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속수자]

 

 

속수자란?

속수자(續隨子) Euphorbia lathyris Linné (대극과)의 씨이다.

천금자(千金子), Caper-Spurge라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성질은 따뜻하다.(溫),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위,방광(肺, 胃, 膀胱)이다.

 

약리작용

위장(胃腸)에 자극작용이 강렬하여 설사를 일으키는데 피마자유보다 3배나 강하다.

지방유가 40∼50%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독성을 일으킨다.

주치(主治)

1. 축수소종(逐水消腫)

①. 수종(水腫) ②. 담음(痰飮)

2. 파징화담(破癥化痰)

①. 혈징(血癥) ②. 경폐(經閉)

3. 해독살충(解毒殺蟲)

①. 개창(疥瘡) ②. 사상(蛇傷)

임상응용

1. 설사와 이뇨작용이 맹렬하므로 배가 심하게 부르고 소변을 못보는 증상에 활용된다.

2. 파혈(破血)작용이 있어서 징가(癥痂)를 치료하므로 오랫동안 생리가 없을 때에 사용한다.

3. 살충작용이 있어서 옴이나 뱀 물린데 외용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파두]

 

 

파두란?

파두(巴豆) Croton tiglium Linné (대극과)의 열매이다.

쓸 때는 씨만을 쓴다.

맛은 맵고(辛), 성질은 따뜻하다(溫),

독성이 매우 강하고(大毒) 작용장부는 위, 대장, 폐(胃, 大腸, 肺)이다.

약리작용

일본 뇌염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작용

이담(利膽) 작용

파두성분

파두의 종자에는 34~57%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피부에 강한 자극을 주므로발포제나 준하제로 쓰는데

파두의 기름은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파두 성분 가운데 Phorboldiester에는 발암작용이 있고,

crotin은 일종의 독성 globulin이며, Crotonoside와 β-Sitosterol 등이 들어 있다.

 

주치(主治)

1. 준하한적(峻下寒積): 대변을 못보는 경우.

파두의 기름을 최대한 제거한 파두상(霜)으로 사용해야함.

열적(熱積)에 대황(大黃)과 행인(杏仁)을 같이 넣어 사용함.

2.축담행수(逐痰行水)

①. 대복수종(大腹水腫): 복수

②. 거담이인(祛痰利咽)

3. 배농소종(排膿消腫): 환부에 붙여서 사용

배합예

1. +행인(杏仁): 온한축수(溫寒逐水), 강담파결(降痰破結)

2. +대황(大黃), 건강(干姜): 공축한적(攻逐寒積)

용량

0.1~0.2g

독성증상

독성 단백질인 크로틴은 세포를 괴사시키고 적혈구를 녹인다

급성위장염, 급성접촉성피부염, 홍반, 화끈거림,

가려움, 수종, 수포, 농포, 결막염, 비점막염, 발열;

백혈구 증가, 혈뇨, 단백뇨, 구토, 현기증, 마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견우자]

 

 

견우자란?

나팔꽃 Pharbitis nil Choisy 또는

둥근잎나팔꽃 Pharbitis purpurea Voigt (메꽃과)의 잘 익은 씨이다.

종자의 색에 따라 흑색인 것을 흑축(黑丑)이라 하고,

백색인 것을 백축(白丑)이라 하며

두 개가 혼합된 것을 이축(二丑)이라 하는데 현재는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신,대장,소장(肺, 腎, 大腸, 小腸)이다.

주치(主治)

1. 사수소종(瀉水消腫)

간경화로 인한 복수: +대극(大戟), 감수(甘遂)로 복수에 찬 물을 빼냄.

2. 사하통변(瀉下通便); 만성변비

3. 살충소적(殺蟲攻積)

용량

4.5-9g

기타

*약재를 통째로 사용한다.( 위에서 소화가 안되게 하여 대장에서 작용을 하게 함)

*술로 설사, 구통, 현기증에 사용하며

*팔다리 붓는 사람에게 사용하며 장종양 초기에 대황(大黃)과 같이 사용한다.

