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징런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20. 3. 18. 09:01
.
위축성위염과 신장병 치료의 대가
1. 위위안탕萎胃安湯
【조성】 태자삼9g, 炒백출9g, 담삼9g, 시호6g, 적작약9g, 백작약9g, 자감초3g,
서장경15g, 백화사설초30g, 炒황금9g
【공효】 조기활혈調氣活血
【주치】 만성위축성위염
【방해】 장 선생은 만성위축성위염의 주요 병기를 비위불화脾胃不和, 기허혈어氣虛血瘀로 보고
조기활혈調氣活血하는 “위위안萎胃安”을 기본처방으로 사용한다.
처방에서 태자삼과 백출은 군약이다. 태자삼은 감평甘平하고 기능은 인삼과 유사하지만
약력은 강하지 않은 청보淸補하는 약재로서, 건비健脾하지만 조燥하지 않아서
청양淸陽과 중기中氣를 보하되 강조剛燥한 폐단이 없어 구복久服할 수 있다.
그러나 기체완창氣滯脘脹일때는 사용을 삼간다.
백출은 고감온苦甘溫하고 배보비위培補脾胃, 조습조운燥濕助運한다.
습濕이 많을 때는 生백출을 사용하고, 비기脾氣를 보할 때는 炒백출을 사용한다.
군약을 통해 비운득건脾運得健, 중기충족中氣充足하여 “기가 통하면 혈이 통한다氣行則血行”를 꾀한다.
단삼과 적작약, 백작약은 신약이다.
양혈활혈涼血活血, 화영통락和營通絡하여 혈류血流를 통하게 하고 위점막의 혈류량도 개선한다.
시호, 황금은 좌약으로 일승일강一升一降하여 비위의 기기氣機를 조절하고 납운納運을 돕는다.
백화사설초와 서장경은 사약使藥으로 청열지통淸熱止痛하여
허실협난虛實夾雜, 어열호결瘀熱互結 증상을 치료한다.
비기脾氣가 건전해지고, 위기胃氣가 화평을 이루고, 간목肝木이 조달되면,
어열瘀熱이 저절로 없어지도록 하여, 위점막위축을 회복하고
장상피화 또는 이형증식을 제거하여 위암의 발생을 억제한다.
【가감】 위완부 자통刺痛이 있을때는 구향충, 자위피刺蝟皮 등을 가미하고,
창만에는 炒지각, 불수 등을 더하며,
조잡이기嘈雜易饑에는 懷산약, 香편두 등을 더하고,
구조음허口燥陰虛에는 川석곡, 南사삼 등을 가미하며,
납곡불형納穀不馨일때는 香곡아, 초사곡炒楂曲 등을 더하고,
야매불안夜寐不安에는 합환피, 수오등 등을 가미하며,
변당便溏일때는 방풍炭, 포강炭 등을 더하고,
위산결핍胃酸缺乏에는 오매, 목과 등을 가미하고,
궤양이 동반될 때는 백급片, 봉황의 등을 더하고,
위하수 또는 위점막 탈수가 동반될 때는 승마, 生지각 등을 가미하며,
담즙역류에는 선복화, 대자석 등을 더하고,
장상피화 또는 이형증식을 동반할 때는 백영, 백화사설초 등을 가미한다.
2. 안중탕安中湯
【조성】 시호6g, 炒황금9g, 炒백출9g, 香편두9g, 炒백작약9g, 炙감초3g, 소경6g,
制향부9g, 炙원호9g, 팔월찰15g, 초육곡炒六曲6g, 香곡아12g
【용법】 수천복, 1일 2차례 1첩, 식후 1시간에 따뜻하게 해서 복용
【공효】 조간화위調肝和胃, 건비안중健脾安中
【주치】 위창胃脹, 위통胃痛, 구고口苦, 식욕감퇴食欲減退,
혹은 트림과 신물을 동반하며 맥이 현弦, 세현細弦 또는 유세濡細하고,
혀가 약간 붉고 설태가 박황니薄黃膩 또는 백니白膩한 증상이 있는 위병
【가감】 통증이 비교적 심하면 구향충6g을 가미하고,
창만이 심하면 炒지각9g을 더하며,
위완에 작열감이 있을 때는 연교9g 또는 炒지모9g를 더하고,
트림에는 선복화9g, 대자석15g을 더하며,
신물이 넘어올 때는 와릉자15g, 해표소15g을 더하고,
조잡嘈雜에는 炒산약9g을 더하며,
설태가 니膩하고 후厚하면 진패경陳佩梗9g을 가미하고,
혀가 붉고 설태가 없으면 소경蘇梗을 제하고 川석곡9g을 가미한다.
대변이 묽을 때는 초사탄焦楂炭9g을 가미하고,
복통이 같이 있을 때는 포강탄炮薑炭5g, 煨목향9g을 가미하고
변비에는 전괄루15g, 망강남望江南9g을 더하고,
복창腹脹에는 대복피大腹皮9g을 더하며,
X레이 검사결과 위·십이지장궤양일 때는 봉황의鳳凰衣6g, 부용엽芙蓉葉9g을 가미하고,
위점막의 장상피화에는 백화사설초30g을 가미하며,
위점막 위축에는 단삼을 가미한다.
임상사례
•두통
•손모, 여, 20세, 두통 10여년
【초진】 1978년 11월 1일
어려서부터 10여 년 동안 두통을 앓아왔다.
