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

위축성위염과 신장병 치료의 대가

1. 위위안탕萎胃安湯

【조성】 태자삼9g, 炒백출9g, 담삼9g, 시호6g, 적작약9g, 백작약9g, 자감초3g,

서장경15g, 백화사설초30g, 炒황금9g

【공효】 조기활혈調氣活血

【주치】 만성위축성위염

【방해】 장 선생은 만성위축성위염의 주요 병기를 비위불화脾胃不和, 기허혈어氣虛血瘀로 보고

조기활혈調氣活血하는 “위위안萎胃安”을 기본처방으로 사용한다.

처방에서 태자삼과 백출은 군약이다. 태자삼은 감평甘平하고 기능은 인삼과 유사하지만

약력은 강하지 않은 청보淸補하는 약재로서, 건비健脾하지만 조燥하지 않아서

청양淸陽과 중기中氣를 보하되 강조剛燥한 폐단이 없어 구복久服할 수 있다.

그러나 기체완창氣滯脘脹일때는 사용을 삼간다.

백출은 고감온苦甘溫하고 배보비위培補脾胃, 조습조운燥濕助運한다.

습濕이 많을 때는 生백출을 사용하고, 비기脾氣를 보할 때는 炒백출을 사용한다.

군약을 통해 비운득건脾運得健, 중기충족中氣充足하여 “기가 통하면 혈이 통한다氣行則血行”를 꾀한다.

단삼과 적작약, 백작약은 신약이다.

양혈활혈涼血活血, 화영통락和營通絡하여 혈류血流를 통하게 하고 위점막의 혈류량도 개선한다.

시호, 황금은 좌약으로 일승일강一升一降하여 비위의 기기氣機를 조절하고 납운納運을 돕는다.

백화사설초와 서장경은 사약使藥으로 청열지통淸熱止痛하여

허실협난虛實夾雜, 어열호결瘀熱互結 증상을 치료한다.

비기脾氣가 건전해지고, 위기胃氣가 화평을 이루고, 간목肝木이 조달되면,

어열瘀熱이 저절로 없어지도록 하여, 위점막위축을 회복하고

장상피화 또는 이형증식을 제거하여 위암의 발생을 억제한다.

【가감】 위완부 자통刺痛이 있을때는 구향충, 자위피刺蝟皮 등을 가미하고,

창만에는 炒지각, 불수 등을 더하며,

조잡이기嘈雜易饑에는 懷산약, 香편두 등을 더하고,

구조음허口燥陰虛에는 川석곡, 南사삼 등을 가미하며,

납곡불형納穀不馨일때는 香곡아, 초사곡炒楂曲 등을 더하고,

야매불안夜寐不安에는 합환피, 수오등 등을 가미하며,

변당便溏일때는 방풍炭, 포강炭 등을 더하고,

위산결핍胃酸缺乏에는 오매, 목과 등을 가미하고,

궤양이 동반될 때는 백급片, 봉황의 등을 더하고,

위하수 또는 위점막 탈수가 동반될 때는 승마, 生지각 등을 가미하며,

담즙역류에는 선복화, 대자석 등을 더하고,

장상피화 또는 이형증식을 동반할 때는 백영, 백화사설초 등을 가미한다.

2. 안중탕安中湯

【조성】 시호6g, 炒황금9g, 炒백출9g, 香편두9g, 炒백작약9g, 炙감초3g, 소경6g,

制향부9g, 炙원호9g, 팔월찰15g, 초육곡炒六曲6g, 香곡아12g 

【용법】 수천복, 1일 2차례 1첩, 식후 1시간에 따뜻하게 해서 복용

【공효】 조간화위調肝和胃, 건비안중健脾安中

【주치】 위창胃脹, 위통胃痛, 구고口苦, 식욕감퇴食欲減退,

혹은 트림과 신물을 동반하며 맥이 현弦, 세현細弦 또는 유세濡細하고,

혀가 약간 붉고 설태가 박황니薄黃膩 또는 백니白膩한 증상이 있는 위병

【가감】 통증이 비교적 심하면 구향충6g을 가미하고,

창만이 심하면 炒지각9g을 더하며,

위완에 작열감이 있을 때는 연교9g 또는 炒지모9g를 더하고,

트림에는 선복화9g, 대자석15g을 더하며,

신물이 넘어올 때는 와릉자15g, 해표소15g을 더하고,

조잡嘈雜에는 炒산약9g을 더하며,

설태가 니膩하고 후厚하면 진패경陳佩梗9g을 가미하고,

혀가 붉고 설태가 없으면 소경蘇梗을 제하고 川석곡9g을 가미한다.

