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석고(좌)와 세신(우)]
 
 

 

효능

청열지통 淸熱止痛

주치(主治)

풍열두통 風熱頭痛

아통 牙痛(치통)

해설

석고 石膏는 성질이 매우 차고 무거워

직접 폐와 위장의 열을 식히고

청울열 淸鬱熱, 해기 解肌한다.

세신 細辛은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해

상초 上焦의 모든 구멍의 부열 浮熱을 선리 宣利하고

상하 上下의 풍사 風邪를 소산 疏散하여

능히 도달하지 못하는 곳이 없으며

또한 통락지통 通絡止痛할 수 있다.

세신 細辛을 소량, 석고 石膏를 대량 사용하면

청위열 淸胃熱, 지아통 止牙痛하며

이때의 熱藥(細辛)은 寒劑로 들어가

반좌 反佐의 의미를 취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細辛의 성질은 희미해지고

통증을 멈추게하는 효용 效用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p.s: 석고와 세신의 조합은

치통이 심할때 사용합니다.

지금이야 치과가 있고, 진통제가 개발되었지만

그때 당시만 해도 이빨과 관련된 염증과 통증은

잡기가 쉽지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치아와 관련되어 사용하는 대표적인

처방인 옥지산을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옥지산[ 玉池散 ]

지골피, 백지, 세신, 방풍, 승마, 천궁,

당귀, 괴화, 고본, 감초 각 4g

생강 3쪽, 검은콩 100알 [동의보감]

풍사(風邪)나 충(蟲)으로 잇몸이 헤지고 고름과 피가 나오며

이가 흔들리며 아픈 데, 골조풍(骨槽風)과 이뿌리가 드러난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더운 것을 입에

물고 있다가 식으면 뱉어 버린다.

출처: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위

사용량

석고 石膏 30g / 세신 細辛 3g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약용으로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른 봄에

새싹이 나오는 식물 중에 족도리풀을 빼놓을 수가 없다.

잎이 나오는 것을 보면 흡사 파란 종이를 구겼다가 놓은 것 같지만

얼마 안 있으면 꽃이 땅속에서 피어난다.

이름하여 족도리풀, 꽃의 색깔은 흑자색 혹은 검붉은색이지만

꽃잎이 뒤로 넘어지면서 둥글게 꼬이는 것이 마치

시집가는 옛 여인의 족도리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세신(細辛) 또는 소신(小辛)이라고 부르는 것은

뿌리가 아주 많이 달리는데 가늘고 맵고 그 수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기원

이 약은 쥐방울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의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

성분

휘발성 성분인 α-pinene, camphene, β-pinene, myrcene, sabinene,

limome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씹으면 특이한 향취를 느끼게 된다.

약리작용

1. 해열 진통작용

2. 항경련작용

3. 항염작용

4. 면역억제작용

5. 뇨단백 배설 억제작용

6, 기관지 이완작용

7. 관상동맥의 혈류 증가작용

8. 항돌연변이 작용

9. 평활근의 경련 완화작용

10. 항균작용

효능

감기로 인한 오한발열, 전신통을 제거하고

두통, 치통, 사지마비동통, 해수천식, 비염, 축농증, 구내염에 유효하다.

임상응용

1. 호흡기 감염증

1) 감기로 땀이 없으면서 오한발열, 전신통, 두통에

세신(細辛) 소엽(蘇葉) 4g, 강활(羌活) 방풍(防風) 각 8g,

창출(蒼朮) 갈근(葛根) 백지(白芷) 각 6g, 감초(甘草) 2g을 복용하면

발한, 해열, 지통(止痛)작용으로 치료된다.

특히 감기 바이러스의 살균작용을 하며 치유된다.

2) 양허(陽虛)증으로 인한 감기로 맥박이 침지(沈遲)하고 오한발열, 땀이 없는 증상에는

세신(細辛) 부자(附子) 4g, 마황(麻黃) 6g, 계지(桂枝) 8g을 복용하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체온이 상승하고 냉기를 제거하여 치료한다.

3) 감기로 체력이 약해지고 오한발열에 해수가 장기간 지속되며

맥박이 매우 약하면 세신(細辛) 4g, 창출(蒼朮) 방풍(防風) 강활(羌活) 각 8g,

인삼(人蔘) 6g, 부자(附子) 2g으로 기력을 상승시키면서 혈류를 촉진시켜야 한다.

