성 및 품질

이 약은 고르지 않게 갈라진 긴 원주형이고

길이 5~9cm, 지름 7~20mm,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다.

바깥면은 회갈색~갈색이고 질은 단단하다.

꺽은 면은 황백색이며 꺼칠꺼칠하고,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도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다.

순도 : 잔경과 그 밖의 이물이 8.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건조감량 : 11.0% 이하

회분 : 9.0% 이하

산불용성회분 : 3.5%이하

정유함량 : 0.3ml, (50g), 물엑스 18.0% 이상,

묽은 에탄올엑스 21.0% 이상

등급 : 겉이 밝은 갈색이며 꺽은면의 중심부에 황색점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羌活)

- 식물명 : 강활(산형과 Umbelliferae)

- 생약명 : 강활(羌活)

- 학명 및 식물기원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또는 중국강활(Notopterygium incisum Ting),

관엽강활(Notopterygium forbesii Boissier)

- 이용부위 : 뿌리줄기 및 뿌리

 

가. 식물의 성상

 

(1) 재배식물의 성상

[강활 - 꽃과 줄기]

 

 

강활은 다년생 숙근 초본식물로 줄기가 곧게 자라서

키가 1~2m 정도 되며 멧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根生葉)의 잎자루는 적자색이고

잎은 어긋나며 2회 3출엽이다.

갈라진 잎 조각은 난상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이가 빠진 톱니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복산형화서(複散形花序)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피는데

10~30개의 소산경(小散莖)으로 갈라져 8~9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꽃잎은 5개이며 수술도 5개이다.

수술이 먼저 성숙해서 타화수정을 하며 종자는 9~10월에 익는다.

모양은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둘레에는 날개가 있다.

뿌리는 직근성이며 짧고 굵다.

그러나 꽃대가 올라오면 뿌리의 저장양분이

꽃대로 이동하면서 목질화되어 한약재로 사용할 수 없다.

 

(2) 동속식물

 

강활에는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중국강활(Notopterygiumincisum Ting),

관엽강활(N. forbesii Boissier), 천강활(N. franchetii Boissier),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Chung)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활이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다.

중국강활과 관엽강활, 천강활은

중국의 사천, 감숙, 운남 등의 산에 자라고

우리나라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지리강활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산에 분포하며,

뿌리는 굵고 흰 즙이 들어 있고 약간 악취가 나며

독성이 있어서 약으로 쓰지 못한다.

 

(3) 주요성분 및 용도

 

강활의 뿌리에는 리모넨(Limonen), 크레졸(0-cresol),

알파-피네네(α-pinene)등의 정유성분과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e),

옥시퓨시다닌(oxypeucedanine), 오스톨(osthol) 등의

쿠마린(Coumarin)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발한해열작용(發汗解熱作用), 진통작용(鎭痛作用),

항균작용(抗菌作用)이 있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진경(鎭痙), 진통, 신경통에 쓰이고 있다.

 

나. 재배환경

 

(1) 재배적지

 

(가) 기후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강원도를 비록한 중북부지역의 준고랭지~고랭지가 재배적지이다. 남부 평야지에서는 한여름에 하고(夏枯)현상을 일으키므로 재배하기 어렵다.

 

(나) 토양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은 사양토~식양토가 좋다. 약간 그늘진 곳이 좋으며 남향이거나 습기가 적은 곳은 생육이 불량하기 쉽다. 그러나 토양이 배수가 불량해서 과습하게 되면 뿌리가 썩는다.

 

다. 재배법

 

(1) 채종

 

종자 채종포는 서북향으로 배수가 잘되며

수분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사양토~식양토를 선택한다.

9월 중하순경에는 대부분의 종자가 결실되므로

종자가 떨어지기 전에 베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자를 털어서 정선한다.

정선된 종자는 다시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이봉지나 마대에 넣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파종용 종자로 쓴다.

