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치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20. 3. 7. 09:01
중의 신장병학腎臟病學 학술 대표자
장치 선생이 창제한 방제
① 화위청담탕和胃清痰湯 : 기침, 가래 등의 증상 치료에 사용
- 조성 : 황금, 맥동, 괄루, 대황, 나복자, 행인, 반하, 황련, 자완, 노근.
② 가미시달음加味柴達飲 : 외감外感과 담탁이 겸한 증상의 치료에 사용
- 조성 : 시호, 황금, 반하, 초과인, 빈랑, 川후박, 지각, 生석고, 금은화, 감초.
③ 익기자음음益氣滋陰飲 : 당뇨병 치료
- 조성 : 황기, 인삼, 옥죽, 생지, 산약, 구기자, 천문동, 토사자. 여정자, 현삼.
④ 보신장양고섭탕補腎壯陽固攝湯 : 요붕증尿崩症 치료
- 조성 : 태자삼, 오미자, 익지인, 煆용골, 煆모려, 맥동, 숙지, 복령, 석련자, 부자, 감초.
⑤ 소견배석탕消堅排石湯 : 요로결석尿路結石 치료
- 조성 : 금전초, 삼릉, 아출, 계내금, 단삼, 작약, 홍화, 목단피, 구맥, 편축, 활석,
차전자, 도인.
⑥ 결명자음決明子飲 : 고지혈증 치료
- 조성 : 결명자, 구등, 국화, 생지, 현삼, 작약, 도인, 당귀, 천궁, 지각, 감
초, 황금.
⑦ 활혈해독음자活血解毒飲子 : 정맥염 치료.
- 조성 : 단삼, 당귀, 왕불유행, 조각자, 炮천산갑, 홍화, 공영, 금은화, 황기,
감초, 유향, 작약, 우슬, 지룡.
⑧ 나영내소음瘰癭內消飲 : 영류나력癭瘤瘰鬁 치료
- 조성 : 해조, 하고초, 炮천산갑, 조각자, 연교, 현삼, 향부, 청피, 시호,
당귀, 천궁, 단피.
⑨ 이비진경탕理脾鎮驚湯: 소아 만비풍慢脾風 치료
- 조성 : 백출, 홍삼, 복령, 반하, 곽향, 사인, 전갈, 갈근, 편두, 감초, 호초.
1. 기맥화어탕黃芪麥化瘀湯
【공효】 익기활혈益氣活血, 자보신음滋補腎陰
【적응증】 관심병 심교통, 각종 원인으로 인한 부정맥. 기음허로 인한 혈어증, 흉통, 기단핍력,
요통, 두훈이명, 오심번열, 심계가 있고, 설이 홍하고 소진하며 맥은 허삭하다.
【조성】 황기, 태자삼, 맥동, 오미자, 생지황, 당귀, 천궁, 단삼, 홍화, 시호, 적작약,
도인, 지각, 여정자, 옥죽, 귀판, 구기자, 감초 등
2. 청폐음
【공효】 청폐양음凊肺養陰, 지해화담止咳化痰
【적응증】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부 감염 등의 해역상기咳逆上氣
주요 증상은 담이 황색이고 끈적이며 배출이 잘 되지 않는다. 흉민 혹은 흉통이 있다.
설은 홍하고 소진하며, 맥은 활 혹은 삭하다.
【조성】 맥동, 사삼, 지모, 川패모, 상백피, 어성초, 생지황, 황금, 괄루, 길경, 지각, 감초, 반하
3. 시령호간탕柴笭護肝湯
【공효】 소간이비疏肝理脾, 청열해독凊熱解毒
【적응증】 옆구리 통증과 창만 동통을 수반한 만성간염.
오심번열, 간장肝掌이 나타나며 설은 적하고 맥은 현 혹은 현삭하다.
【조성】 시호, 백작, 지실, 감초, 백출, 복령, 황기, 오미자, 패장초, 인진, 판람근,
호장, 포공영, 연교
4. 담초국명청간음膽草菊明凊肝飮
【공효】 청간사열凊肝瀉熱
【적응증】 간화상승 혹은 간울화열로 인한 두통, 두현, 이명, 면홍목적, 급조이노.
설질은 홍하고 태는 황조하며 맥은 현삭하다.
【조성】 용담초, 국화, 초결명, 구등, 황금, 생지황, 천궁, 박하, 백지, 감초
5. 지향성비익위탕地香醒脾益胃湯
【공효】 방향성비芳香醒脾, 자음양위滋陰養胃
【적응증】 위음휴모로 인한 위축성 위염, 비후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 궤양,
표층성 위염, 만성 위통 등. 주요 증상은 위완부 통증, 구건, 식욕부진, 복부 창만,
수족심열이고, 설은 홍하거나 소진하고 태는 소태 혹은 무태이며 맥은 세삭하다.