현지 병원에서 뇌전도검사와 신경과 검사를 받았으나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2년 전부터 두통이 오른쪽으로 편중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두통이 발작할 때에는 아래턱과 눈언저리 부위에 묵직한 통증과 함께 잡아당기는 느낌이 있다.
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식욕이 없다.
생리 주기는 정상이나 생리 시에 복통이 있고,
생리량이 적고 어두운 색을 띠며 덩어리진 피가 나온다.
혀는 암홍색을 띠고, 설태는 박니薄膩하며,
혀의 좌측부에는 어점瘀點이 있고, 맥은 유세濡細하다.
본 병은 영혈營血이 부족하고, 간담의 기가 울체되어 열로 화化한 것이며,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담이 생성되고, 어혈이 낙맥을 가로막으면서 발병한 것이다.
선생은 양혈유간養血柔肝, 화담청열化痰淸熱법을 사용하였고 처방은 다음과 같다.
• 처방 : 炒당귀9g, 炒천궁5g, 生백작약9g, 炒백출9g, 陳담성5g, 택사12g,
制반하5g, 生의이인15g, 질려9g, 炒황금5g, 야교등30g, 구등(後下)9g. 14첩
【2진】 1978년 11월 15일
상기 처방을 복용한 후 식욕이 약간 늘었다.
수면의 질이 조금씩 향상되고 있으며, 비장의 운화기능이 조금씩 회복하고 있으나 편두통은 여전하다.
맥은 세細하고 설태는 박니하며 혀의 좌측부에 있는 어점은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
설립재薛立齋는 “오래된 두통의 대부분은 담이 주관한다久頭痛多主痰”고 하였고,
섭천사는 “오래된 통증은 낙맥으로 들어간다久痛入絡”고 하였다.
선생은 기기氣機의 승강작용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궐음경, 소음경의 담열을 내리는 처방을 내렸다.
• 처방 : 단삼9g, 도인5g, 炒천궁5g, 익모초9g, 炒국화9g, 陳담성3g, 서장경15g, 삼칠15g,
구등(후하)9g, 生석결명(先煎)15g, 炒백작약9g, 炒황금9g, 질려9g. 14첩
【3진】 1979년 1월 3일
2진 처방을 복용한 후 편두통은 좋아졌고, 발꿈치와 종아리 안쪽 근육에 잡아당기는 듯 통증이 있다.
혀는 암홍색을 띠고 설태는 박薄하며 혀 좌측부에 어점이 있고, 맥은 세하다.
궐음경과 소음경의 울열은 해소되었고, 담어痰瘀로 인한 증상도 조금씩 호전되고 있다.
간장은 장혈藏血을 주관하고 기운은 근筋에 모인다.
간혈肝血이 부족하면 근육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부실하게 되어 경련통이 나타난다.
선생은 2진 처방에 서경통락舒經通絡 효능의 약물을 가미하여 다음과 같이 처방하였다.
• 처방 : 단삼9g, 도인5g, 炒천궁5g, 익모초9g, 炒백작약9g, 炙감초3g, 生백출9g,
서장경15g, 삼칠15g, 生석결명(先煎)15g, 구등(後下)9g, 질려9g, 炒우슬9g,
炒상지12g, 목과9g. 14첩
【4진】 1979년 3월 8일
3진 처방 복용 후 현재까지 두통이 재발하지 않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1시간 넘도록 책을 읽어도 불편함이 없다.
생리 시에 복통은 사라졌으며 생리량도 예전에 비해 많아지고,
덩어리진 피가 나오는 횟수도 줄어들었다.
설태는 박薄하고, 혀 좌측부에 작은 어점이 있으며, 맥은 세하다.
선생은 3진의 처방을 다시 한 번 처방하였다.
환자는 7개월 정도 중약치료를 받은 후, 편두통 및 기타 증상이 완쾌하였고,
이후 3년 동안 재발하지 않았다.
【해설】 풍風, 화火, 담痰, 허虛, 어瘀가 모두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발생기전 역시 다양하다.
본 안은 완고성두통에 속하는 것으로 원인이 상당히 복잡한 사례에 속한다.
환자의 맥과 증상을 관찰해 본 바,
본 병은 영혈營血이 부족하고, 간담의 기가 울체되어 열로 화化한 것이며,
또한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어 담이 생성되고,
담열과 어혈이 상요上擾하고 낙맥어조絡脈瘀阻하면서 발병한 것이다.
초진에서는 양혈유간養血柔肝, 화담청열化痰淸熱법으로 치료하였다.
처방 중 당귀와 백작약은 양혈유간하며, 백출과 택사는 건비화습하여 승청升淸하도록 하고,
진담성과 반하는 청화담습 작용을 한다.
2진 때는 “병이 오래되면 낙맥에 이른다久痛入絡”에 입각해서 처방하였다.
천궁은 직접 전정巓頂에 도달하고, 단삼과 도인은 활혈화어, 통락지혈하며
항국화, 구등, 석결명은 평잠平潛한다.
3진때는 작약, 감초로 해경지통解痙止痛하고 상지, 목과로 서근통락舒筋通絡하였다.
이 글은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왕멘즈 (0) | 2020.04.03 |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팡허첸 (0) | 2020.03.27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한약처방 - 청폐배독탕 (0) | 2020.03.13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치 (0) | 2020.03.07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허런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