(2) 재배양식

 

본밭에 바로 종자를 뿌려서 재배하는 직파 재배와

묘판에서 1년간 육묘한 후 본밭에 옮겨 심는 육묘이식 재배가 있다.

그리고 뿌리 정단부의 노두(蘆頭)를 가을에 수확해서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심는 방법도 있다.

직파재배는 1년간 재배해서는 규격품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2년간 재배하는데 이 경우 재배환경에 따라 추대가 많아지면

수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육묘이식 재배에 비해 생산 노력은 적게 든다.

육묘이식 재배는 파종, 육묘, 이식 등의 노력비가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이식하기 전에 뿌리가 가늘거나 또는 지나치게 굵어

추대될 우려가 있는 묘는 골라내고 심게 되므로 뿌리가 크고

잔뿌리 발생이 적어 상품성이 높고 수량도 높아 소득에서 가장 유리한 재배법이다.

 

(3) 육묘이식재배

 

(가) 묘 기르기(育苗)

묘상 준비는 배수가 잘되고 수분이 적당한 사양토나

식양토를 택하여 서북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묘상면적은 본포 10a당 33㎡ 정도가 필요하다.

육묘상은 뿌리가 잘 자라도록 깊이 갈고 정지작업을 한 다음

폭 1.2~1.5m 정도의 두둑을 동서로 깊게 만든 후

약간의 비료와 토양살충제를 뿌린 다음 흩어뿌림이나 줄뿌림을 한다.

묘는 지나치게 크면 본포에서 추대가 많아지고

수량이 떨어지므로 적당한 크기의 묘를 생산해야 한다.

묘가 클수록 추대율이 증가하므로

직경이 0.5cm 정도의 묘를 많이 생산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비옥도가 중 정도인 묘상에는 거름을 줄 필요가 없으나,

묘상이 척박하면 퇴비를 33㎡당 40kg 정도 뿌려주고

생육상태에 따라 화학비료를 약간 준다.

묘상 파종은 가을에 채종 후 축축한 모래와 섞어서

노천매장 했다가 파종하는 것이 출아율이 높다.

노천매장하지 않고 건조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발아가 고르지 못하므로 종자를 2~3일간 흐르는 냉수에

침종하였다가 물기를 뺀 다음 48시간 정도 저온처리(2~5℃)하여 파종한다.

파종 시기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이 적기이다.

이 시기에 파종이 어려우면 이듬해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량은 33㎡에 6ℓ(1.0~1.2kg) 정도가 적당하다.

파종은 상면에 고르게 종자를 흩어 뿌린 후

체로 친 부드러운 부엽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은 다음 짚을 덮고 물을 충분히 뿌린다.

복토가 깊거나 흙이 단단하면 싹이 트지 못하고 썩어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파종 후 싹이 나기 시작하면 덮어 주었던 짚을 즉시 걷어준다.

싹이 많이 올라올때까지 그대로 두면 도장하고

짚 사이로 새싹들이 끼어들어 짚을 걷어줄 때 어린싹이 손상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잡초는 생육초기에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제초작업이 늦어져 잡초가 크면 풀을 뽑아줄 때 주변 묘도 뽑힐 염려가 있다.

솎음은 아주 심하게 밴 곳만 조금씩 해준다.

 

(나) 정식

묘선별은 묘상파종 당년 가을 10월 중하순에 종근을 파내어

흙을 털고 묘의 크기에 따라서 대묘(묘 직경 0.9cm 이상),

중묘(묘 직경 0.6~0.8cm), 소묘(묘 직경 0.5cm 이하)로 구분하고

소묘와 중묘를 정식한다.

묘는 크기별로 심는 것이 관리하기 편하며,

대묘는 추대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심지 않는 것이 좋다.

정식은 가을에 정식할 경우는 가능하면 묘를 굴취한 후

바로 심어서 뿌리가 활착된 후 월동시킨다.

봄에 정식할 경우는 20뿌리씩 묶어서 저장했다가

3월 하순~4월 상순에 심는다.