【조성】 생지황, 맥동, 사삼, 공정향, 맥아, 불수, 지각, 감초, 백합
임상사례
•신장성 수종 상열하한증 : 고위구맥탕枯萎萎瞿麥湯
【조성】 고위근枯萎根 20g, 구맥 20g, 부자 15g, 택사 20g, 산약 20g, 복령 15g,
맥동 20g, 지모 15g, 황기 30g, 계지 15g, 감초 10g
【공효】 온신건비溫腎健脾, 청폐리수凊肺利水
【주치】 신장질환, 전신부종이 있고 소변 양이 적고, 허리에 산통酸痛이 있으며,
구건, 갈증, 인통이 있다. 추위를 타며 사지가 차갑고 무거우며 대변이 묽다.
설은 홍하고 태는 백하며, 맥은 침활沉滑한 증상에 사용한다.
【방해】 본 방은 폐에 열이 있고, 신장은 차며 비장이 허한
상열하한上熱下寒을 치료하기 위한 방제이다.
폐는 수水의 상원上源이고 방광과 피부로 가는 수도水道를 조절한다.
만약 폐에 열이 있으면 청숙하행凊肅下行에 문제가 생기고,
인후가 건조하고 통증이 있으며 갈증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수종이 있다.
설은 적赤하고 태는 박백소진薄白少津하다.
비장은 건운健運을 주관하는데 수곡정미水穀精微와 수습을 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체에 정미精微를 운송하는 수액대사의 중추인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되면
전신에 정미가 분포되지 않고 수습이 운화되지 못하여 정체하면 수종이 발생한다.
신장은 개합開闔하는 장기로서 개합은 신장의 음양이 잘 균형을 이루어야 제 기능을 발휘한다.
만약 신양이 허하면 개합기능이 실조되고 팔다리가 차고 허리와 무릎이 쑤시며 소변을 보기가 힘들다.
폐, 비, 신 세 장기의 기능 실조가 본 질환의 핵심 병기이다.
본 방은 고위근, 맥동, 지모를 사용하여 폐열을 내려 청숙하행凊肅下行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황기, 산약, 감초를 사용하여 익기건비리수益氣健脾利濕하여 비장을 튼튼히하여 운화기능을 회복시킨다.
복령과 택사. 구맥은 소변배출을 도와 수습을 제거한다.
부자와 계지는 온보신양溫補腎陽하여 기화氣化를 돕고,
신양腎陽을 충만하게 하여 한寒을 몰아내어 개합기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상기 약들의 조합은 한열병용寒溫並用, 청상온하凊上溫下, 보중補中하여
폐, 비, 신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여 복잡한 질병을 치료한다.
•신장증후군, 사구체신염
•사오邵xx, 여, 24세
【기왕사】 2006년 4월, 외감外感 후 양 하지부종, 복부팽창 출현,
하얼빈의과대학부속 제2의원에서 소변검사 :
단백뇨 3+, 혈장 알부민 낮음,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하고
호르몬, 뇌공등다식편雷公藤多試片 및 사이톡산Cytoxan을 사용하여 치료하였으나
여전히 부종이 있음.
【초진】 2007년 10월 8일
양 하지부종, 가끔 메스꺼움, 양쪽 다리가 차고, 요산핍력腰酸乏力, 구건口乾,
설질은 자홍紫紅하고, 설태는 백, 맥은 활脈滑.
소변검사: 단백뇨 3+, 적혈구 2+, 백혈구 3~4개/Hp, 혈장 알부민 15.7g/L,
총 콜레스테롤 10.89mmol/L, 트리글리세리드5.51mmol/L, OX-LDL 8.12mmol/L.
- 중의변증 : 폐열비신허肺熱脾腎虛의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
- 서의진단 :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
- 치법 : 청폐온신리습법凊肺溫腎利濕
- 처방 : 고위구맥탕 가감
고위근15g, 구맥30g, 지모15g, 맥동15g, 황기30g, 부자10g, 복령20g, 택사15g, 편축20g,
차전자30g, 토복령30g, 석위20g, 황금15g, 태자삼20g, 여정자20g, 금앵자15g, 생지15g, 감초15g.
【2진】 2007년 10월 15일
환자의 양측 하지부종과 차가운 증상은 소실됨.
그러나 요산핍력과 구건은 여전함.
설질은 담홍하고 태는 소, 건조하며 맥은 삭하다.
보신양음거풍제습법補腎養陰祛風除濕法으로 치료하여 제 증상이 사라졌다.
【해설】 고위구맥탕은 《금궤요략金匱要略》의 고위구맥환을 가미하여 만든 방제이다.
《금궤요략·소갈소변불리임병맥증병치》에는
“소변불리하고, 수기水氣가 있으며 갈증이 있다면 고위구맥환을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으며
금궤요략 원방은 고위근, 구맥, 부자, 산약, 복령으로 조성되었다.
본 방제는 상초의 조열燥熱을 청凊하고, 하초의 허한虛寒을 온溫하며, 방광기화를 도와 소변을 통하게 한다.
만성 사구체신염, 신장증후군 등의 질병은 병정이 길고 병기가 복잡하며 쉽게 낫지 않는다.
또한 치료과정에서 당질코르티코이드 혹은 세포독성이 있는 약물을 상용하면
한열착잡寒熱錯雜과 수습유연水濕留戀이 나타나고 단백뇨의 완치가 어렵다.