4) 감기로 해수가 오래도록 치유되지 않으면서

몸이 차고 가래가 많고 색이 희며 호흡이 급하면

세신(細辛) 4g, 길경(桔梗) 15g, 오미자(五味子) 6g,

건강(乾薑) 자완(紫菀) 관동화(款冬花) 각 8g을 복용하여

거담, 진해작용으로 치유한다.

5) 감기로 두통이 심하고 잦은 기침과 가래, 전신동통을 호소하면

세신(細辛) 4g, 독활(獨活) 강활(羌活) 갈근(葛根) 천궁(川芎) 녹차(綠茶) 각 8g,

계지(桂枝) 6g으로 지통(止痛)작용과 냉기를 제거하여 치료한다.

2. 치통

치통에 세신(細辛) 백지(白芷) 4g 분말을 물고 있으면 지통(止痛)작용을 얻게 된다.

진통작용과 살균 효과로 충치 예방과 치료에도 효력을 보인다.

3. 비염

1) 냄새를 못 맡는 증상

세신(細辛), 과체(瓜蔕) 각 1g을 분말로 하여 코 안에 넣으면

재채기를 하면서 콧물이 나오고 냄새를 맡게 된다. 이를 반복한다.

2) 축농증

세신(細辛) 4g, 어성초(魚腥草), 유백피(楡白皮), 갈근(葛根),

길경(桔梗), 신이(辛夷), 창이자(蒼耳子) 각 8g을 전탕하여

1일 2-3회 공복에 복용하면 배농 살균 소염작용으로 치유된다.

용량

2-8g

금기

빈혈이 있는 자, 기허하면서 땀이 많은 자는 복용을 금한다.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칼럼 모음 > 안덕균교수-약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유(山茱萸)  (0) 2020.08.21
하고초(夏枯草) - 꿀풀  (0) 2020.08.15
향유(香薷) - 노야기  (0) 2020.08.05
황금(黃芩)  (0) 2020.07.25
천문동(天門冬)  (0) 2020.06.27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세신이란?

세신은 가늘 세(細) 매울 신(辛)을 의미합니다.

뿌리가 가늘고 매우 매운맛을 내기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매운맛의 정도는 처음에는 미미하지만 그 강도가

혀가 얼얼해 마비될 정도입니다.

국산과 중국산

국산은 대부분 자연산으로

채취되어 유통되지만 그양이 매우 미미하며

중국산은 요녕성에서 나는 세신은 '요세신'이라 하여

그 품질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산은 뿌리채 말려서 유통되는 반면

중국산은 대부분 절단되어 수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세신의 독성

세신은 뇌두에 독성이 있다고 알려져있으며

실제로도 간독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기에

반드시 뇌두를 제거하고 사용해야합니다.

가끔 일반분들이 산에서 채취한 후에 모르고 먹었다가

독성이 발현되어 응급실로 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셔야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요녕성의 지세는 북에서 남으로 향하고 있고,

동서 양쪽이 중부(中部)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동서양쪽은 저산(低山) 구릉지대로 성(省) 전체 면적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중부(中部)는 동북에서 서남으로 향하는 완만한 경사의

장방형(長方形)평원지대로 전체 면적의30%를 차지하며,

수면(水面)과 기타지역이 10%를 차지한다.

전체 성은 동부의 산지구릉지대와 서부의 저산(低山)구릉,

중부의 평원, 이렇게 크게 셋으로 나뉘어진다.

남쪽은 황해(黃海), 발해(渤海)와 이어져 있어 해안선이 2100km에 이른다.

요녕성은 수계(水系)가 잘 발달해 있다.

주요하천으로는 압록강(鴨綠江), 태자하(太子河), 택하(澤河), 요양하(繞阳河),

대능하(大凌河), 소능하(小凌河) 등이 있어 수리(水利)자원이 풍부하다.

본 성(省)은 온대(溫帶), 난온대(暖溫帶)의 습윤(濕潤), 반습윤(半濕潤)

계절풍 기후 지대로 겨울은 한랭(寒冷)하고 봄은 짧고 바람이 많다.

연평균기온은 4-10℃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5~-18℃이고,

가장 더운 7월(연해지역은 8월)의 평균기온은 22~26℃,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3400~3800℃이다.

