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허런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20. 3. 3. 09:01
《금궤요략金匱要略》연구와 중의 암증치료의 권위자
임상사례
•자궁암
•원xx, 여성, 39세. 자궁경부암 6개월, 수술 후 3개월
【초진】 2006년 5월 4일
반년 전 대하에 피가 섞여 나오고 성관계 후 질 출혈이 발생,
지역 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음.
3개월 전 자궁경부암 수술, 28차례의 방사선 치료와 2차례 화학 치료를 받음.
지난 주 2차 화학치료가 종료됨.
• 증상 : 전신 무기력, 안색이 누렇고 창백함. 심하비만이 있고,
대변이 묽고 하루 5~6회 가량 봄. 설이 담홍淡紅하고, 태가 박薄하며 맥은 현弦함.
• 실험실 검사 : 백혈구 2.8×109/L, 헤모글로빈 7.8g/L,
일반생화학 검사 : 정상, 종양표지검사 : 정상
• 진단 : 자궁경부암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치료 후 본허표실증本虛標實證
• 처방 : 부정거사탕(경험방)과 사심탕을 합방하여 가감
태자삼 30g, 황기 30g, 오모두烏毛豆 30g, 制수오 30g, 制황정 30g, 여정자15g,
煆용골15g, 煆모려5g, 평지목15g, 川후박10g, 황금10g, 건강 6g, 황련 4g,
의이인 60g, 홍조紅棗20g. 14첩, 수전복 1첩/1일.
【2진】 5월 28일
상기 처방 복용 후, 체력이 회복되고 식욕이 개선됨. 심하비만 소실,
대변 횟수는 여전히 많음(묽음). 초진 처방으로 다시 14일 치료
【3진】 6월 11일
처방 복용 후 대변이 정상적으로 회복, 1회/1일, 쾌변.
활력이 생기고 위장기능이 좋아짐.
설은 담홍하고 태가 박하며 맥이 유濡함.
• 검사 : 백혈구5.2×109/L, 헤모글로빈 10.8g/L,
• 일반생화학 검사 : 정상
• 종양표지검사 : 정상
• 진단 : 자궁경부 암수술, 방사선 및 화학치료 후 회복안정기
• 처방 : 삼멸전사탕參蔑荃蛇湯 가감
태자삼 30g, 황기 30g, 저령 30g, 복령 30g, 구기자 30g, 貓인삼 30g, 백화사설초 30g,
태자삼 30g, 制수오 30g, 制황정 30g, 焦맥아 30g, 焦산사 30g, 焦육곡 30g,
여정자 15g, 평지목 15g, 制향부 10g, 의이인(另包) 60g, 홍조20g. 14첩, 수전복,
1첩/1일.
환자는 14첩 복용 후 원방에 따라 60첩을 더 복용함.
이후 제 증상이 호전되고 병세가 안정됨.
【해설】 허 선생은 본 환자의 증상과 《상한론傷寒論》에 나오는 사심탕증瀉心湯證이 일치한다고 보았다.
《상한론·태양병편傷寒論·太陽病篇》158조 사심탕편을 보면 상한병 후 오치를 하여
사기가 위장으로 들어가면 한열이 협잡하고 허실이 동시에 나타나며 승강이 실조되어
“설사를 하고, 심하비경만”이 나타난다는 내용이 있다.
본 병례의 환자는 자궁경부암 수술 후 방사선 치료와 화학치료를 진행했다.
환자의 정기가 허한 틈을 타서 한열사기가 위장을 침범하여 위장이 불화하고 승강이 실조된 것이다.
정기를 돕는 치료를 기초로 사심탕을 결합하여 치료하였다.
치료 결과 제 증상이 경감되는 등 양호한 효과를 얻었다.
약을 28첩 복용한 후에는 위장의 병증도 사라졌다.
회복기에도 지속적으로 부정거사방제를 복용하도록 하여
제 증상이 호전되고 병세가 안정되었다.
