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1. 잠강탕潛降湯

【조성】 백작약12g, 生석결명(先下)30g, 生모려(先下)30g, 복령10-30g,

단삼12-15g, 익모초15g, 懷우슬12-15g, 白국화10g, 야교등30g

【공효】 자음잠양滋陰潛陽, 평간강역平肝降逆

【주치】 간음부족肝陰不足, 간양상항肝陽上亢의 현훈眩暈

【방해】 처방에서 백작약은 자보음혈滋補陰血, 평억간양平抑肝陽하여 군약이되며,

석결명은 청간화淸肝火, 양간음養肝陰, 잠간양潛肝陽하고, 생모려는 익음잠양益陰潛陽,

진심안신鎮心安神하여 신약이된다. 복령은 영심안신寧心安神, 건비健脾하고,

단삼은 청심안신활혈淸心安神活血하며, 익모초는 청열리수淸熱利水, 활혈화어活血化瘀하고,

우슬은 간신肝腎을 보하면서 화火와 혈血을 아래로 이끌어 좌약이된다.

백국화는 평억간양平抑肝陽, 청리두목淸利頭目하고, 야교등은 양심안신養心安神, 거풍통락祛風通絡한다.

이 둘은 사使약으로 약재를 심간경心肝經으로 인경한다.

【가감】 식욕부진에는 숙지황을 빼고 制하수오15g, 진피10g, 炒맥아10g을 가미하고,

이명耳鳴에는 자석30g을 더하며,

요통腰痛에는 두충10g, 상기생30g을 더하고,

도한盜汗에는 오미자6g, 부소맥30g을 더하며,

대변이 점체粘滯하고 시원하지 않으면 결명자30g, 전괄루30g을 가미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일 때는 숙지황을 빼고 생지황15g, 맥동15g을 더하며,

간화편왕肝火偏旺하여 조급하고 화를 잘 내고 눈이 붉을 때는 용담초6g, 하고초15g을 가미하고,

두통이 심한 때는 백질려12g, 만형자12g, 천궁10g을 더하며,

현훈이 심한 때는 천마6-10g, 구등15g을 더하고,

실면失眠이 심할 때는 炒조인30g, 生용골30g을 가미하여 처방한다.

 

 

임상사례

•만성 천표성위염, 십이지장궤양

•이모씨, 남, 47세, 베이징시 거주, 위통 2년

【초진】 2003년 5월 21일

2년째 위통이 있으며, 배가 고프면 통증이 심해진다. 때론 오른쪽 갈비뼈를 따라 통증이 있다.

통증이 아랫배에 이를 때도 있고, 속이 쓰리며 딸꾹질이 있고 아침에 일어나면 입맛이 쓰다.

대변은 3-4일에 1차례. 평소에 술, 담배를 많이 함. 성격은 급하고 화를 잘 낸다.

혀는 암홍暗紅하고 설태는 미황니微黃膩하며 맥脈은 현세활弦細滑하다.

• 서의진단 : 만성 천표성위염, 십이지장궤양

• 중의증후 : 간위울열肝胃鬱熱, 혈어血瘀

• 치법 : 소간이기疏肝理氣, 사열화위瀉熱和胃, 화어지통化瘀止痛

• 처방 : 소경6g, 향부자10g, 진피10g, 황련3g, 오수유1.5g, 炒백작18g, 炒지각6g,

炒천련자12g, 연호색10g, 선복화10g(包), 煆와릉자(先下)30g. 7첩

【2진】 2003년 5월 28일

초진 처방 복용 후 모든 증상이 경감되었으나 여전히 속쓰림 증상이 남아 있다.

초진 처방에 포공영을 가미함. 술, 담배를 금하고, 음식절제, 정서조절 하라고 권함.

• 처방 : 소경6g, 향부10g, 황련3g, 오수유1.5g, 炒백작18g, 진피10g, 포공영15g,

炒지각6g, 炒천련자12g, 선복화(包)10g, 炒의이인10g. 7첩

【3진】 2003년 7월 2일

병세가 안정되고, 제 증상이 호전됨. 효과를 공고히 하기 위해 7첩을 다시 처방함.

【해설】 선생은 비위병脾胃病 치료에 능통하다.

처방은 향소음, 좌금환, 무기환戊己丸, 금령자산을 합방하고 가감한 것이다.

트림이 많으면 선복화, 신물이 넘어올 때는 煆와릉자를 가미한다.

오수유는 약성이 신고辛苦하고 소독小毒이 있으므로 약 용량을 1-2g사이로 맞춘다.

