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구성

강활(羌活), 방풍(防風), 천궁(川芎), 백지(白芷), 창출(蒼朮),

황금(黃芩), 생지황(生地黃), 세신(細辛), 감초(甘草) 각 1.5g

활용

마황제를 사용하여 발한(發汗)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약하고,

계지제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감기에 걸려서

땀이 나지 않고, 열이 있으며, 통증이 있으며

기관지염이나 알러지로 기침이 날 때,

-->마황탕과 계지탕 사이의 감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초기 급성도 아니고 그렇다고 만성도 아닌 중간 정도의 감기에 사용합니다.

* 강발한(强發汗)시키지 않고, 약발한(弱發汗)시켜 열을 배설하고,

* 항균작용과

* 진통작용을 하며

* 피하 부종을 이뇨로 배설하며,

* 항알러지작용, 진해작용을 한다.

약리작용

1. 강활, 방풍, 천궁, 세신, 백지는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체열을 땀으로 약하게 배출한다.

2. 창출은 발한(發汗)이 강(强)하지 못하여 땀으로

완전히 배설되지 않은 체열과 부종을 소변을 통해 배설한다.

3. 강활, 황금, 방풍은 항균 작용을 한다.

4. 생지황은 발한에 의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하고, 염증에 의한 혈전을 개선한다.

5. 강활, 백지는 해열작용을 한다.

6. 강활, 백지, 방풍, 천궁은 진통작용을 한다.

7. 세신, 감초, 황금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땀이 나지 않는 감기

2. 발열, 골절동통.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청위황련환(淸胃黃連丸)

 

황백, 황금, 치자 각 200g

황련, 생지황, 길경, 현삼, 목단피

석고, 지모, 연교, 전화분, 적작약 각80g

감초 40g

 

약재 총 중량 1,440g

 

하루 1회 1회 10g을 따뜻한 물과 복용한다.

소아의 경우는 성인 복용량의 1/2을 복용한다.

 

출처: 하남성약품표준(1981년)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소갈  (0) 2019.08.14
아이들 키 성장 촉진  (0) 2019.08.07
고지혈증, 비만  (0) 2019.07.31
축농증-누런 콧물  (0) 2019.07.27
산후 후유증(사지관절통)  (0) 2019.07.24
:
Posted by 약초세상
2019. 7. 31. 10:46

고지혈증, 비만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19. 7. 31. 10:46

728x90

평상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이어트차를 소개합니다.

고지혈증과 비만이 같이 있을 경우 활용이 가능합니다.

중국 처방인것 같은데 일상생활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것 같네요.

녹차 10g

하수오 , 단삼 각 15g

택사 10g

 

녹차는 가장 나중에 넣어서 우려서 같이 드시면 될 듯 합니다.

위궤양이 있는 사람은 드시면 아니되옵니다.^^

출처:茶的保健功能與藥用便方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곽향(藿香) 8g

대복피(大腹皮) , 소엽(蘇葉), 백지(白芷), 백출 (白朮), 진피(陳皮),

길경(桔梗), 반하(半夏), 감초 (甘草), 후박(厚朴), 복령(茯笭),

생강(生薑), 대추 (大棗) 각4g

활용

1. 감기 등의 가벼운 감염성질환에 걸리거나

2.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이, 대장염에 이환 되어

열이 나고 두통이 있으며 기침과 가래가 있으면서

구토, 설사 또는 이급후중이 있고,

소화관에는 내용물의 적체증상이 있고,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 가벼운 감기 즉, 기침,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고,

*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소화관벽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설사, 복부팽만감, 산전산후의 부종 등을 개선한다.

* 항균작용을 하여 대장염증상을 완화한다.

약리작용

감염성질환에 대하여

1. 소엽, 곽향, 길경, 후박은 감기, 기관지염,

폐렴에 항균작용을 하여 염증증상을 개선한다.

2. 소엽은 피부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증진하므로 써 해열(解熱)한다.

