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구성(g)

계지(桂枝) , 작약(芍藥), 대추(大棗), 생강(生薑),용골(龍骨), 모려(牡蠣) 각 6 , 감초(甘草) 4

활용

1. 인체에 칼슘이 부족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고, 설사가 잘 나며,

2. 교감신경 흥분으로 한출(汗出)이 심하고, 건망증(健忘症),

심계항진(心悸亢進), 불면(不眠), 피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칼슘을 대량 공급하여 아세틸콜린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신경의 이상흥분을 완화하고,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여 심계항진, 불면증을 개선하고 설사증상을 완화한다.

3. 교감신경 흥분이나 또는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한출(汗出)이 나타날 때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한출(汗出)로 인한 진액(津液)의 배설을 억제한다.

4. 한출이 있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뇌파의 이상 발작을 나타낼 때

* 뇌파의 이상발작을 완화한다.

약리작용

1. 용골, 모려는 칼슘을 공급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상을 개선한다.

또 칼슘이 장(腸)운동을 강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2.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느리게 함으로써 한출(汗出)을 완화하고

대추,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성적(性的)신경쇠약, 몽정(夢精), 몽교(夢交).

2.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냥 나온다.

3. 머리카락이 잘 빠지거나 비듬이 많은 사람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상기(上氣)가 잘 된다.(탈모증, 禿頭病)

4. 신경쇠약, 불면증, 노이로제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또 건망증(健忘症)이 심할 때.

5. 야뇨증(夜尿症), 전립선비대증, 소아야체증(少兒夜涕症), 마음이 불안정하고 동계(動悸), 잘 놀라는 증상에.

6. 부인들의 월경불순, 다몽(多夢), 건망증(健亡症)에.

7. 시험 점수가 갑자기 이유 없이 떨어지는 수험생은

주로 성적(性的)인 문제가 많이 관련되므로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8.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환자에 본방증이 많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반하 15g
생강 9g
 
일명 소반하탕이라고 부릅니다.
 
위 유문과 분문 협착
식도협착증
물도 음식도 못넘기고 토하는 증상


역류성식도염에도 활용가능합니다.
다만, 이걸 끓여서 한번에 복용하면 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는 입술에 바른후 혀가 자연스럽게 입술을 훑으면서
조금씩 흡수할수 있도록 하면 복용이 좀 더 수월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g)

창출(蒼朮), 석고(石膏), 생지황(生地黃) 각1.8

방풍(防風), 강활(羌活), 당귀(當歸), 만형자(蔓荊子), 천궁(川芎), 황기(黃耆), 인삼(人蔘)

지골피(地骨皮), 백지(白芷), 지모(知母), 시호(柴胡), 구기자(拘杞子), 마황(麻黃), 두충(杜仲)

진교(秦교), 백작약(白芍藥), 감초(甘草), 복령(茯笭), 반하(半夏), 숙지황(熟地黃), 전호(前胡)

세신(細辛), 감국(甘菊), 박하(薄荷), 독활(獨活), 황금(黃芩) 각1.2

육계(肉桂) 0.6

활용

평소에 원기가 없고 빈혈성인 사람이 중풍으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가 마비되고,

근육이 약화되어 있으며 혈액순환이 안되고 통증이 있으며

마비된 부분에 순환부전으로 피부궤양과 감염증이 생겼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원기를 강화한다

* 조혈(造血)작용과 혈액순환촉진작용을 한다.

* 마비된 근육의 기능을 강화한다.

* 혈류부전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한다.

* 감염증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 진통작용을 한다.

* 항균작용을하여 피부의 궤사를 억제한다.

약리작용

1. 당귀, 작약, 천궁,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하고 보간(補肝)작용을 한다.

2. 구기자, 두충은 골격근을 강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3. 마황, 백지, 천궁, 세신, 감국, 박하,육계는 혈관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중풍으로 인한 마비를 완화한다.

4. 방풍, 강활, 독활은 혈류부전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5. 지모 지골피, 황금, 강활, 진교, 감국은 항균작용을 하고

    면역능을 증강하여 감염증을 예방한다.

6. 황기, 인삼, 감초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보기(補氣)작용을 한다.

7. 석고, 시호, 강활, 독활,지모, 진교, 백지, 만형자는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8. 지각, 반하는 소화와 흡수를 증진한다.