*대변을 못 보는 경우에는 대황(大黃)을 가미.

*만성소화불량을 해소하는 소화제 용도로도 사용한다(소체환).

임상응용

 

1. 사하(瀉下), 이뇨작용이 있어 몸이 붓거나 복수(腹水)가 찼을 때에 효력이 강하므로

만성신염으로 몸이 붓고 간경화로 복수(腹水)가 찼을 때

분말을 만들어 생강즙에 혼합하고 대추와 설탕으로 환을 만들어서 복용한다.

 

2. 담습(痰濕)이 폐(肺)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해소, 천식에도 유효하며,

완고한 변비에 대황(大黃)과 같이 환을 만들어서 쓴다.

 

3. 장내(腸內) 기생충제거에도 빈랑(檳榔)과 같이 복용한다.

 

약리작용

팔비틴은 장관(腸管)내에서 담즙(膽汁)과 장액(腸液)이 만나면 분해되어

장관의 연동작용을 증가시켜 강력한 사하(瀉下)작용을 나타낸다.

일정한 회충구제작용도 있다.

 

임상연구

전간(癲癎)에 환을 지어서 3개월 복용으로 만족할 만한 효력을 얻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감수]

 

 

감수란?

감수(甘遂) Euphorbia kansui Liou ex Wang (대극과)의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이다.

맛은 쓰고 달며(苦, 甘), 성질은 차갑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신,대장(肺, 脾, 腎, 大腸)이다.

약리작용

① 감초와 배합하면 독성 물질이 증가되고,

② 항염증, 이뇨, 사하(瀉下), 감심작용이 나타난다.

주치(主治)

1. 준하설수(峻下泄水): 강력하며 수종을 치료한다.

①. 통리소변(通利小便):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

②. 사수소종(瀉水消腫)

③. 공축수열(攻逐水熱)

④. 이수제창(利水除脹): 복수

⑤. 공수파혈(攻水破血)

2. 조담축음(滌痰逐飮)

①. 공하리도(攻下利導): 변비

②. 축수거음(逐水祛飮)

③. 축음지해(逐飮止咳)

④. 조담정전(滌痰定癲)

3. 소종산결(消腫散結)

4. 완급지통(緩急止痛 )

5. 해치사독(解治蛇毒)

--> 위의 주치들은 모두 몸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고 순환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증상들을 의미합니다. 폐쪽에 있으면 가래나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이 쉬어지지 않는 증상, 아래에 있으면 대소변이 나오지 않거나

복수가 차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기

허약하거나 소화기가 약한사람, 오린 지병으로 몸이 약해진 경우

임산부에게는 사용 금지.

배합예

1. +감초(甘草): 대변 못 보고 몸이 붓는 경우

2. +견우자(牽牛子): 복수

3. +대황(大黃): 오래된 변비

4. +원화, 대극(莞花, 大戟): 강력한 이뇨작용.

5. +백개자(白芥子): 가래제거, 가슴과 명치가 답답한 경우

임상보고

① 소변을 못 볼 때 가루를 내어 내복하자 소변양이 증가되었으며,

② 복부의 중극혈(中極穴)에 30분간 붙이자 배뇨(排尿)효과가 현저하였다.

p.s: 기타

*소변을 못보고 전신이 붓는 이에게 대극(大戟)을 사용한다.

*감수의 법제법

일반적으로 생재료를 그대로 쓰면 토하게 되며 심한 설사를 일으킨다.

그 원인은 기름이 많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독성을 없앨 목적으로 감초를 넣고 법제하였는데

감초와 감수는 오래 전부터 서로 반대되는 약으로 알려지고 있다.

감수의 약리작용기전, 특히 그의 독풀이 정도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하였다.

 

실험연구 자료들에 의하면

동물실험에서 생재료는 심한 설사작용이 있었고 독작용도 세게 나타났다.

이 작용은 알코올 우림약에서 나타났다.

그런데 열처리한 재료에는 이런 부작용이 없었다.