대변이 묽을 때는 초사탄焦楂炭9g을 가미하고,

복통이 같이 있을 때는 포강탄炮薑炭5g, 煨목향9g을 가미하고

변비에는 전괄루15g, 망강남望江南9g을 더하고,

복창腹脹에는 대복피大腹皮9g을 더하며,

X레이 검사결과 위·십이지장궤양일 때는 봉황의鳳凰衣6g, 부용엽芙蓉葉9g을 가미하고,

위점막의 장상피화에는 백화사설초30g을 가미하며,

위점막 위축에는 단삼을 가미한다.

임상사례

•두통

•손모, 여, 20세, 두통 10여년

【초진】 1978년 11월 1일

어려서부터 10여 년 동안 두통을 앓아왔다.

현지 병원에서 뇌전도검사와 신경과 검사를 받았으나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2년 전부터 두통이 오른쪽으로 편중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두통이 발작할 때에는 아래턱과 눈언저리 부위에 묵직한 통증과 함께 잡아당기는 느낌이 있다.

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식욕이 없다.

생리 주기는 정상이나 생리 시에 복통이 있고,

생리량이 적고 어두운 색을 띠며 덩어리진 피가 나온다.

혀는 암홍색을 띠고, 설태는 박니薄膩하며,

혀의 좌측부에는 어점瘀點이 있고, 맥은 유세濡細하다.

본 병은 영혈營血이 부족하고, 간담의 기가 울체되어 열로 화化한 것이며,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담이 생성되고, 어혈이 낙맥을 가로막으면서 발병한 것이다.

선생은 양혈유간養血柔肝, 화담청열化痰淸熱법을 사용하였고 처방은 다음과 같다.

• 처방 : 炒당귀9g, 炒천궁5g, 生백작약9g, 炒백출9g, 陳담성5g, 택사12g,

制반하5g, 生의이인15g, 질려9g, 炒황금5g, 야교등30g, 구등(後下)9g. 14첩

【2진】 1978년 11월 15일

상기 처방을 복용한 후 식욕이 약간 늘었다.

수면의 질이 조금씩 향상되고 있으며, 비장의 운화기능이 조금씩 회복하고 있으나 편두통은 여전하다.

맥은 세細하고 설태는 박니하며 혀의 좌측부에 있는 어점은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

설립재薛立齋는 “오래된 두통의 대부분은 담이 주관한다久頭痛多主痰”고 하였고,

섭천사는 “오래된 통증은 낙맥으로 들어간다久痛入絡”고 하였다.

선생은 기기氣機의 승강작용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궐음경, 소음경의 담열을 내리는 처방을 내렸다.

• 처방 : 단삼9g, 도인5g, 炒천궁5g, 익모초9g, 炒국화9g, 陳담성3g, 서장경15g, 삼칠15g,

구등(후하)9g, 生석결명(先煎)15g, 炒백작약9g, 炒황금9g, 질려9g. 14첩

【3진】 1979년 1월 3일

2진 처방을 복용한 후 편두통은 좋아졌고, 발꿈치와 종아리 안쪽 근육에 잡아당기는 듯 통증이 있다.

혀는 암홍색을 띠고 설태는 박薄하며 혀 좌측부에 어점이 있고, 맥은 세하다.

궐음경과 소음경의 울열은 해소되었고, 담어痰瘀로 인한 증상도 조금씩 호전되고 있다.

간장은 장혈藏血을 주관하고 기운은 근筋에 모인다.

간혈肝血이 부족하면 근육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부실하게 되어 경련통이 나타난다.

선생은 2진 처방에 서경통락舒經通絡 효능의 약물을 가미하여 다음과 같이 처방하였다.