심는 거리는 토양의 비옥도, 위치, 시비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이랑 너비 45cm, 포기 사이 20cm로 한다.

골을 깊이 파고 1포기씩 세워서 심는데,

아주 작은 묘(묘 직경 0.3cm 이하)는 2개씩 심는다.

뿌리 끝이 구부러지게 심으면

뿌리가 제대로 뻗지 못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와 품질이 떨어진다.

가을에 심을 때는 흙을 약간 두껍게 덮어주고

가볍게 눌러주어 서리의 피해를 막아주도록 한다.

 

(다) 거름주기

본밭의 시비량은 10a당

질소 4kg, 인산 8kg, 칼륨 4kg, 퇴비 1,000kg 정도로 한다.

퇴비, 인산, 칼륨은 전량 밑거름으로 전층 시비한다.

그러나 질소비료를 밑거름으로 주거나

5~6월에 일찍 웃거름으로 많이 주면 지상부 생육이 무성하고

꽃대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전량 웃거름으로 나누어 준다.

초기 생육을 억제시켜 추대를 줄이고

8월 초순 이후에 질소질비료를 생육상태에 따라서

2회로 나누어 주어 뿌리의 비대 생장을 돕도록 한다.

 

(4) 본밭 관리

 

새싹이 어느 정도 올라온 후 김매기를 겸해서 배토해 주고

헛골에는 제초제가 식물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서 뿌려준다.

7월 초부터 8월 초까지 꽃대가 발생하여 꽃이 피게 된다.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면 뿌리가 목질화(木質化)되어

약재로 쓸 수 없게 되므로 꽃대는 발견 즉시 제거해 준다.

 

라. 병해충 방제

 

강활의 병해충은 아직 크게 문제되지 않고 있으나

뿌리썩음병과 토양해충(거세미, 굼벵이) 등의 피해가 가끔 나타나고 있다.

방제는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한다.

(등록약제 확인경로 : 농사로 → 농자재 → 농약 → 농약등록현황)

마. 수확 및 조제

 

(1) 수확

 

수확은 정식 당년 가을 10월 말~11월 초에 지상부를 베어내고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해서 수확한다.

수확한 뿌리는 흙을 털고 물로 세척하여 햇볕에 건조시킨다.

 

(2) 조제

 

햇볕에 반 정도 건조되어 부드러워지면

잔뿌리를 아랫부분의 원뿌리와 함께 모아 보기 좋게

구부려 형태를 잡은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품질이 좋은 상품의 강활은 수분함량이 12% 이하이고,

부드러우며 겉은 황갈색, 속은 황백색이다.

또 길이 20cm, 직경이 3cm 이상인 것이 상등품이다.

등외품은 별로도 포장하여 출하해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

 

바. 생약의 특성과 품질

 

(1) 특성

 

가루 1g에 에텔 10㎖를 넣어 상온에서 침출한 액은

자외선을 쪼일 때 강한 형광을 나타낸다.

강활은 방추형의 주근과 여러 개의 곁뿌리로 이루어지고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으며

그 둘레에 자색의 측아가 2~5개 붙어 있다.

길이 15~30cm, 지름 2~5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군데군데 잔뿌리 자국이 남아 있다.

꺾은 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은 엷은 황색이고

목부는 황색이며 갈색의 형성층이 뚜렷하다.

횡절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 아래 후각조직이 있고

수지도가 동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관은 방사상으로 발달되었으며

모든 유조직에는 전분립이 들어 있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달고 시원하며 뒤에는 조금 쓰다.

중국강활은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원추형으로

길이는 3~10cm, 지름이 0.5~2.0cm이다.

때로는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다.

표면은 황갈색~암갈색을 띤다.

뿌리줄기의 꼭대기에는 약간 원형의 줄기 흔적이 있고,

때때로 짧은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으며,

표면에는 도드라진 마디가 있고 마디 사이가 보통 짧다.

마디에는 혹 모양의 뿌리 흔적이 있다.