임상사례
•폐암
•왕xx, 남성, 51세, 폐암 6개월, 암 전이
【초진】 2006년 4월 10일
6개월 전부터 우측 흉부에 통증이 있고 3개월 전부터 체력이 저하되고 수척해짐.
우측 흉부의 통증이 심해져 입원하여 검사를 실시함.
• 실험실 검사 : 우측 폐암 및 흉막삼출증 동반, 림프선 부종 종대.
암세포 전이로 수술 불가. 4 차례의 화학약품 치료 후 환자가 중의치료를 원함.
정신적으로 피로하고 목소리가 침울함, 흉부통증이 있고 호흡이 가쁨, 기침가래,
식욕부진, 가끔 악몽을 꿈. 설이 담홍淡紅하고, 태는 중간이 후니厚膩하며, 맥은 현허弦虛함
• 진단 : 폐암, 흉수를 동반한 흉막 및 기타 부위의 암 전이, 종격동림프 종대 : 정허사실증
• 처방 : 폐탄폐용탕肺瘓肺癰湯(경험방) 가감
현삼 10g, 맥동 10g, 浙패모 10g, 길경 10g, 황금10g, 生감초 10g, 炙백부 20g, 인
동등 20g, 어성초 20g, 北사삼 20g, 동과자 30g, 야교맥根 30g, 포공영 30g, 칠엽
일지화 15g, 연교 15g, 의이인 15g. 14첩, 수전복, 1일/1첩.
【2진】 4월 24일
14제 복용 후, 증세가 뚜렷이 호전되지 않음. 흉부통증, 호흡이 가쁨.
설이 담홍하고 태가 백니白膩하며 맥은 현활弦滑.
• 치법 : 초진 처방에 보기익음補氣益陰, 화담강기化痰降氣약 가미
• 처방 : 北사삼 20g, 황기 20g, 炙백부 20g, 선복화(包) 20g, 연호색 20g, 어성초 20g,
저령 30g, 복령 30g, 야교맥根 30g, 연교 15g, 불이초 15g, 노관초 15g, 여정자 15g,
황금 10g, 길경 10g, 焦맥아 10g, 焦산사 10g, 焦육곡 10g. 14첩, 수전복, 1일/1첩.
【3진】 5월 8일
상기처방 14제 복용 후, 호흡 안정 및 정신精神 호전, 흉부통증 경감, 소화기능개선.
설이 담홍하고 태는 백白하고 약간 니腻하며 맥은 현弦. 재진 처방을 14첩 더 복용.
【4진】 5월 22일
상기 처방 14첩 복용 후, 호흡이 안정되고 정신이 호전됨. 흉부통증 경감,
소화기능 개선. 설이 담홍하고 태는 백하고 약간 니하며 맥이 현함.
• 처방 : 삼기령사탕參芪苓蛇湯 가미방
南사삼 20g, 北사삼 20g, 황기 20g, 연호색 20g, 선복화(包) 20g, 여정자 15g, 불이초 15g, 평지목 15g,
노관초 15g, 貓인삼 40g, 백화사설초 30g, 저령 30g, 복령 30g, 야교맥근 30g, 의이인(另包) 60g
焦맥아 10g, 焦산사 10g, 焦육곡 10g. 14첩, 수전복, 매일 1첩.
【해설】 허 선생은 환자의 증상이 《금궤요략金鷹要略》의
폐담폐옹증肺痰肺癰證과 유사하다고 보고 입법방약 하였다.
약물 중 현삼, 맥동, 北사삼은 자양폐음滋養肺陰하고, 절패모, 炙백부는 선폐화담宣肺化痰한다.
연교, 황금, 포공영은 청열해독淸熱解毒하고, 동과자, 길경, 의이인은 화담배농化痰排膿하는 효능이 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한약처방 - 청폐배독탕 (0) | 2020.03.13 |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치 (0) | 2020.03.07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루즈정 (0) | 2020.02.27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옌정화 (0) | 2020.02.22 |
우한폐렴,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단계별 처방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