연간 일조(日照)시간은 2387~2917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120~200일이다. 연강수량은 400~1200ml으로

동북지역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성(省)이다.

토양은 갈색삼림토, 갈토(褐土), 수도토(水稻土), 사토(沙土), 초전토(草甸土),

소택토(沼澤土), 염감토(鹽䃭土) 등이 있다.

동부의 식생(植生)은 온대(溫帶) 침활혼교림(針闊混交林),

서부는 온대 삼림초원 이외에 대부분의 지역이 온난대 활엽림이다.

중부는 대부분이 경작지이고 일부지역만이 약간의 초전(草甸)으로 덮여있다.

 

[요녕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성(省) 전체의 약용식물은 1237종, 약용동물이 389종,

광물약 63종으로 전체 1689종의 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와 양식 약재가 50여종으로 그 중 전통적인 재배품종은 20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은 3만무(亩),연 생산량은 130만kg이다.

수매약재는 200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700만kg이다.

 

주산품종

인삼(人參) : 주산지는 환인(桓仁), 본계(本溪), 신빈(新賓), 청원(淸原), 무순(撫順),

봉성(鳳城),관전(寬甸), 개원(開原), 서풍(西豊), 요양(遼阳), 수중(綏中) 등의 현(县)이다.

본(本) (省)의 연간 생산량은 전국 2위를 차지하며 전국에 공급되고 수출된다.

특히 전(寬甸) 현의 석주자(石柱子) 촌에서 재배되는 것은

산삼(山參)형의 인삼이라 "석주삼(石柱參)ˮ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미 2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석주삼(石柱參)은 노두가 길고 형태가 아름다우며 껍질이 얇고 주름이 깊다.

껍질에는 수염뿌리가 있는데 진주흘탑(珍珠疙瘩진주모양처럼 달린 덩이조직)이

있는 것이 재배 인삼 중에서도 진품(珍品)이다.

 

 

세신(細辛) : 주산지는 환인(桓仁), 본계(本溪), 신빈(新賓), 청원(淸原),

무순(撫順), 봉성(鳳城), 관전(寬甸) 등의 현(县)이다.

향이 짙고 품질이 좋아ʻ요세신(遼細辛)ˮ 이라 불린다.

야생자원이 감소하면서 지금은 인공재배로 기른다.

본 성(省)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30% 이상으로 2위를 차지한다.

 

오미자(五味子) : 환인(桓仁), 본계(本溪), 신빈(新賓), 청원(淸原), 무순(撫順),

봉성(鳳城),관전(寬甸), 수암(岫岩), 요양(遼阳)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열매가 크고 색이 붉으며 부드럽고 기름져 품질이 우수하다.

ʻ요오미(遼五味)ˮ라 불린다. 과거에는 야생자원에 의존했으나

현재는 창도(昌圖), 개현(盖县), 대련(大連) 등의 현(县)과 시(市)에서 재배하고 있다.

 

황기(黃芪) : 환인(桓仁), 본계(本溪), 요양(遼阳) 등의 현(县)에서

재배되며 성(省) 내외로 공급되고 있다.

 

의이인(薏苡仁) : 요녕성(遼寧省) 중부 요하(遼河) 평원의 신민(新民),

요중(遼中)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품질이 우수하고 재배 역사가 매우 길다.

정상적일 경우 연간 생산량이 백만kg이상으로 국내외로 공급되고 있다.

 

녹용(鹿茸) : 서풍(西豊), 신빈(新賓), 환인(桓仁) 등 현(县)이 주산지이다.

매화록(梅花鹿)의 사육은 그 역사가 매우 길어 대규모의

국영 양록장(養鹿場)과 집체(集體) 양록장(養鹿場)이 있다.

여기서 나는 녹용은 국내외로 공급되고 수출된다.

 

석결명(石決明) : 대련(大連), 신금(新金), 장하(庄河), 흥성(興城) 등지의

연해(沿海)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전국 생산량의 1위를 차지한다.

 

황금(黃芩) : 대개 건창(建昌), 객좌(喀左), 능원(凌原), 조양(朝阳),

수중(綏中), 부신(阜新) 등의 현(县)과 시(市)가 주산지이다.