뿌리의 바깥 면에는 조잡한 세로의 주름 및 혹모양의 잔뿌리 흔적이 있다.

질은 가볍고 약간 약하여 쉽게 끊어진다.

횡절면은 방사상의 갈라진 무늬가 있고 피층은 황갈색~갈색이며

목부는 담황색~엷은 회황색을 띠고 수부는 회백색~담갈색을 띤다.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 및 수부에 갈색의 가느다란 유점(油點)이 있다.

특이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시다가 뒤에는 약간 맵고 알알하다.

관엽강활은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뿌리줄기는

원주상이고 위쪽 끝은 줄기 및 엽초의 흔적이 나와 있으며

뿌리는 원추형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이 있다.

표면은 갈색이고 뿌리줄기 가까운 곳에는

비교적 치밀한 환형 무늬가 있다.

길이는 4~13cm, 지름은 0.6~2.5cm이다.

어떤 것은 뿌리줄기가 거칠고 크며 불규칙한 결절상으로

위쪽 끝에는 여러 개의 줄기 기저부가 있고 뿌리는 비교적 가늘다.

뿌리는 쉽게 꺾인다.

절면은 약간 평탄하며 껍질은 엷은 회흙갈색이고 목부는 황백색이다.

맛은 약간 쓰고 비교적 담백하다.

 

(2) 품질

 

○ 순도 : 잔경 및 그 밖의 이물이 5.0% 이상 섞여 있지 않음

○ 건조감량 : 12.0% 이하

○ 회분 : 10.0% 이하

○ 산불용성회분 : 2.0% 이하

○ 정유함량 : 0.2㎖ 이상 (50.0g)

○ 엑스함량 : 묽은 에탄올엑스 20.0% 이상

○ 수량은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약 15~68% 증가하였으며,

종근 크기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구분 : 육성품종

 

2. 육성내력

가. 종간교잡 : 2006년 (♀ Glycyrrhiza glabra × ♂ G. uralensis)

나. 증식 및 특성 검정 : GGU06 - 25, 2009~2011년(3년)

다. 생산력검정시험 : 2012~2013년(2년)

라. 지역적응시험 : 2014~2015(2년, 4개소)

마. 육성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

바. 육 성 자 : 이정훈, 박춘근, 김영국, 이상원, 정진태, 이윤지, 허목, 안태진, 차선우

 

3. 주요특성

가. 초형은 직립형이며, 잎의 형태는 타원형, 잎의 색깔은 녹색 임

나. 뿌리는 굵고, 표피색은 적갈색, 심부색은 백색 임

다. 근장, 근경, 지근수가 많아 만주감초(대비종)보다 수량이 높음

라. 대비종인 만주감초에 비하여 조기낙엽, 갈색점무늬병과 도복에 강함

 

4. 적응지역

- 전국의 평야지(산간고냉지 제외)

작물명

계통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감초

GLYES9호

 

 

 

5. 재배상 유의점

- 배수가 잘 되고 기후가 온난한 평야지에 재배 하여야 함

 

6. 보완을 요하는 특성

- 갈색점무늬병 저항성 보완

7. 시험성적

가. 고유특성

○ 초형은 직립형이며, 잎의 형태는 타원형, 잎의 색깔은 녹색 임

○ 뿌리는 굵고, 표피색은 적갈색, 심부색은 황백색 임

○ 뿌리껍질이 두터우며, 뿌리내부의 유관속이 잘 발달 되어 있음

(‘15, 원예원 지적)

계통명

초형

엽형

엽색

뿌리 색깔

뿌리형태

피부

심부

껍질

유관속

GLYES9호

직립형

장타원형

녹색

적갈색

황백색

두터움

발달

만주감초

(대비종)

반포복형

둥근

타원형

녹색

적갈색

연황색

얇음

미발달

 

나. 가변특성

○ 초장이 길고, 분지수가 많으며, 줄기가 굵어 도복에 강함

○ 근장, 근경, 지근수가 많아 만주감초(대비종)보다 수량이 2배 이상 높음

(’14~’15, 원예원 지적)

