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화和는 부정扶正, 해解는 산사散邪이다.”

화해법和解法의 완성자

1. 화간탕和肝湯

【조성】 당귀12g, 백작약12g, 백출9g, 시호9g, 복령9g, 생강3g, 박하(後下)3g,

炙감초6g, 당삼9g, 소경9g, 향부9g, 대조4개

【공효】 양혈유간養血柔肝, 건비익기健脾益氣, 소간리기해울疏肝理氣解鬱

【주치】 간비실허증肝脾失和證.

간울혈허肝鬱血虛, 비위실화脾胃失和에 의한 양측 옆구리 통증, 흉협만민胸脅滿悶,

두훈목현頭暈目眩, 신피필력神疲乏力, 복창腹脹, 심번실면心煩失眠, 월경불조月經不調,

유방창통乳房脹痛을 치료한다.

【방해】 소요산에 당삼, 향부, 소경, 대조가 가미된 처방이다.

당귀, 백작약은 군약으로 양혈유간養血柔肝한다.

시호, 박하, 소경, 향부는 신약이며, 시호와 박하의 소간해울疏肝解鬱에

소경과 향부가 첨가되어 간의 상역을 내리고 삼초의 기를 조달調達한다.

당삼, 복령, 백출, 감초는 사군자탕으로 감온익기甘溫益氣, 건비화위健脾和胃한다.

【가감】 화간탕은 간비실허의 다양한 병증에 사용된다.

간염에는 인진, 황금, 치자, 호장, 오미자를 가미하고,

담석증, 담낭염에는 울금, 계내금, 지각, 천련자를 가미 하며,

만성위염에는 진피, 반하, 사인, 구인, 炒곡아, 炒맥아를,

갱년기증후군에는 울금, 백합, 맥문동, 부소맥을,

유선증생乳腺增生에는 괄루, 青귤엽, 포공영 등을 가미하여 사용한다.

2. 자보탕滋補湯

【조성】 당삼9g, 백출9g, 복령9g, 炙감초6g, 숙지황12g, 백작약9g, 당귀9g,

육계3g, 진피9g, 목향5g, 대조4개

【공효】 보기양혈補氣養血, 조화음양調和陰陽, 양심건비養心健脾, 유간화위柔肝和胃, 익폐보신益肺補腎

【주치】 기혈부족氣血不足, 오장허손五臟虛損

각종 빈혈증, 중풍후유증, 신부전, 심부전, 암수술 또는 방사선, 약물 치료 후의 허손증

【방해】 사군자탕과 사물탕을 합방한 후,천궁을 빼고 육계, 진피, 목향, 대조를 가미한 처방이다.

처방에서 사군자탕의 당삼, 복령, 백출, 자감초는 보비익기補脾益氣하여 후천지본을 배양하고,

사물탕의 당귀, 숙지, 백작은 자음보신滋陰補腎, 양혈화간養血和肝한다.

육계, 진피, 목향, 대조는 온보조기溫補調氣, 납기귀원納氣歸元한다.

전체적으로 보補하지만 체滯하지 않고 자滋하지만 니膩하지 않도록 한다.

임상사례1

•간손상

•온모, 남, 69세, 간기능 이상 10여년

【초진】 2003년 5월 22일

환자는 페인트 도색업에 종사하였으며 직업병으로 간 손상 후 간기능 이상 10여년.

최근 반년동안 황달이 가중되었고 피핍무력疲乏無力하다. 얼굴색이 회암晦 暗하고

눈에 부종이 있으며 공막이 노랗다(±). 하지부종과 함께 저열低熱, 구고口苦가 있으며 수면이 좋지 않다.

서양약을 복용하지만 효과가 좋지 않으며 혀는 붉고 설태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현삭弦數하다.

• 실험실 검사 : ALT264IU/L, 직접빌리루빈:1.4mg/dl, ESR:46mm/h, WBC:4.0×109/L,

PLT:95×109/L. 복부초음파: 간에 미만성 병변이 있고 비장이 크며 담낭염이 있다.