 

황백(黃柏) : 본계(本溪), 환인(桓仁), 관전(寬甸), 봉성(鳳城),

신빈(新賓), 청원(淸原) 등의 현(县)과 시(市)에서 주로 생산된다.

 

위령선(威靈仙) : 성(省) 내의 산지에 모두 분포되어 있지만 대련(大連),

금현(金县), 환인(桓仁), 신빈(新賓), 개현(盖县), 영구(營口),

조양(朝阳) 등의 현(县)과 시가 주산지이다.

 

승마(升麻) : 환인(桓仁), 신빈(新賓), 청원(淸原), 본계(本溪),

봉성(鳳城), 관전(寬甸) 등의 현(县), 시(市)가 주산지이다.

 

요녕성(遼寧省)의 주요 약재로는 이외에도 평패모(平貝母),당삼(党參),

자초(紫草),용담(龍膽), 시호(柴胡), 산조인(酸棗仁), 전갈(全蝎),

합마유(蛤蟆油), 섬수(蟾酥), 해마(海馬), 해표소(海螵蛸)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세신은 쥐방울덩굴과

족두리풀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말합니다.

쥐방울덩굴과에는

대표적으로 마두령과 청목향이 있습니다.

마두령은 쥐방울덩굴의 열매이고,

청목향은 쥐방울덩굴의 뿌리입니다.

 

유럽에서 신장기능 이상, 신장암 및 방광암을 유발시킨 식물은

당시 중국에서 홍콩을 경유하여 유럽으로 수출되던 중

목방기 대신 광방기 등 이름이 비슷한 기원식물이

다른 약재를 오용하던 중에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목방기와 달리 광방기에는 청목향의 성분과 마찬가지로

신장암을 유발시키는 아리스톨로크산이 있습니다.

수년전부터 국내에서 청목향과 광방기는 금지되어

지금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신이나 목통에도 이 성분은 미량 들어있으며,

향후 독성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라 유통여부는 달라질 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청목향이 유럽과 미국에서 금지되자 2003년,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던 청목향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독성시험이 있었습니다.

당시 국내산과 중국에서 수입되던 쥐방울덩굴이 둘 다 유통되고 있었는데,

연구는 국내산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corta)에 대한

일반독성시험과 유전독성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유전독성시험결과 마두령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물론

마우스의 골수세포에서 약하기는 하지만 소핵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청목향 역시 복귀돌연변이 및 소핵을 유발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일반독성 시험은 13주 반복독성시험으로 진행되었으나

사망하거나 체중변화가 있거나 검사상 특이한 독성 등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부검소견 결과, 수컷 500mg/kg 투여군에서 비선위의 비후 및

암수 125 및 500mg/kg 투여군에서 비선위부 편평세포 과형성,

암수 50mg/kg 투여군에서 평편세포 유두종,

수컷 500mg/kg 투여군에서 편평세포의 궤양과 미란,

암수 25mg/kg 이상 투여군에서 방광의 이행상피세포 과형성이

유발되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무해용량(NOAEL)은 수컷과 암컷에서 5mg/kg로 언급되었습니다.(김충용, 2003)

 

결국 2005년 6월 1일부로 이들 약재는 시중에서 퇴출되었으며

유통이 정식으로 금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지금도 유통되고 있는 세신은 어떨까요?

세신 역시 신장독성이 있는 약재입니다.

때문에 신장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에겐 사용을 금하거나 주의해야 합니다.

20g 이상 복용시 입술, 혀, 사지 말단에 마비감을 느끼게 됩니다.

물론 복약을 중단하면 수시간 내로 회복이 됩니다.

동물들에게 장기간 소량으로 먹였더니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요?

고양이나 개, 쥐 등에게서 간이나 콩팥에 지방변성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세신의 정유성분인 safrole은 비타민B2와 비타민E가 부족한 음식을 먹었을 때

더더욱 간암, 간종양이 더 쉽게 유발되었다고 합니다.(한약독성학 29쪽)

출처:민족의학신문 한약독성 칼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약초 세신]

세신은 족도리풀과 민족도리풀의 뿌리를 약용부위로 사용합니다.

맛은 맵고(辛) 성질은 따뜻하며(溫)

영향을 미치는 장부는 간과 신장 그리고 방광입니다.

세신의 효능

*거풍산한(祛風散寒)-바람과 차가운 기운을 없앱니다.