계통명

초장

(㎝)

경경

(㎜)

분지수

(개)

근장

(㎝)

주근경

(㎜)

지근수

(개/주)

건근중

(g/주)

수량

(kg/10a)

지수

GLYES9호

90.7

8.2

11.6

58.75

15.9

4.35

117.5

431.5

193

만주감초

(대비종)

60.3

7

7.8

53.8

14.6

3.4

54.9

213.7

100

 

 

다. 병해충 및 도복 저항성

○ “만주감초”에 비하여 갈색점무늬병과 도복에 강함

(’14~’15, 원예원 지적)

처 리

병충해(0-9)

도복

(0-9)

갈색점무늬병

근부병

응애

GLYES9호

1

0

1

1

만주감초

(대비종)

3

2

3

7

0 : 이병되지 않음 1 : 10%미만 이병 3 : 10~30% 이병 5 : 30~40% 이병 7 : 40~60% 이병 9 : 60%이상 이병

라. 수량성

○ ‘14~’15년까지 음성 등 4개 지역에서 2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건근수량은

GLYES9호가 539.9kg/10a로 대비종인 만주감초 258.9kg/10a에 비하여 208% 증수 되었음

○ 지역별 수량성(kg/10a)

(’14~’15, 원예원 지적)

시험

지역

GLYES9호(A)

지수

(A/B)

만주감초(B)

2014

2015

평균

2014

2015

평균

음성

478.5

720.6

599.55

271

253.8

188.6

221.2

나주

396.0

619.0

507.5

164

372.0

245.0

308.5

평균

323.1

539.9

431.5

201

258.9

168.5

213.7

마. 품질특성

○ GLYES9호(3%)의 Glycyrrhizn 함량은 만주감초(1.9%) 대비 1.5배정도 높게 나타남

계통명

Glycyrrhizin (%)

Isoliquiritigenin (%)

Glabridin

(%)

Glycyrrhetic acid (%)

Total

(%)

GLYES9호

3.00±0.01

0.09±0.00

0.32±0.00

0.08±0.00

3.49±0.00

만주감초

(대비)

1.90±0.01

0.09±0.00

1.29±0.00

0.10±0.00

3.38±0.01

※ 대한민국약전 기준 : 2.5%

8. 육성경과

가. 육성계통도

나. 육성계보도

※ A : 모본(유럽감초: Glycyrrhiza glabra), B : 부본(만주감초: G. uralensis)

 

9. 종자 확보량

- 기본식물 및 시험재배용(kg)

구 분

확보량

기본식물

300주

시험재배용

600주

 

10. 대체품종

대 체 품 종

보 급 지 역

기존 재배종(만주감초)과 병행 보급

전국의 평야지(산간고냉지 제외)

 

 

□ 다감 사진자료

○ 다감(GLYES9호), 만주감초 엽평 및 단면비교

 

○ 다감(GLYES9호), 만주감초 뿌리비교(2년생)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유럽감초와 만주감초를 교잡한 종으로 국내에서 재배가 가능합니다.

감초(Glycyrrhiza glabra × G. uralensis)

신원감(음성6호)

 

1. 구분 : 육성품종

 

2. 육성내력

가. 종간교잡 : 2006년 (Glycyrrhiza glabra × G. uralensis)

나. 증식 및 특성 검정 : GGU06 - 25, 2008~2010년(3년)

다. 생산력검정시험 : 2010~2011년(2년)

라. 지역적응시험 : 2012~2014(3년, 4개소)

마. 육성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약용작물과

바. 육성자 : 박춘근, 이정훈, 한신희, 안영섭, 김영국, 차선우

 

3. 주요특성

가. 초형은 직립형이며, 잎의 형태는 타원형, 잎의 색깔은 녹색 임

나. 뿌리는 굵고, 표피색은 갈색, 심부색은 백색 임

다. 근장, 근경, 지근수가 많아 만주감초(대비종)보다 수량이 높음

라. 대비종인 만주감초에 비하여 갈색점무늬병과 도복에 강함

 