• 처방 : 단삼9g, 도인5g, 炒천궁5g, 익모초9g, 炒백작약9g, 炙감초3g, 生백출9g,

서장경15g, 삼칠15g, 生석결명(先煎)15g, 구등(後下)9g, 질려9g, 炒우슬9g,

炒상지12g, 목과9g. 14첩

【4진】 1979년 3월 8일

3진 처방 복용 후 현재까지 두통이 재발하지 않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1시간 넘도록 책을 읽어도 불편함이 없다.

생리 시에 복통은 사라졌으며 생리량도 예전에 비해 많아지고,

덩어리진 피가 나오는 횟수도 줄어들었다.

설태는 박薄하고, 혀 좌측부에 작은 어점이 있으며, 맥은 세하다.

선생은 3진의 처방을 다시 한 번 처방하였다.

환자는 7개월 정도 중약치료를 받은 후, 편두통 및 기타 증상이 완쾌하였고,

이후 3년 동안 재발하지 않았다.

【해설】 풍風, 화火, 담痰, 허虛, 어瘀가 모두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발생기전 역시 다양하다.

본 안은 완고성두통에 속하는 것으로 원인이 상당히 복잡한 사례에 속한다.

환자의 맥과 증상을 관찰해 본 바,

본 병은 영혈營血이 부족하고, 간담의 기가 울체되어 열로 화化한 것이며,

또한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담이 생성되고,

담열과 어혈이 상요上擾하고 낙맥어조絡脈瘀阻하면서 발병한 것이다.

초진에서는 양혈유간養血柔肝, 화담청열化痰淸熱법으로 치료하였다.

처방 중 당귀와 백작약은 양혈유간하며, 백출과 택사는 건비화습하여 승청升淸하도록 하고,

진담성과 반하는 청화담습 작용을 한다.

2진 때는 “병이 오래되면 낙맥에 이른다久痛入絡”에 입각해서 처방하였다.

천궁은 직접 전정巓頂에 도달하고, 단삼과 도인은 활혈화어, 통락지혈하며

항국화, 구등, 석결명은 평잠平潛한다.

3진때는 작약, 감초로 해경지통解痙止痛하고 상지, 목과로 서근통락舒筋通絡하였다.

이 글은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중의 신장병학腎臟病學 학술 대표자

 

장치 선생이 창제한 방제

① 화위청담탕和胃清痰湯 : 기침, 가래 등의 증상 치료에 사용

- 조성 : 황금, 맥동, 괄루, 대황, 나복자, 행인, 반하, 황련, 자완, 노근.

② 가미시달음加味柴達飲 : 외감外感과 담탁이 겸한 증상의 치료에 사용

- 조성 : 시호, 황금, 반하, 초과인, 빈랑, 川후박, 지각, 生석고, 금은화, 감초.

③ 익기자음음益氣滋陰飲 : 당뇨병 치료

- 조성 : 황기, 인삼, 옥죽, 생지, 산약, 구기자, 천문동, 토사자. 여정자, 현삼.

④ 보신장양고섭탕補腎壯陽固攝湯 : 요붕증尿崩症 치료

- 조성 : 태자삼, 오미자, 익지인, 煆용골, 煆모려, 맥동, 숙지, 복령, 석련자, 부자, 감초.

⑤ 소견배석탕消堅排石湯 : 요로결석尿路結石 치료

- 조성 : 금전초, 삼릉, 아출, 계내금, 단삼, 작약, 홍화, 목단피, 구맥, 편축, 활석,

차전자, 도인.

⑥ 결명자음決明子飲 : 고지혈증 치료

- 조성 : 결명자, 구등, 국화, 생지, 현삼, 작약, 도인, 당귀, 천궁, 지각, 감

초, 황금.

⑦ 활혈해독음자活血解毒飲子 : 정맥염 치료.

- 조성 : 단삼, 당귀, 왕불유행, 조각자, 炮천산갑, 홍화, 공영, 금은화, 황기,

감초, 유향, 작약, 우슬, 지룡.

⑧ 나영내소음瘰癭內消飲 : 영류나력癭瘤瘰鬁 치료

- 조성 : 해조, 하고초, 炮천산갑, 조각자, 연교, 현삼, 향부, 청피, 시호,

당귀, 천궁, 단피.

⑨ 이비진경탕理脾鎮驚湯: 소아 만비풍慢脾風 치료

- 조성 : 백출, 홍삼, 복령, 반하, 곽향, 사인, 전갈, 갈근, 편두, 감초, 호초.