• 진단 : 간손상(간비불화肝脾不和, 사체경맥邪滯經脈)

• 치법 : 조화간비調和肝脾, 이담거사利膽祛邪

• 처방 : 화간탕 가감방

화간탕 기본 약물에 北사삼10g, 인진6g, 焦신곡6g, 진피6g, 연교10g,

울금6g, 사인(後下)3g, 生황기12g을 가미하여 14첩 처방.

【2진】 2003년 6월 9일

복약 후 제 증상이 경감되었으며 저열과 공막의 황색이 사라졌다.

여전히 얼굴과 하지에 수종이 있다. 상기 처방에 동과피10g, 生의이인20g을 더해

14첩을 처방했다. 1개월 치료로 부종이 사라졌다.

【해설】 환자는 직업병으로 간 손상이 있었다.

습열사독濕熱邪毒이 간장에 침범하여 간의 소설이 실조되어 구고口苦하며,

습열훈증濕熱熏蒸하여 저열이 있고, 담즙이 외일外溢하여 황달이 초래되었다.

목극비토木克脾土로 인한 운화실조로 납차納差, 하지부종이 출현하였다.

만성간병이나 간기울결에 의해 비위기능에 영향을 받았을 때 고한약苦寒藥을 과용하면

비위가 손상되어 질병이 오래토록 낫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때는 조화간비調和肝脾, 익기배중益氣培中법으로 치료해야 한다.

초진에서 화간탕에 인진, 연교를 가미하여 해독리담解毒利膽, 퇴황退黃하고,

인진, 울금, 황기로 청열리습보기熱利濕補氣하였다.

2진에서는 비허와 수종을 치료하기 위해 동과피와 생의이인을 가미하여 건비소종健脾消腫하였다.

임상사례2

•쇼그렌증후군

•여, 44세, 입과 혀의 건조 1년

병원에서 쇼그렌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자음약滋陰藥을 복용했으나 효과가 좋지 않다.

갈증이 있고 코가 마르며 눈이 뻑뻑하다. 월경량이 적다.

혀에 진액이 적고 색은 암홍하다. 맥은 세삭細數하다.

선생은 본 환자를 쇼그렌증후군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으로 진단하였다.

쇼그렌증후군은 간, 비, 신의 음양실조와 관계가 깊고 본 환자는 간신음허증이므로

자양간신滋養肝腎, 익기윤조益氣潤燥법으로 치료하였다.

방약은 자신의 경험방인 자보탕에 구기자, 맥문동, 生황기, 석곡, 生의이인을 가미하여 처방했다.

3개월 복용 후 모든 증상이 거의 소실되었다.

임상사례3

•당뇨병족

•남, 81세. 양측 하지 부종, 좌측 발가락 당뇨병족. 당뇨병 10여년

현재 양측다리에 부종이 있고 좌측 발등에 홍종이 있으며,

발가락의 일부가 자흑색이고 바깥쪽은 문드러졌다.

발등의 동맥박동이 소실되었으며 잘 걷지 못한다.

오른손에 종창이 있고 식욕이 없으며 대변이 건조하다.

설태는 박백하고 맥은 완緩하다.

선생은 본 환자를 기음양허氣陰兩虛, 맥락어조脈絡瘀阻로 진단하고,

자보탕에 生황기, 맥문동, 차전자, 택사, 生의이인, 금은화를 가미하여 처방했다.

1개월 후 차전자, 택사를 빼고 현삼, 구기자를 가미하였다.

이틀에 한 첩씩 반년 동안 복용하여 발가락의 괴저壞疽가 완쾌되었다.

본 병의 병위는 폐, 비, 신이며,

기허와 음허로 인한 혈행血行의 무력과 어체瘀滯로 근맥이 실양失養된 것이다.

자보탕으로 보폐補肺, 건비健脾, 익신益腎하고 여기에

익기건비益氣健脾, 청열리수清熱利水하는 약물을 가미하여 좋은 효과를 보았다.

본 내용은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