결국 독성분은 열에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수 뿌리를 쓸 때 반드시 법제하여야 한다.

 

① 약재를 잘 고르고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2~3mm로 잘라서 잘 말린다.

 

말린 약재가 충분히 열을 받을 수 있도록 닦는다.

닦을 때에는 약재와 조개껍데기 가루 같은 양을 가마에 넣고

높은 열을 고루 받도록 계속 저어 주어야 한다.

약재 속까지 익은 다음에 꺼내어 조개가루는 버리고 약재를 잘 털어서 쓴다.

 

② 감수 뿌리를 말렸다가 가루내어 먹는 양을 조절하여 쓸 수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노회]

 

 

노회란?

Aloe barbadensis Linné, Aloe ferox Miller, Aloe africana Miller

또는 Aloe spicata Baker의 잡종 (백합과)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일명 Aloe라고도 한다. -->알로에잎에서 얻은 액즙을 건조한 것.

노회는 신노회(新蘆薈 )로 불리우는 희망봉노회(Cape Aloe)와

노노회(老蘆薈 )로 불리는 큐라소노회(Curacao Aloe)로 나뉘는데

전자는 가시노회 Aloe ferox Miller, 아프리카노회 Aloe africana Miller,

수상화서노회 Aloe spicata Baker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고

후자는 발바도스노회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vera Linné)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다.

약리작용

1. 사하작용(瀉下作用)

2. 상처유합작용

3. 항암작용

4. 항균작용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 심, 비장(肝, 心, 脾)이다.

주치(主治)

1. 량간청심(凉肝淸心)

①. 간화항성(肝火亢盛): 만성 급성간염 단방치료

②. 심화내성(心火內盛): 빈혈증

③. 소아경풍(小兒驚風): 아이들 경기, 경련

2. 살충료감(殺蟲療疳): 장내 기생충 살충

①. 소아감적(小兒疳積)

②. 소아충적(小兒蟲積)

-->기생충 감염으로 영양실조와 배가 불러오는 증상.

3. 설하통부(泄下通腑)

①. 열결변비(熱結便秘)

②. 적체변비(積滯便秘)

-->습관성 변비 치료(+대황 가미)

용량

1.5~4g

배합예

1. +주사(朱砂): 외용약(피부)

2. +사군자(使君子): 살충

3. +감초(甘草): 피부질환, 머리 부스럼, 궤양

참고사항

습관성변비, 급성간염으로 인한 불면증, 고열로 인한 경련에 사용.

소량을 사용할 경우 소화를 촉진하며 부인에게는 주로 월경이 끊어진 증상에 사용

비염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위축성 비염 임상보고

먼저 2% 테트라카인을 적신 솜을 주사부위에 5~10분 붙여 놓은 다음

20% 알로회침출액을 양측의 하비갑개선단(下鼻甲介先端)의 점막에 주사한다.

주사의 깊이는 주사한 부분의 점막이

창백한 수종상을 이루는 것을 한도로 하며 양측에 각각 2ml씩 주사한다.

주사후 탈지면으로 주사부위를 가볍게 눌러 출혈을 방지한다.

매주 1회씩 4회 치료를 1치료기간으로 한다.

1치료기간 치료 29례, 1치료기간 이상 6례, 1치료기간 미만 13례,

합게 48례를 관찰한 결과 2례는 1회 주사만으로

비강내가 상쾌하게 되고 건조감이 감소되었으며 코막힘이 없어졌다.

24례는 주사 2~3회 주사 후 현운(眩暈), 두통, 악취가 경감 또는 소실되었고

딱지가 감소하여 콧물이 묽게 되고 코가 모두 상쾌하게 되었다.

주사 15회만에 증상이 개선된 사람도 있었다.

대다수 환자의 결가(結痂: 코딱지), 악취, 현운(眩暈), 두통 등의

주요 증상은 모두 다 각기 정도는 다르지만 개선되었다.

그러나 소수에서는 무효였다.

치료중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망초]

 

 

망초란?