9. 전호, 생지황은 항혈전작용을하여 혈류부전에 의한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전호는 거담작용을 한다.

10. 창출, 황기는 이뇨작용을 하여 혈류부전에 의한 부종을 개선한다.

11. 만형자는 혈액순환 부전에 의한 궤양국소를 수복한다.

12. 시호, 세신, 황금은 혈류부전에 의한 알러지를 억제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중풍마비로 인한 반신불수와 소화불량.

2. 중증근무력증

3. 근육마비통

4. 피부 궤양과 염증.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g)

갈근(葛根) 12.0, 마황(麻黃) 6.0, 생강(生薑) 6.0, 대추(大棗) 6.0,

감초(甘草) 4.0, 작약(芍藥) 4.0, 계지(桂枝) 4.0

활용

강한 이물질(異物質)이 체내에 침입하면 인체는 몸에 열을 내어 몸안에 칩입한

바이러스나 세균을 죽이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데, 땀을 내지 않게 된다.

이렇게 고열(高熱), 무한(無汗)이 되면 두통(頭痛),

오풍(惡風)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증상을

태양병(太陽病) 상한(傷寒)이라 한다.

또한 몸에 들어온 바이러스나 세균을 초기에는 주로

어깨쪽 표피(表皮)로 배설(排泄)하려고 하는

생체의 반응에 의해 어깨가 아픈 증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격렬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방제는 과 같은 작용을 한다.

* 백혈구 주화성(走化性)항진작용과, 면역능증강작용을 한다.

* 배설(排泄), 특히 피부로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피하(皮下)에 정체된 수용성 노폐물의 배설을 증진하므로 써

해열(解熱), 무한(無汗), 오풍(惡風) 등을 개선한다.

염증의 초기에 혈관 투과성이 항진되면서 부종이 생겼을 때,

세균의 탐식능(貪食能)을 증강(增强)하고

혈관 투과성 항진을 억제하여 염증을 개선한다.

약리작용

1. 주약(主藥)인 갈근이 Macrophage탐식능(貪食能)을 증강하는 작용을 한다.

2. 계지와 마황이 Influenza virus억제작용을 하고,

마황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백혈구 주화성을 항진한다.

3. 마황과 생강의 휘발성분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갈근과 계지는 혈관을 확장함으로서 한선(汗腺)을 자극하여 발한(强發汗)으로 해열한다.

4. 갈근과 작약은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는 작용이 강하여

이물질(異物質)을 배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근육통을 완화한다.

5. 갈근은 강장작용을 하여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6.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고, 작약과 갈근은 발한(發汗)했을 때 나타나는

세포의 영양 결핍증에 영양소를 공급한다.

7. 계지와 갈근은 혈관을 확장하여 두통, 견통을 완화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두통, 편두통, 치통(齒痛), 안면통(顔面痛).

2. 등과 어깨가 긴장하거나 아프면서 땀이 나지 않는 모든 증상.

3. 감기, 결막염, 두드러기, 뇌염, 편도선염, 망막염, 부비강염, 임파선염 등의

모든 염증성질환에 땀이 나지않는 것을 목표로 사용한다.

4. 사십견(四十肩), 오십견(五十肩), 고혈압 등에서 항배강급(項背强急)의 증상을 나타낼 때.

5. 자고 나서 목이 잘 돌아가지 않을 때.

6. 중풍, 와사풍의 초기에 많이 사용되야 할 처방이다.

7. 피부염, 습진, 두드러기, 여드름 등의 모든 피부 증상에 분비물이 없는 것을 목표로 사용한다.

8. 잠을 깨지 못해서 나타나는 유아 야뇨증(夜尿症)에.

9. 산모의 유종(乳腫)에, 유즙(乳汁)이 꽉차 있으면서 표피(表皮)가 열여주지 않아서

유즙의 분비가 안될 때 2-3일 복용시키면 효과가 좋다.

참고사항: 갈근탕의 가장 큰 주요 증상은 바로 감기초기의

등과 어깨근육의 뭉침이나 결림에 사용합니다.

만약 이런 증상이 몸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몸살에는

쌍화탕을 사용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숙지황 40g
산수유
맥문동 각 20g
원지(법제)
산조인(초)
백복신
백자인 각 6g
오미자 4g
석창포 2g
 
몸이 차고 기가 허한 노년의

귀가 울리는 증상에는 귀원탕을 활용합니다.
 