증상은 주로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으로 표현된다.
고위구맥탕은 이러한 질병의 치료에 아주 효과적이다.
임상사례
•하초어열下焦瘀熱로 인한 신장성 혈뇨 : 도황지혈탕桃黃止血湯
【조성】 도인20g, 대황7-10g, 계지15g, 작약20g, 생지30g , 백모근50g, 소계30g, 측백엽 20g, 감초 10g
【공효】 사열축어瀉熱逐瘀, 양혈지혈涼血止血
【주치】 급성 사구체 신염, HS자반성 신염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급만성 신우신염, 방광염 및 소변이 자줏빛 또는 간장색을 띠거나 혈뇨가 있을때 사용한다.
배뇨 시 통증이 있거나 불창不暢함, 소복창통小腹脹痛, 요통, 변비, 수족심열手足心熱이 나타나고,
설은 암홍색 또는 홍자소진紅紫少津하고, 태苔는 백白하고 건조하며, 맥은 활滑 또는 활삭滑數하다.
【방해】 본 방의 병기는 하초의 어열결체瘀熱結滯와 혈이 귀경歸經하지 못하는 것이다.
주요 방약은 도인, 대황으로 도인은 활혈윤조活血潤燥, 대황은 사열개어瀉熱開瘀 한다.
두 약을 배오하면 사열축어瀉熱逐瘀하는 공효를 가지는데, 열사를 제거하면 출혈이 멈춘다.
계지는 온통溫通하는 약으로 한이 응결되지 못하게 하고,
소계, 백모근, 측백엽, 생지황은 양혈청열지혈하는 약으로
함께 사용하면 청열지혈凊熱止血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혈뇨증
•왕王xx, 여성, 40세.
【기왕사】 반복적 혈뇨 2년, 빈뇨, 요급尿急, 요통尿痛, 인후종통咽喉腫痛이 동반됨.
2006년 1월, 하얼빈의과대학 부속 제2병원에서 “사구체 신염,
경도 계막증식 병변輕度系膜病變” 진단을 받음,
항생제 등 약물을 복용하고 증상이 완화됨.
【초진】 2007년 8월 6일
감기로 인한 혈뇨가 반복적으로 발생, 구간인통口幹咽痛, 빈뇨尿頻, 요통이 동반됨,
설질舌質은 홍, 소태少苔하며, 맥은 활삭滑數. 소변검사 결과 : 적혈구 3+, 단백뇨 2+, 세균+.
• 중의변증 : 하초 습열내조濕熱內阻로 인한 혈뇨증.
• 서의진단 : 사구체 신염, 경도 계막병변輕度系膜病變
• 치법 : 청열량혈지혈
• 처방 : 금은화30g, 연교20g, 천화분20g, 소계30g, 백모근20g, 측백엽30g, 현삼20g,
맥동15g, 포황15g, 우절20g, 炒치자15g, 감초15g. 수전복, 매일 1첩, 14첩
【2진】 2007년 8월 20일
환자는 탕약 14첩을 복용한 후에도 여전히 혈뇨가 나오며 피곤하면 제 증상이 심해짐.
요부 통증, 소복小腹 팽창, 변비, 설질은 암홍. 태는 백하고 건조하며,
맥은 활삭滑數. 혈뇨가 오래된 것을 보아
음분이 이미 손상되고 습열내정濕熱內停하여 혈맥이 상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랜 질병은 반드시 어혈이 있으므로 하초어열호결下焦瘀熱互結로 변증하고
사열축어瀉熱逐瘀, 양혈고섭지혈涼血固攝止血법으로 치료함.
방제는 도황지혈탕 가감방을 사용.
• 처방 : 도인10g, 대황5g, 작약10g, 생지20g, 소계30g, 백모근30g, 炒치자15g, 황금10g,
삼칠10g, 해표소20g, 천초20g, 용골20g, 모려20g, 종려炭20g, 혈여炭15g, 산수유20g,
구기자20g, 감초15g.
14첩을 복용하고 제 증상이 호전됨.
【해설】 도황지혈탕은 《상한론》 도핵승기탕의 방광축혈증膀胱蓄血證 치료 원리에 따라 만든 방제로서
사열량혈瀉熱涼血, 산결지혈散結止血하여 어열로 인한 출혈을 멎게 한다.
본 방의 변증 요점은 “어열호결瘀熱互結”로,
주요 증상은 하복만통下腹滿痛, 소변적삽小便赤澀, 변비이며
설은 홍하고 설태는 건乾하다는 것이다.
임상관찰결과 다수의 환자들이 일반적인 양혈지혈 방제로는 이상적인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에 양혈지혈하는 처방에 대황, 도인을 가미하여 처방하였더니 혈뇨증상이 소실되었다.
단, 대황의 용량을 너무 많이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정리한 내용입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징런 (0) | 2020.03.18 |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한약처방 - 청폐배독탕 (0) | 2020.03.13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허런 (0) | 2020.03.03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루즈정 (0) | 2020.02.27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옌정화 (0) | 202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