황산염 광물 망초를 정제한 것으로 주로 황산나트륨(무수물)을 함유한다.

천연산 망초에 열수를 가하여 용해 여과한 여액을 냉각할 때

처음으로 석출된 결정을 박초(朴硝)라 하고,

이를 반복 재결정하여 얻은 결정을 망초라 하며,

망초를 풍화 건조시켜 얻은 것을 현명분(玄明粉)이라 한다.

맛은 맵고 쓰고 짜며(辛, 苦, 鹹-실제로는 짠맛이 강함.) 성질은 차갑다(寒).

작용장부는 폐, 대장, 위, 소장, 삼초, 간, 비, 신(肺, 大腸, 胃, 小腸, 三焦, 肝, 脾, 腎)이다.

주치(主治)

1. 연견사하(軟堅瀉下)

①. 음양부실(陰陽腑實): 고열로 인해 나타나는 탈수증상을 통칭하는 말.

②. 결흉증(結胸證): 가슴이 답답한 증상

③. 징가적취(癥瘕積聚): 암치료에 활용된다고는 하지만 암보다는 변비일듯.

④. 나력(瘰癧): 임파선에 생긴 물혹 혹은 멍울

2. 청열제습(淸熱除濕)

3. 파혈통경(破血通經)

①. 두통(頭痛)

②. 타태(墮胎): 낙태

4. 소용료창(消腫療瘡)

①. 창양불렴(瘡瘍不斂) : 피부 종기가 터진 이후 유합되지 않는 경우

②. 목적종통(目赤腫痛) : 결막염, 눈충혈

③. 후비(喉痺):목안이 막혀 통하지 않는 증상, 인후염

용량

2~8g

금기

소화기가 약한 사람, 임산부에게는 사용금지.

배합예

1. +대황(大黃): 변비

2. +계내금(鷄內金): 소화촉진(+백출, 당귀 가미)

p.s: 망초의 주요 적용증상은 변비입니다.

고열을 인해 땀을 많이 흘린상태에서 생기는 변비에 사용되며

대황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황이 장운동을 촉진한다면,

망초는 딱딱해진 대변을 물러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황 - 장엽대황]

 

 

대황의 기원식물

장엽대황(掌葉大黃) Rheum palmatum Linné,

탕구트대황 Rheum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또는 약용대황(藥用大黃) Rheum officinale Baillon (여뀌과)의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장엽대황과 탕구트대황은 청해성, 사천성, 감숙성에서 많이 재배되는데

이 두 종은 꽃피는 시기도 비슷하여 종간 잡종이 많다.

이 두 종은 모두 장상분열하지만 그 열편이 재 분열하더라도

전자는 잎 가장자리와 중륵의 반정도에 그치는데 반하여

후자는 중륵 가까이까지 심열하는 것이 다르다.

약용대황은 호북지역에서 단일종만이 재배되기 때문에 중간 잡종은 거의 없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苦, 寒)

작용장부는 비,위,간,심포,대장(脾, 胃, 肝, 心包, 大腸)이다.

약리작용

1. 유효화학성분들은 대장에서 결장의 긴장력을 증가시키고 연동작용을 가속화하며

아울러서 소장에서 영양물질의 흡수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한다.

 

2. 사하작용, 해열, 체온강하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이 있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내리므로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킨다.

 

3. 광범위한 항균작용이 있어서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임균,

디프테리아균, 장티프스균, 이질균 등에 억제작용이 있다.

이 외에도 이뇨작용과 간기능보호작용등이 나타났다.

 

주치(主治)

1. 공적도체(攻積導滯)

①. 비만조실(痞滿燥實): 대변을 못 봐서 아랫배가 대변으로 인하여 아프고 고통스럽다.

②. 한실복통(寒實腹痛)

하복부가 차고 대변을 못 보는경우(+부자)

열이 많아 대변을 못 보는 경우(+망초)

복창(腹脹: 배가 더북한경우)에는 후박과 소엽을 더하고

신체허약자, 노인성, 산후변비에는 인삼과 당귀를 더한다.