 

 

1. 기맥화어탕黃芪麥化瘀湯

【공효】 익기활혈益氣活血, 자보신음滋補腎陰

【적응증】 관심병 심교통, 각종 원인으로 인한 부정맥. 기음허로 인한 혈어증, 흉통, 기단핍력,

요통, 두훈이명, 오심번열, 심계가 있고, 설이 홍하고 소진하며 맥은 허삭하다.

【조성】 황기, 태자삼, 맥동, 오미자, 생지황, 당귀, 천궁, 단삼, 홍화, 시호, 적작약,

도인, 지각, 여정자, 옥죽, 귀판, 구기자, 감초 등

 

 

2. 청폐음

【공효】 청폐양음凊肺養陰, 지해화담止咳化痰

【적응증】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부 감염 등의 해역상기咳逆上氣

주요 증상은 담이 황색이고 끈적이며 배출이 잘 되지 않는다. 흉민 혹은 흉통이 있다.

설은 홍하고 소진하며, 맥은 활 혹은 삭하다.

【조성】 맥동, 사삼, 지모, 川패모, 상백피, 어성초, 생지황, 황금, 괄루, 길경, 지각, 감초, 반하

3. 시령호간탕柴笭護肝湯

【공효】 소간이비疏肝理脾, 청열해독凊熱解毒

【적응증】 옆구리 통증과 창만 동통을 수반한 만성간염.

오심번열, 간장肝掌이 나타나며 설은 적하고 맥은 현 혹은 현삭하다.

【조성】 시호, 백작, 지실, 감초, 백출, 복령, 황기, 오미자, 패장초, 인진, 판람근,

호장, 포공영, 연교

4. 담초국명청간음膽草菊明凊肝飮

【공효】 청간사열凊肝瀉熱

【적응증】 간화상승 혹은 간울화열로 인한 두통, 두현, 이명, 면홍목적, 급조이노.

설질은 홍하고 태는 황조하며 맥은 현삭하다.

【조성】 용담초, 국화, 초결명, 구등, 황금, 생지황, 천궁, 박하, 백지, 감초

5. 지향성비익위탕地香醒脾益胃湯

【공효】 방향성비芳香醒脾, 자음양위滋陰養胃

【적응증】 위음휴모로 인한 위축성 위염, 비후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 궤양,

표층성 위염, 만성 위통 등. 주요 증상은 위완부 통증, 구건, 식욕부진, 복부 창만,

수족심열이고, 설은 홍하거나 소진하고 태는 소태 혹은 무태이며 맥은 세삭하다.

【조성】 생지황, 맥동, 사삼, 공정향, 맥아, 불수, 지각, 감초, 백합

 

 

임상사례

 

•신장성 수종 상열하한증 : 고위구맥탕枯萎萎瞿麥湯

【조성】 고위근枯萎根 20g, 구맥 20g, 부자 15g, 택사 20g, 산약 20g, 복령 15g,

맥동 20g, 지모 15g, 황기 30g, 계지 15g, 감초 10g

【공효】 온신건비溫腎健脾, 청폐리수凊肺利水

【주치】 신장질환,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 양이 적고, 허리에 산통酸痛이 있으며,

구건, 갈증, 인통이 있다. 추위를 타며 사지가 차갑고 무거우며 대변이 묽다.

설은 홍하고 태는 백하며, 맥은 침활沉滑한 증상에 사용한다.

【방해】 본 방은 폐에 열이 있고, 신장은 차며 비장이 허한

상열하한上熱下寒을 치료하기 위한 방제이다.

 

폐는 수水의 상원上源이고 방광과 피부로 가는 수도水道를 조절한다.

만약 폐에 열이 있으면 청숙하행凊肅下行에 문제가 생기고,

인후가 건조하고 통증이 있으며 갈증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수종이 있다.

설은 적赤하고 태는 박백소진薄白少津하다.

비장은 건운健運을 주관하는데 수곡정미水穀精微와 수습을 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체에 정미精微를 운송하는 수액대사의 중추인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면

전신에 정미가 분포되지 않고 수습이 운화되지 못하여 정체하면 수종이 발생한다.

신장은 개합開闔하는 장기로서 개합은 신장의 음양이 잘 균형을 이루어야 제 기능을 발휘한다.