 

임상사례

•기관지염

•구모씨, 여, 31세, 베이징시 거주, 해수 3개월

【초진】 2003년 3월 19일

감기 걸린 후 3개월째 기침이 있음. 2명의 의사에게 진료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음.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대합산黛蛤散 등의 중약처방도 효과가 없었음.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으며, 가래가 희고 양이 적음. 잇몸이 붓고 아픔.

발열(체온37.5℃)이 있고, 약간 추위를 타며 입이 마르고 갈증이 있음.

식사는 잘 하고 대소변은 정상임. 혀는 붉고 설태는 황黃하며 맥은 세활細滑함.

흉부X선 검사: 폐문리증조肺紋理增粗.

• 서의진단 : 기관지염支氣管炎

기침이 시작된 지 3개월이나 되었지만 풍열風熱이 아직 폐위肺衛에 있고, 내부로 들어가지 않았음.

• 치법 : 소풍청열疏風淸熱, 화담지해化痰止咳

• 처방 : 금은화12g, 연교10g, 형개6g, 행인10g, 浙패모10g, 길경10g, 生감초5g,

자완10g, 백부10g, 백전10g, 어성초(後下)30g, 울금12g. 4첩

【2진】 2004년 4월 15일

초진 처방 복용 후 모든 증상이 호전됨. 2주 후에 풍열감모風熱感冒를 얻어 원래

증상이 다시 나타남. 이전 처방을 약간 수정해서 계속 치료함.

 

• 처방 : 형개수5g, 금은화10g, 연교10g, 행인10g, 浙패모10g, 길경5g, 황금10g, 자

완12g, 백부10g, 백전10g, 生감초5g, 진피6g. 7첩. 복용 후 완치.

【해설】 선생이 풍열해수風熱咳嗽의 치료에 상용하는 처방은 은교산과 지수산止嗽散합방이다.

자완, 백부, 백전은 선생이 즐겨 사용하는 배오로 지해止咳효과가 뛰어나다.

 

임상사례

 

•고혈압병

•왕모씨, 여, 59세, 베이징 거주, 두통, 실면 1달여

【초진】 2003년 6월 17일

평소 성격이 급하고 화를 잘 낸다. 최근 어지럽고 두통頭痛이 있으며 실면失眠이 있다.

어깨와 척추 쪽으로 열감熱感이 있는 반면 무릎 아래로는 차갑고 무거우며 힘이 없다.

가끔 코피가 나고 목이 건조하며 3-4일에 한번 대변을 본다. 빈뇨頻尿가 있다.

혀는 암홍暗紅하고 설태는 박황薄黃하며 맥은 현세미삭脈弦細微數하다. 혈압:190/90mmHg.

• 서의진단 : 고혈압병

• 중의증후 : 신음腎陰부족, 간양상항肝陽上亢

• 치법 : 보신평간補腎平肝, 육음잠양育陰潛陽

• 처방 : 잠강탕潛降湯

생지황15g, 적작약12g, 백작약12g, 白국화10g, 목단피10g, 진주모(先下)30g, 生모려(先下)30g,

生석결명(打)30g, 상기생30g, 야교등30g, 회우슬15g, 백모근30g, 구기자10g. 7첩

【2진】 2003년 6월 25일

초진 탕약 복용 후 두통, 어지럼증이 줄어들었다.

실면失眠도 좋아졌으나 자주 깨

고 다시 잠에 들기가 어렵다. 최근에 코피는 나지 않았다.

어깨 및 등 쪽에 열감은 없어지고, 무릎아래가 시리고 무거운 느낌도 줄었다.

대변은 약간 건조하며 1-2일에 한번 본다.

혀는 홍紅하고 설태는 미황微黃하며 맥은 현세弦細하다.

초진 처방에 오미자6g을 가미하여 안양심신安養心神하였다. 7첩

【3진】 2003년 7월 12일

어지럼증, 두통, 무릎아래의 시리고 무거운 느낌이 사라졌다. 수면, 대소변 모두 정상이다.

혀는 미홍微紅하고 설태는 백白하며 맥은 침세미현沉細微弦하다. 혈압은 150/80mmHg이다.

2진 처방을 다시 7첩 처방하고, 화를 내지 말고 맵고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해설】 잠강탕潛降湯은 선생의 경험방이다.

간신肝腎의 음을 자보滋補하고 항상亢上한 양을 평잠平潛하는,

부정거사扶正祛邪, 표본겸치標本兼治 처방이다.

간양상항형肝陽上亢型 고혈압의 치료에 효과가 좋다.

본 의안醫案에서 변병辨病과 변증辨證을 모두 중시한 선생의 학술사상을 엿볼 수 있다.

 

본 내용은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