장이 말라서 변비가 오는 경우에는 생지황, 현삼을 더한다.

2. 양혈해독(凉血解毒)

①. 열성동혈(熱盛動血)

②. 구설생창(口舌生瘡): 염증으로 혓바늘이나 잇몸염증이 생기는 경우

③. 습열사리(濕熱瀉痢): 감염성 설사

④. 황달(黃疸)

⑤. 습열임증(濕熱淋証): 소변이 뿌옇게 나오는 경우(요도염)

⑥. 장옹(腸癰): 맹장염

3. 활혈거어(活血祛瘀)

①. 방광축혈(膀胱蓄血): 하복부 어혈로 인한 통증

②. 타박손상(跌扑損傷)

③. 산후복통(産後腹痛)

⑤. 화상(火傷)

[임상응용]

 

1. 사하(瀉下)작용이 있어서 장위(腸胃)를 세척하고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열성(熱性)변비와 복부창만에 손으로 누르면 단단한 것이 촉지되는 증상에 유효하다.

 

2. 이질초기에 설사가 빈번하고 후중증

(後重症:대변을 보고 나서도 뒤가 묵직하고 상쾌하지 않은 증상)이

있을 때에 술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3. 화(火)를 내리는 작용이 있어서 화사(火邪)가 상염(上炎)하여 나타난

두통, 눈의 충혈, 인후통, 잇몸이 붓고 아프면서

입안과 혀가 헐어 발진이 생기고 변비가 있는 증상에 쓴다.

 

4. 혈열(血熱)로 코피, 토혈, 각혈이 있을 때에 활용된다.

 

5. 열독(熱毒)으로 종기와 등창이 생기며 변비를 수반하는데 유효하며,

맹장염에도 신속한 효과를 나타낸다.

 

6.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어혈(瘀血)을 제거하므로

부인들의 월경폐색, 오한발열, 산후(産後)에 어혈(瘀血)이 제거되지 않았을 때,

징가(癥痂:아랫배 속에 덩어리가 생겨 딴딴한 것이 만져지는 병증), 타박상 등에 활용된다.

 

7. 수분을 제거하고 이뇨작용도 함께 나타낸다.

그러므로 장관에 수분이 정체되어 나타난 부종 및 복부창만에 이용된다.

용량

3~15g

주의사항

허약자, 소화기가 약한자, 열이 없는자, 임산부는 금기

배합예

1. +망초(芒硝): 사하작용이 증강됨

2. +지실(枳實), 후박(厚朴): 장연동이 안되고 가스가 차는 경우.

3. +부자(附子), 육계(肉桂): 배가 차서 장에 가스가 차는 경우.

5. +감초(甘草): 궤양치료(동상)

6. +도인(桃仁): 어혈성 변비

[임상보고]

 

1. 만성신기능쇠약에 20∼30g을 모려(牡蠣) 등과 같이 복용하여 유효성을 높였다.

 

2. 위장출혈에 1회 3g 1일 3회복용하고, 소화성궤양에도 효력을 보였다.

 

3. 담석증, 급성담낭염, 고지혈증(高脂血症), 장경색, 출혈성장염, 급성뇌혈관병,

급성황달형간염, 동상(凍傷), 급성화농성편도선염에 치유효과가 나타났다.

 

p,s:변을 못 보는 경우 대황 12~15g+ 도인 4~6g을 가미

가볍게 쓰려면 화마인과 욱리인을 사용한다.

산후어혈에 사물탕+홍화

타박상에는 당귀, 인삼에 도인을 더한다.

대황을 적게 사용하면 위장의 기능촉진하며

대량으로 사용하면 사하역할을 한다.

화상에 계란흰자에 대황과 치자분말을 섞어 거즈에 부어서 환부에 붙여줌

피부연고제로 사용하기도 함, 일명 장군고(將軍膏)라고 불리는데

대황분말에 생강즙을 같이 섞어서 환부에 붙임.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