만약 신양이 허하면 개합기능이 실조되고 팔다리가 차고 허리와 무릎이 쑤시며 소변을 보기가 힘들다.

폐, 비, 신 세 장기의 기능 실조가 본 질환의 핵심 병기이다.

본 방은 고위근, 맥동, 지모를 사용하여 폐열을 내려 청숙하행凊肅下行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황기, 산약, 감초를 사용하여 익기건비리수益氣健脾利濕하여 비장을 튼튼히하여 운화기능을 회복시킨다.

복령과 택사. 구맥은 소변배출을 도와 수습을 제거한다.

부자와 계지는 온보신양溫補腎陽하여 기화氣化를 돕고,

신양腎陽을 충만하게 하여 한寒을 몰아내어 개합기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상기 약들의 조합은 한열병용寒溫並用, 청상온하凊上溫下, 보중補中하여

폐, 비, 신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여 복잡한 질병을 치료한다.

 

 

•신장증후군, 사구체신염

•사오邵xx, 여, 24세

【기왕사】 2006년 4월, 외감外感 후 양 하지부종, 복부팽창 출현,

하얼빈의과대학부속 제2의원에서 소변검사 :

단백뇨 3+, 혈장 알부민 낮음,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하고

호르몬, 뇌공등다식편雷公藤多試片 및 사이톡산Cytoxan을 사용하여 치료하였으나

여전히 부종이 있음.

 

【초진】 2007년 10월 8일

양 하지부종, 가끔 메스꺼움, 양쪽 다리가 차고, 요산핍력腰酸乏力, 구건口乾,

설질은 자홍紫紅하고, 설태는 백, 맥은 활脈滑.

소변검사: 단백뇨 3+, 적혈구 2+, 백혈구 3~4개/Hp, 혈장 알부민 15.7g/L,

총 콜레스테롤 10.89mmol/L, 트리글리세리드5.51mmol/L, OX-LDL 8.12mmol/L.

- 중의변증 : 폐열비신허肺熱脾腎虛의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

- 서의진단 :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

- 치법 : 청폐온신리습법凊肺溫腎利濕

- 처방 : 고위구맥탕 가감

고위근15g, 구맥30g, 지모15g, 맥동15g, 황기30g, 부자10g, 복령20g, 택사15g, 편축20g,

차전자30g, 토복령30g, 석위20g, 황금15g, 태자삼20g, 여정자20g, 금앵자15g, 생지15g, 감초15g.

【2진】 2007년 10월 15일

환자의 양측 하지부종과 차가운 증상은 소실됨.

그러나 요산핍력과 구건은 여전함.

설질은 담홍하고 태는 소, 건조하며 맥은 삭하다.

보신양음거풍제습법補腎養陰祛風除濕法으로 치료하여 제 증상이 사라졌다.

【해설】 고위구맥탕은 《금궤요략金匱要略》의 고위구맥환을 가미하여 만든 방제이다.

《금궤요략·소갈소변불리임병맥증병치》에는

“소변불리하고, 수기水氣가 있으며 갈증이 있다면 고위구맥환을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으며

금궤요략 원방은 고위근, 구맥, 부자, 산약, 복령으로 조성되었다.

본 방제는 상초의 조열燥熱을 청凊하고, 하초의 허한虛寒을 온溫하며, 방광기화를 도와 소변을 통하게 한다.

만성 사구체신염, 신장증후군 등의 질병은 병정이 길고 병기가 복잡하며 쉽게 낫지 않는다.

또한 치료과정에서 당질코르티코이드 혹은 세포독성이 있는 약물을 상용하면

한열착잡寒熱錯雜과 수습유연水濕留戀이 나타나고 단백뇨의 완치가 어렵다.

증상은 주로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으로 표현된다.

고위구맥탕은 이러한 질병의 치료에 아주 효과적이다.

 

 

 

임상사례

•하초어열下焦瘀熱로 인한 신장성 혈뇨 : 도황지혈탕桃黃止血湯

【조성】 도인20g, 대황7-10g, 계지15g, 작약20g, 생지30g , 백모근50g, 소계30g, 측백엽 20g, 감초 10g

【공효】 사열축어瀉熱逐瘀, 양혈지혈涼血止血

【주치】 급성 사구체 신염, HS자반성 신염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급만성 신우신염, 방광염 및 소변이 자줏빛 또는 간장색을 띠거나 혈뇨가 있을때 사용한다.

