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형개, 당귀, 천궁, 백지

방풍, 세신, 박하, 황금

신이화, 연교, 길경 각 6g

감초 2g

오래된 경우에는 8g까지 올리고

두통이 심한 경우에는

백지를 12g까지 올려서 사용합니다.

형개연교탕이 기본방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당귀(當歸) 3g

작약(芍藥) 16g

복령(茯笭), 백출(白朮) 각 4g

택사(澤瀉), 천궁(川芎) 각 8g

해설

혈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이 약하고,

혈관운동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두통, 현기증, 어지러움, 두중감(頭重感)이 있고,

조혈기능이 약하여 혈허(血虛)한데다

신장배설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간질(間質)에 부종이 있으며

내장(內臟)평활근의 장력부족으로, 요통, 복부팽만감등을 나타낼 때 :

* 내장평활근의 장력을 강화하여 요통, 소화불량, 복부팽만감을 완화한다.

* 조혈기능을 강화하고, 혈액의 점도(粘度)를 저하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세포에 산소공급을 증진해

두통, 현기증, 두중감(頭重感)을 완화한다.

* 신장배설을 촉진해서 부종(浮腫)을 완화한다

적용증상

1. 어지러움, 두모감(頭冒感). [虛血과 혈액의 오염으로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2. 두통, 손발저림, 수족냉(手足冷). [뇌세포와 모든 세포에 혈액공급 부족으로]

3. 요통. [내장 평활근의 下垂 또는 신장, 자궁, 방광의 염증성질환으로]

4. 견비통(肩臂痛). [모세혈관 운동능부족으로]

5. 전신권태, 피로, 냉증(冷症).

6. 심계항진(心悸抗進).

7. 부종.

8. 위내정수(胃內停水).

약리작용

1. 당귀는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2. 당귀, 작약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은 혈관운동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복령, 백출, 택사는 이뇨를 촉진한다.

4. 당귀, 천궁, 택사, 작약은 자궁평활근 경련을 억제하고,

자궁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여 유산(流産)을 방지한다.

5. 택사는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킨다.

6. 작약, 백출은 평활근의 장력(張力)을 강화하고

내장근육의 경련을 완화한다.

적용가능 병명

1. 월경불순, 월경곤란, 불임증, 습관성 유산, 자궁부속기염.

2. 신경쇠약, 노이로제, 신경질, 히스테리 등의 전신증상.

3. 비뇨계질환으로서 신염, Nephrose, 신위축.

4. 위하수(胃下垂), 위무력(胃無力)으로 인한 모든 소화기질환.

5. 순환기질환에 혈관장력 부족으로 나타나는 고혈압, 신장성(腎臟性)고혈압,

Menier's, Basedow's병 등에도 사용되고 신경통, 류마티, 견비통(肩臂痛), 탈황.

6. 내장의 모든 하수(下垂)로 인한 질환에 사용한다.

7. 사마귀에 본방+의이인(薏以仁)을 합방하여 사용한다.

8. 그 외에도 거의 모든 염증, 거의 모든 질환에 하복어혈(下腹瘀血)을 목표로 사용하며

우리나라 환자의 거의 70%에서 무슨 병을 호소하든 간에 본 방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당귀미(當歸尾), 적작약(赤芍藥), 오약(烏藥), 향부자(香附子) 각 9g

소목(蘇木), 홍화(紅花), 도인(桃仁) 각 6g

계지(桂枝), 감초(甘草) 각 3g

활용

타박(打撲)이나 낙상(落傷)등으로 전신 또는 국소에 혈전(血栓)이나,

혈관 울혈이 생겨서 아프고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

*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혈관울혈을 풀어 주며

* 진통작용을 한다.

* 혈전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을 개선한다.

1. 타박으로 인한 어혈, 멍이 들어 있다.

2. 통증이 있다.

약리작용

1. 당귀미, 계지는 혈관을 확장한다.

2. 적작약, 오약, 소목, 홍화, 도인은 할혈전작용을 하여 타박으로 인한 혈전을 용해한다.

3. 향부자, 당귀미, 적작약은 혈전으로 인한 통증에 진통작용을 한다.

4. 향부자, 오약은 혈전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에 장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복부 팽만감을 개선한다.

적용가능한 병명

1. 타박상, 낙상

2. 수술후 혈전

당귀수산은 멍이나 타박상에 자주 사용하는데,

특히 교통사고 후유증에 가장 많이 처방됩니다.

보험사 직원이 알고 있을 정도면 말 다한거죠 -_-;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백복령, 백출 각 8g

백작약, 건지황, 오미자, 산약, 우슬, 목과, 오약, 건강 각 4g

시호, 파고지 각 2g

감초 1.2g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당귀(當歸), 계지(桂枝), 작약(芍藥), 세신(細辛) 각 6g

대추(大棗) 12g, 오수유(吳茱萸) 4g, 생강(生薑) 16g

목통(木通), 감초(甘草) 각 8g

활용

심장의 혈액 박출능이 약하고, 혈관은 수축되어 있고,

혈관운동능도 저하되어 있으며, 체열에너지의 생산기능도 약하여,

추위를 많이 타고, 몸이 냉(冷)하며 혈관이 막히려고 할 때 ;

*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

* 심장운동을 강화하여 박출량을 증진한다.

* 혈관을 확장하고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며

* 체열에너지의 생산을 증진하므로 써 인체의 말단부위까지

체온전달을 원활히 하여 수족(手足)의 냉감(冷感)을 완화하며,

피부 말단 세포의 괴사를 억제한다.