4. 적응지역

○ 전국의 평야지(산간고냉지 제외)

작물명

품종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감초

신원감

 

5. 재배상 유의점

○ 배수가 잘 되고 기후가 온난한 평야지에 재배 하여야 함

 

6. 보완을 요하는 특성

○ 갈색점무늬병 저항성 보완

7. 시험성적

가. 고유특성

○ 초형은 직립형이며, 잎의 형태는 타원형, 잎의 색깔은 녹색 임

○ 뿌리는 굵고, 표피색은 갈색, 심부색은 백색 임

○ 뿌리껍질이 두터우며, 뿌리내부의 유관속이 잘 발달 되어 있음

(‘14, 원예원)

품종명

초형

엽형

엽색

뿌리 색깔

뿌리형태

피부

심부

껍질

유관속

신원감

직립형

타원형

녹색

갈색

백색

두터움

발달

만주감초

(대비종)

반포복형

타원형

녹색

적갈색

연황색

얇음

미발달

 

나. 가변특성

○ 초장이 길고, 분지수가 많으며, 줄기가 굵어 도복에 강함

○ 근장, 근경, 지근수가 많아 만주감초(대비종)보다 수량이 2배 이상 높음

('12~'14, 원예원)

품종명

초장

(㎝)

경경

(㎜)

분지수

(개)

근장

(㎝)

주근경

(㎜)

지근수

(개/주)

건근중

(g/주)

수량

(kg/10a)

지수

신원감

97.2

8.0

5.5

58.8

16.0

6.7

75.2

384

203

만주감초

(대비종)

59.3

4.6

4.7

40.1

11.8

5.1

31.4

189

100

 

 

다. 병해충 및 도복 저항성

○ “만주감초”에 비하여 갈색점무늬병과 도복에 강함 ('12~'14, 원예원)

처 리

병충해(0-9)

도복

(0-9)

갈색점무늬병

근부병

응애

신원감

0

0

3

0

만주감초

(대비종)

1

1

3

1

0 : 이병되지 않음 1 : 10%미만 이병 3 : 10~30% 이병 5 : 30~40% 이병

7 : 40~60% 이병 9 : 60%이상 이병

라. 수량성

○ ‘12~’14년까지 음성 등 4개 지역에서 2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건근수량은

신원감이 384kg/10a로 대비종인 만주감초 189kg/10a에 비하여 203% 증수 되었음

○ 지역별 수량성(kg/10a)

(’12~’14, 원예원)

시험

지역

신원감(A)

지수

(A/B)

만주감초(B)

2012

2013

2014

평균

2012

2013

2014

평균

음성

321

289

409

339

153

109

245

312

222

철원

220

416

516

384

210

96

194

257

182

나주

310

326

426

354

319

132

145

187

155

의성

258

671

-

464

270

157

186

-

172

평균

277

425

450

384

203

124

192

252

189

마. 품질특성

○ Glycyrrhizin 함량은 3.63%(대한민국약전 기준 : 2.5%)로 대비종인 만주 감초(1.90%) 보다 많음

품종명

Glycyrrhizin (%)

Isoliquiritigenin (%)

Glabridin

(%)

Glycyrrhetic acid (%)

Total (%)

신원감

3.63±0.01

0.27±0.00

0.45±0.01

0.10±0.00

4.35±0.01

만주감초

(대비)

1.90±0.01

0.09±0.00

1.29±0.00

0.10±0.00

3.38±0.01

 

8. 육성경과

가. 육성계통도

나. 육성계보도

 

9. 종자 확보량

구 분

확보량

기본식물

100주

시험재배용

500주

 

10. 대체품종 : 기존 재배종(만주감초)과 병행 보급

 

11. 기타 참고사항

.추천계통 장려지역

작물명

품종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감초

신원감

-

□ 신원감

□ 만주감초

출처: 농사로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