배뇨 시 통증이 있거나 불창不暢함, 소복창통小腹脹痛, 요통, 변비, 수족심열手足心熱이 나타나고,

설은 암홍색 또는 홍자소진紅紫少津하고, 태苔는 백白하고 건조하며, 맥은 활滑 또는 활삭滑數하다.

【방해】 본 방의 병기는 하초의 어열결체瘀熱結滯와 혈이 귀경歸經하지 못하는 것이다.

주요 방약은 도인, 대황으로 도인은 활혈윤조活血潤燥, 대황은 사열개어瀉熱開瘀 한다.

두 약을 배오하면 사열축어瀉熱逐瘀하는 공효를 가지는데, 열사를 제거하면 출혈이 멈춘다.

계지는 온통溫通하는 약으로 한이 응결되지 못하게 하고,

소계, 백모근, 측백엽, 생지황은 양혈청열지혈하는 약으로

함께 사용하면 청열지혈凊熱止血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혈뇨증

•왕王xx, 여성, 40세.

【기왕사】 반복적 혈뇨 2년, 빈뇨, 요급尿急, 요통尿痛, 인후종통咽喉腫痛이 동반됨.

2006년 1월, 하얼빈의과대학 부속 제2병원에서 “사구체 신염,

경도 계막증식 병변輕度系膜病變” 진단을 받음,

항생제 등 약물을 복용하고 증상이 완화됨.

 

【초진】 2007년 8월 6일

감기로 인한 혈뇨가 반복적으로 발생, 구간인통口幹咽痛, 빈뇨尿頻, 요통이 동반됨,

설질舌質은 홍, 소태少苔하며, 맥은 활삭滑數. 소변검사 결과 : 적혈구 3+, 단백뇨 2+, 세균+.

• 중의변증 : 하초 습열내조濕熱內阻로 인한 혈뇨증.

• 서의진단 : 사구체 신염, 경도 계막병변輕度系膜病變

• 치법 : 청열량혈지혈

• 처방 : 금은화30g, 연교20g, 천화분20g, 소계30g, 백모근20g, 측백엽30g, 현삼20g,

맥동15g, 포황15g, 우절20g, 炒치자15g, 감초15g. 수전복, 매일 1첩, 14첩

【2진】 2007년 8월 20일

환자는 탕약 14첩을 복용한 후에도 여전히 혈뇨가 나오며 피곤하면 제 증상이 심해짐.

요부 통증, 소복小腹 팽창, 변비, 설질은 암홍. 태는 백하고 건조하며,

맥은 활삭滑數. 혈뇨가 오래된 것을 보아

음분이 이미 손상되고 습열내정濕熱內停하여 혈맥이 상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랜 질병은 반드시 어혈이 있으므로 하초어열호결下焦瘀熱互結로 변증하고

사열축어瀉熱逐瘀, 양혈고섭지혈涼血固攝止血법으로 치료함.

방제는 도황지혈탕 가감방을 사용.

• 처방 : 도인10g, 대황5g, 작약10g, 생지20g, 소계30g, 백모근30g, 炒치자15g, 황금10g,

삼칠10g, 해표소20g, 천초20g, 용골20g, 모려20g, 종려炭20g, 혈여炭15g, 산수유20g,

구기자20g, 감초15g.

14첩을 복용하고 제 증상이 호전됨.

【해설】 도황지혈탕은 《상한론》 도핵승기탕의 방광축혈증膀胱蓄血證 치료 원리에 따라 만든 방제로서

사열량혈瀉熱涼血, 산결지혈散結止血하여 어열로 인한 출혈을 멎게 한다.

본 방의 변증 요점은 “어열호결瘀熱互結”로,

주요 증상은 하복만통下腹滿痛, 소변적삽小便赤澀, 변비이며

설은 홍하고 설태는 건乾하다는 것이다.

임상관찰결과 다수의 환자들이 일반적인 양혈지혈 방제로는 이상적인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에 양혈지혈하는 처방에 대황, 도인을 가미하여 처방하였더니 혈뇨증상이 소실되었다.

단, 대황의 용량을 너무 많이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정리한 내용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