1. 뱃속에 얼음 덩어리가 있다고 느낀다.

뱃속뿐만 아니라 몸의 어느 부분이던지 시린감을 느끼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만져 봐도 냉감(冷感)이 있다.

2. 손발이 차서 찬물에 넣을 수 없을 때나

이런 증상을 나타내면서 좌골신경통을 호소한다.

3. 수족이 차고 맥(脈)이 가늘고 작은 것을 목표로 한다.

4. 배는 전체적으로 허만(虛滿)하고 저력이 없으며

표면은 긴장하여 복직근이 당기는 경우가 많다.

5. 또 배에 가스가 잘 차고, 배가 아플 때가 많다.

이는 내장(內臟)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 부족으로 인한

혈액공급의 부족도 한 원인이 되고,

또 내장평활근근육의 장력(張力)부족도 또 하나의 원인이 된다.

6. 아랫배가 땅기고 사지가 냉(冷)하고 아프며 혹은

온몸에서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과 같은 이상감(異狀感)과 두통이 나타난다.

7. 겨울이면 손발이 몹시 차다.

약리작용

1. 당귀, 계지, 오수유, 작약은 혈관을 확장한다.

2. 생강은 혈관운동중추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세신은 열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온난감을 증진한다.

4. 오수유, 목통, 감초는 강심작용을 하여 혈액박출량을 증가한다.

5. 대추, 세신은 혈액순환부전에 의한 알러지에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적용가능 병명

1. 한냉성(寒冷性)소화불량, 설사, 십이지장궤양

-위벽에 분포되어 있는 모세혈관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서 생기는

만성소화불량, 만성하리, 위궤양 등에 처방되며 이때는 배에 가스가 찬다는 것을 호소할 때가 많다.

2. 좌골신경통, 관절류마티스, 만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3. 만성복막염, 자궁탈출, 월경곤란.

4. Gas가 잘 차는 만성한냉성(慢性寒冷性)충수염.

5. 혈전성 정맥염, 버거씨병

6. 겨울이면 손발이 몹시 차다.

7. 동상과 레이노증후군에는 무조건 처방된다.

p.s:레이노 증후군

추위나 스트레스 또는 원인불명으로 말초혈관이 수축되거나 혈액순환 장애로

양쪽 손발끝에 청색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레이노 현상, 레이노 병이라고도 부른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성신탕(醒神湯)

복신, 하수오, 인삼 각8g

백자인, 당귀, 귤피 각6g

초두구, 남성, 건강, 육계, 생강 각 4g

반하, 지실, 천오, 감초 각 2g

청뇌환(淸腦丸)

당귀, 녹용, 인삼, 용안육 각 4.8g

육계, 귤피, 원지, 감초 각 1.6g

사향 0.4g

용뇌 0.04g

꿀 20.7g

금박 10.6g

간질은 참 어려운 질환입니다.

한약으로 치료가 될런지는 사실 의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치험예가 있으니 무시할 수는 없겠지요.

다만, 병원에서 처방해준 약과 같이 병행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육종용(六從蓉), 두충(杜仲) 각 3g

백작약(白芍藥), 백출(白朮), 부자(附子), 인삼(人蔘) , 육계(肉桂), 반하(半夏) ,

석곡(石斛), 오미자(五味子), 녹용(鹿茸), 당귀(當歸), 백복령(白茯 ) 각 2.1g

숙지황(熟地黃) 1.5g, 감초(甘草) 0.75g

해설

1. 빈혈이 있고 기운이 없으며 허리에 힘이 없거나,

성적(性的)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

* 조혈작용을 하고,

* 심장기능을 강화하며

* 성적(性的)기능을 강화하고 근육의 피로 회복을 촉진한다.

2. 허증의 고혈압 증상에 혈압을 하강한다.

약리작용

1. 녹용, 당귀, 작약, 지황은 조혈작용을 한다.

2. 인삼, 백출, 복령, 감초는 에너지 생성을 촉진한다.

3. 육계, 황기, 오미자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4. 부자, 육종용, 두충, 오미자, 녹용은 근육을 강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5. 반하, 석곡은 위장운동능을 강화한다.

6. 두충, 석곡, 육종용은 혈압을 하강한다.

적용가능한 병명

1. 요통, 음위(陰 ), 유정(遺精)

2. 불임, 빈혈, 이명(耳鳴)

3. 허증의 고혈압

p.s: 보통 녹용대보탕 하면 십전대보탕에 녹용을 첨가한 것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이 처방은 십전대보탕과는 전혀 다른 처방입니다.

허증의 고혈압이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혈관탄력성이 떨어져 생기는

자연스런 고혈압을 의미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오약순기산 + 귀비탕

+단삼, 건지황, 당귀, 삼릉, 홍화,포황, 현호색 각 2.8g

심화(心火)로 인해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

평소 성격이 급하고 다혈질인 사람이거나

화병이 오래되어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음

오약순기산 구성

마황, 진피, 오약 각6g

천궁, 백지, 백강잠, 지각, 길경 각 4g

건강 2g, 감초 1.2g, 생강, 대추 각 2g

귀비탕 구성

당귀, 용안육, 산조인(초), 원지(법제), 인삼, 황기, 백출, 복신 각 4g

목향, 생강, 대추 2g, 감초 1.2g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조리방- 산후 관절통, 오한  (0) 2019.08.31
간질, 뇌질환 - 성신탕, 청뇌환  (0) 2019.08.27
폐결핵, 늑막염  (0) 2019.08.22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0) 2019.08.19
당뇨,소갈  (0) 2019.08.14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