몸의 상태가 날씨로 비유하자면 바람불고 춥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상태를 호전시킨다는 의미입니다.

*통규지통(通竅止痛)-막힌 구멍을 뚫어 통증을 그치게 합니다.

여기서 막힌 구멍이랑 바로 코를 의미합니다.

*온폐화음(溫肺化飮)-폐를 따뜻하게 해서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한방에서 수분대사를 관장하는 장기는 폐와 신장으로 보는데, 폐가 차가워져서

그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따뜻해서 폐의 수분대사 기능을 정상으로 돌린다는 의미입니다.

약리작용

*국부마취작용-백지보다 강합니다.

*해열진통작용, 항균작용,

*호흡기와 심혈관계통에 영향을 미치는데

소량일 경우에는 흥분시키고 다량을 사용하면 억제합니다.

*신진대사를 활발하게하는 작용이 밝혀져 있습니다.

적용증상들功效主治

1.피부가 두꺼운 사람이 감기초기에 땀이 나지않는 경우

신체가 허약한 상태에서 감기에 걸렸는데 땀은 나지 않으면서 손발이 차가울 때

2.몸살감기로 몸에 마비감이 있거나 감각이 둔할 때, 두통, 치통

3.코막힘, 축농증, 중이염

4.감기로 묽은 가래가 있고, 기침이 연달아 날때

5.감기가 진행되어 배가 답답하고 가스차고 구토가 일어날 때

기타

1.처음에 뿌리를 씹어보면 별 이상이 없다가

혀가 마비될 정도로 얼얼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2.입에 궤양이 생기거나 상처가 났을 때는 세신을

가루를 내고 식초에 개서 배꼽에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3.한방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을 꼽자면 바로 치과질환입니다.

특히 치통과 과련된 처방에서 세신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세신이 들어가는 대표적인 처방은 소청룡탕으로 약국에 생약제제(과립제)

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감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처방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길림성(吉林省)은 동남(東南)은 높고 서북(西北)은 낮은 지세이다.

산의 높이는 대개 해발1000m이상으로 장백산(長白山)의

주봉인 백운봉(白雲峰)의 해발은 2691m이다.

 

중부(中部)는 구릉대지(臺地)로 일반적으로 해발이 500m를 넘지 않는다.

저산(低山)과 구릉, 분지, 평원 등이 서로 함께 분포하고 있다.

서부(西部)는 평원지역으로 지세가 평이하고,

소택(沼澤호수 등)과 염지지(鹽漬地)가 대부분이다.

일부지역은 사막화 지형을 보이고 있다.

 

산지구릉은 성(省)전체 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고

평원(平原)의 경작지는 30%, 초지(草地)는 15%, 수역(水域)과 기타 용지가 15%를 차지한다.

전체 성(省)에서 30km이상이 되는 하천은 총 221개로 각각

송화강(松花江), 압록강(鴨綠江), 도문강(圖們江), 요하(遼河), 수분하(綏芬河) 등

5대 수계(水系)에 나뉘어 속해 있다.

 

본 성(省)은 온대(溫帶) 대륙성 기후 지대로 봄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고,

여름은 무덥고 비가 많다.

가을은 시원하나 일교차가 크고, 겨울은 한랭(寒冷)하고 매우 길다.

 

성(省)의 기온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올라가는데 연평균기온은 4℃정도이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18~-20℃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24℃이며

연간 일조(日照)시간은 2200~3000시간이다.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2100~3200℃이며,

무상기(無霜期)는 125~160일이다.

연강수량은 400~1000ml으로 동(東)에서 서(西)로 갈수록 강수량이 적어 진다.


토양유형은 회화토, 삼림부식토, 종랑화회랑토, 생초회화토,

흑토, 흑개토, 풍사토, 염감토(鹽䃭土), 초전토(草甸土),충적토(冲積土),

수도토(水稻土) 등19개 유형이 있다.

식생은 동부는 침활혼교림(針闊混交林)이, 중부는 삼림초원이, 서부는 초전초원이 분포하고 있다.

 

[귀주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1412종의 약용식물과, 324종의 약용동물, 45종의 광물약 등

총 1781종의 약재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20여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은 2.8무(亩)로 연간생산량은 50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약 220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700여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인삼(人參) : 거의 30여개 현에서 재배하고 있다. 