[귀원탕]
숙지황 40g
부자(법제) 32g
당귀
인삼
백출(초)
파고지
육종용 각 20g
검실(검인)
두충 각 12g
건강(포) 8g
방풍 4g

노년에는 체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몸을 따뜻하게 하는 부자와 인삼 그리고 건강이 
첨가된걸로 보입니다.



참고사항: 보통 숙지황은 점성이 있어서

소화가 힘들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래서 사인을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숙지황의 양을 위의 양처럼 1첩에
1냥(37.5g)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화장애가 오히려 없다고 하네요.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g)

강활(羌活) 3.0, 독활(獨活) 3.0, 전호(前胡) 3.0, 시호(柴胡) 3.0, 복령(茯笭) 3.0, 지각(枳殼) 3.0

감초(甘草) 3.0, 천궁(川芎) 3.0, 대황(大黃) 3.0, 창출(蒼朮) 3.0, 인삼(人蔘) 3.0 , 길경(桔梗) 3.0

생강 3편

활용

1. 인체의 저항력이 약한데다, 체력도 저하된 사람이,

변비가 있으면서 감기나 신우신염이나 간염 등의 염증에 이환되어

항원항체반응이 만성적으로 지속되어

한열(寒熱)이 왕래하거나 열이 심하고

대변, 소변이 불리하며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체력과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염증을 개선하며

*변비를 완화하여 혈액을 정화하고

* 이뇨를 촉진하여 신우신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하며,

* 간기능을 강화한다.

2. 발적, 화농, 종창의 증상이 나타나는 피부염,

피부알러지에 변비와 부종을 개선하고, 면역능을 증강한다.

*족삼양경(足三陽經)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으로서,

신장(腎臟), 대장(大腸), 간장(肝臟)이 관계되는 경락이므로

간염, 변비, 신염 등의 증상 들이 본 방과 관계된다.

약리작용

1. 인삼, 복령, 감초는 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체력을 강화한다.

2. 지각, 대황은 변비를 개선한다.

3. 길경은 항균, 배농작용을 한다

4. 복령, 생강, 창출, 지각은 이뇨작용을 하여 신장염으로 인한 부종을 개선한다.

5. 강활, 독활은 염증 국소에 혈액순환촉진작용과 진통, 소염작용을 한다.

6. 대황, 전호는 염증으로 인한 혈전에 항혈전작용을 한다.

7. 시호, 대황은 간기능을 강화한다.

8. 시호, 전호, 지각, 감초는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9. 전호, 길경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감기, 축농증,

2. 습진, 두드러기, 피부발진.

3. 화농성피부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
진범(진교)  각 6g
향부자
진피
방풍
인삼
오미자
박하
적복령
당귀
천궁
백지
위령선
우슬
오약
목과 각 4g
세신
계지
홍화
감초 각 1.2g
생강 3편
 
동의보감에 나온 대강활탕을 기본으로

몇가지 약재를 가미한 처방입니다.

 

단순성 좌골신경통증상과

어디에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생긴 타박상
-이걸 한방에서는 어혈로 봅니다.-에 사용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삼출건비탕
+ 용안육,연자육,산약,원지,석창포,당귀,황기 각4g

삼출건비탕 구성(동의보감)
인삼, 백출, 백복령, 후박, 진피, 산사 각 4g
지실, 백작약 각 3.2g
맥아, 사인, 감초 각 2g
생강 3쪽 대추 2개

 
2.신경성이면서도 속이 차고 냉한 체질
향사평위산
+용안육,연자육,산약,원지,석창포,당귀,황기 각4g

향사평위산은 2가지가 존재합니다.

첫번째 향사평위산입니다.

창출 8g
진피, 향부자 각 4g
지실, 곽향 각 3.2g
후박, 사인 각 2.8g
목향, 감초 각 2g
생강 3쪽 

-->주로 윗배가 더부룩하고 빵빵한 느낌 혹은 통증이 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두번째 향사평위산입니다.

창출, 후박, 진피, 향부자 각 4g
산사, 사인, 지각, 맥아, 신곡, 건강, 목향 각 2g
자감초 1.2g
나복자  한움큼(대략 10~12g정도 하지 않을까 합니다.)
생강 3쪽 

-->윗배의 불편함과 더북어 가슴이 쓰리고 통증이 있는 경우 즉, 역류성식도염으로
증상이 진행되었을때 사용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