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목통 - 으름덩굴]

 

 

목통이란?

으름덩굴 Akebia quinata Decaisne (으름덩굴과)의

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맛은 쓰고(苦), 성질은 차다(寒).

작용장부는 심, 폐, 소장, 방광(心, 肺, 小腸, 膀胱)이다.

약리작용

1.이뇨작용

2.진균억제작용

주치(主治)

1. 강화이뇨(降火利尿)

①. 열림(熱淋)

②. 혈림(血淋): 결석으로

③. 赤濁: 소변을 붉게 봄

④. 癃閉: 못 봄심번증으로 아주 강하다. 20g을 사용한다. 배꼽과 발바닥이 참

⑤. 口舌生瘡: 구내염

*1~4번까지는 요도염으로 인한 증상입니다.

2. 통경하유(通經下乳)

산모가 젖이 부족한 경우 미역국과 통초(通草)를 가미

3. 이뇨소종(利尿消腫)

사지마비와 통증에 보조적으로 사용

임상응용

1. 방광에 습열(濕熱)이 쌓여서 소변을 못보고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과 몸이 부었을 때,

즉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으로 복수(腹水)가 찼을 때 등에 많이 쓰인다.

 

2. 심화(心火)를 내려주므로

입안과 혀에 피부가 헐어 발진이 생기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소변을 붉게 보는 증상에 쓰인다.

 

3. 혈맥을 잘 통하게 하므로 마비동통에 달여서 복용하고,

산후(産後) 유즙분비 부족에 효력을 나타낸다.

주의사항

이뇨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임산부나, 신장기능이 약한분들은 주의하셔야합니다.

참고사항

으름덩굴의 열매를 [팔월찰, 예지자]라고 하는데 중국에서는

수뇨관 결석(크기 1cm 이하)에 효과과 있는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아래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지자, 율무를 각 75g을 물 5사발로 두 사발이 되도록 달여서

찌거기를 제거하고 설탕을 넣어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 90례 가운데 치유

(결석이 배출되고 증상이 없어졌으며

X-선 사진에서 결석의 음영이 사라진 경우) 19례,

진보(결석의 위치가 뚜렷이 내려간 경우) 2례,

무효(결석의 위치가 변하지 않은 경우)가 9례로

총유효율이 70%이고 결석 배출율이 63.3%였다.

수뇨관 결석의 배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시기를 정하여 종합적으로 신침료법(삼음교, 음릉천, 신유혈)을 실시하고

654-2(산랑탕:山莨菪)와 dihydrochlorothiazide를 내복하거나

물을 많이 마시고 운동 등을 행하여 결석의 배출을 촉진한다.

 

고혈압이 병발한 환자에 대해서는

납과(臘瓜)와 요주자의 탕제를 복용함과 동시에

강압 약물을 복용하여 혈압이 정상으로 회복된 다음

일정한 기간에 종합적인 조치를 한다.

일반적으로 결석의 지름이 1cm 이하인 경우

결석이 배출될 가능성이 비교적 크다. [중약대사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목통’과 ‘통초’는 전혀 다른 약재

발암물질 함유 관목통 유통도 주의해야

목통은 목통과에 속한 으름(Akebia quinata (Thunb.) Decne)의 덩굴이다.

으름은 황해도 이남의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잎은 흔히 5장이다.

그러나 마두령과에 속한 관목통이 섞여서 유통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관목통은 마두령과에 속한 등칡(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으로

깊은 산 계곡에서 자라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가 10m에 달하며

새가지는 녹색이지만 2년지는 회갈색이 된다.

이 약재는 Aristolochia산이 함유돼

신장암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목통’의 이명이 ‘통초’여서 진짜 통초와 같은 것으로 보고

통초 처방에 목통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문헌상에 통초는 목통과 전혀 다른 약재로 오가피과에 속한

통탈목(通脫木, Tetrapanax papyriferus K. Koch)의 경수이다.

통탈목은 대만, 류큐 및 중국 남부가 주산지이며 제주도 등에서도 자라고 있다.

높이는 3m에 달하며 지름의 60%가 골속으로 차 있다.

정종길(동신대 한의대 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