주산지는 무송(撫松), 집안(集安), 장백(長白), 정우(靖宇),

혼강(渾江), 통화(通化) 유하(柳河), 휘남(輝南) 등의 현과 시이다. 

본 성은 중국의 인삼의 주산지로 ʻ인삼의 고향ˮ이라는 별명까지 붙어있다.

연간 생산량은 전국의7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전국 각지에 공급되며 대량이 수출된다.

 


녹용(鹿茸) : 성전체에서 광범위하게 양록(養鹿) 하고 있다. 

약 80여개의 국영 녹양장 외에도 여러개의 기업녹양,개인 녹양장이 있다.

주산지는 쌍양(雙阳), 동풍(東豊), 동료(東遼),돈화(敦化), 이통(伊通),

휘남(輝南), 이수(梨樹), 교하(蛟河), 용정(龍井), 길림(吉林)등의 현과 시이다.

생산되는 매화록(梅花鹿)은 굵고 크고 살지고 튼실하면서도 연하고 형태가 아름답다.

색이 좋고 품질이 우수하다.양녹(養鹿)하는 수량이 전국의 60%를 차지,

녹용 생산량이 전국 제일을 차지하고 있다.

 

세신(細辛) : 야생과 재배가 모두 있다.

야생은 동부 산지에 분포하는데 혼강(渾江), 장백(長白), 무송(撫松),

안도(安圖), 정우(靖宇), 유하(柳河), 집안(集安)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30%을 차지해 1위를 점하고 있다.

 

길경(桔梗) : 야생은 성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동부 산지에 비교적 많고 연변주의 생산량이 많은 편이다.

 

황기(黃芪) : 혼강(渾江), 무송(撫松), 집안(集安), 화룡(和龍), 안도(安圖),

왕청(汪淸), 돈화(敦化),화전(樺甸), 교하(蛟河), 영길(永吉) 등의 현과 시에서 생산되는데

모두 ʻ북기(北芪)ˮ라 한다.품질이 우수할 경우 ʻ편간기(鞭竿芪)ˮ라고도 한다.

 

황백(關黃柏) : 주산지는 돈화(敦化), 정우(靖宇), 팔도강(八道江), 임강(臨江), 삼차자(三岔子), 

돈화(敦化), 반석(磐石), 화전(樺甸), 교하(蛟河) 등의 현(县)과 구(區)이다.

 

감초(甘草) : 서부 초원과 초전(草甸)지대에 분포한다.

주산지는 전곽이라사(前郭尔羅斯), 통유(通楡), 조남(兆南), 장령(長齡),

대안(大安), 진분(鎭賁) 등의 현(县)이다.

 

오미자(五味子) : 요오미(遼五味) 혹은 북오미(北五味) 라고 한다. 

집안(集安), 통화(通化), 유하(柳河), 무송(撫松), 혼강(渾江), 안도(安圖), 돈화(敦化),

용정(龍井), 혼춘(琿春), 화전(樺甸), 왕청(汪淸) 등의 현(县)과 시에 분포하고 있다. 

연간수매량이 동북지역에서는 가장 많다.

 

천마(天麻)야생종과 재배종이 모두 있다.

주산지는 돈화(敦化), 정우(靖宇), 장백(長白), 임강(臨江), 돈화(敦化), 화전(樺甸) 등의 현(县)과 시이다.

 

창출(蒼朮) : 주산지는 통화(通化), 집안(集安), 유하(柳河), 장백(長白), 왕청(汪淸),

화전(樺甸),교하(蛟河), 동풍(東豊), 구태(九台), 쌍양(雙阳) 등의 현(县)과 시이다.

 

적작약(赤芍藥) : 주산지는 통화(通化), 집안(集安), 정우(靖宇), 화룡(和龍), 장백(長白),

왕청(汪淸), 돈화(敦化), 화전(樺甸), 교하(蛟河), 동료(東遼), 조남(兆南), 쌍양(雙阳) 등의 현(县)과 시이다.

 

상술한 품종이외에도 정력자(葶藶子),당삼(党參),지모(知母),위령선(威靈仙),천산갑(穿山甲),
위유(玉竹), 황정(黃精), 평패모(平貝母), 자오가(刺五加), 합마유(蛤蟆油), 관목통(關木通), 
지유(地楡)등의 야생자원도 풍부한 편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