3. 후박, 소엽, 진피, 반하, 곽향은 진해작용과 거담작용을 한다.

4. 백지는 해열, 진통작용을 하여 감기로 인한 발열, 두통을 완화한다.

소화기질환에 대하여

5. 반하는 Acetylcholine이 위장운동능을 강화하고

위산분비를 촉진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증진한다.

6. 후박, 대복피, 길경, 곽향, 소엽은 대장염에 항균작용을 하여

급만성 장염으로 인한 발열, 복통 증상을 개선한다.

7. 대복피, 소엽, 곽향, 위장의 Pace maker를 강화하고,

진피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위장운동을 촉진한다.

8. 백출, 복령, 생강, 대복피는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구토, 설사증상을 개선하고 인체의 부종을 완화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감기.

2. 소화불량.

3. 만성하리.

:
Posted by 약초세상
2019. 7. 27. 10:59

축농증-누런 콧물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19. 7. 27. 10:59

728x90

신이화 75g

맥문동, 치자, 황금, 백합 각 6g

지모 4g

비파엽 3g

승마, 석고 각 2g

신이화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처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신이화를 12g 정도로 써도 무방할 듯 합니다.

염증이 얼굴에 차서 열감이 심해서 석고가 들어간 것 같네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당귀, 천궁 각 20g

진피, 감초, 모과, 계지 각 8g

건강, 향부자, 목단피, 오약, 백복령, 백출, 산사, 산수유 각 4g

익모초, 숙지황 각 6g

 

산후후유증으로 인한 만성적인 팔다리나

관절의 쑤시는 증상에 사용한다.

효과가 상당히 좋음.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계지(桂枝) , 지모(知母) , 방풍(防風) 각 8g

백작약(白芍藥) 6g

마황(麻黃),감초(甘草) 각 4g

백출(白朮) 10g

포부자(暑附子) 2g

활용

1. 평소에 심장 기능이 약한 사람이, 면역능이 저하되어,

관절에서의 만성적인 항원 항체 반응과 관절 연골의 노화로

관절 연골이 파괴되거나 관절의 영양이 부족하여

관절이 퇴행되어 있는 퇴행성 관절 질환에

* 관절에 영양을 공급하고,

* 관절 세포의 면역능을 증강시킨다.

2.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관절활막에 부종이 심하거나

결합조직이 비후(肥厚)되어 있는 관절류머티 또는 만성 관절염에

* 관절활막의 부종을 억제하고 결합조직의 비후(肥厚)를 개선하며

* 항균 작용을 하고,

* 해열 진통작용을 하여 관절의 통증을 경감시킨다.

약리작용

1. 부자, 방풍, 지모는 진통 작용이 있다.

2. 백출, 계지, 지모, 마황, 방풍은 이뇨작용을 하여 피하 부종, 관절의 부종을 완화한다.

3. 부자, 계지, 마황은 면역능을 강화하여 염증을 빨리 개선한다.

4. 계지, 지모, 방풍은 해열 작용을 한다.

5. 계지와 작약, 마황, 방풍은 발한(發汗)을 촉진하여 피하 부종을 개선한다.

6. 부자, 계지, 백출은 관절에 영양을 공급한다.

7. 방풍, 지모, 작약은 항균작용을 하여 관절의 염증을 완화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퇴행성 관절염

2. 관절류마치스, 관절염에 요통(腰痛)과 학슬풍이 있으면서 뼈마디가 빠져나갈 것 같이 아플 때.

3. 학슬풍이 아니더라도 관절이 붓고 아프고 기상충(氣上衝)이 있을 때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택사, 결명자, 해조(톳) 각 30g
단삼, 울금, 하엽(연잎) 각 10g

택사는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며,
지방간의 형성을 억제합니다.

 

결명자는 HDL의 함량의 끌어올리고,

혈중콜레스테롤 농도를 떨어뜨리며,

혈소판 응집을 억제합니다.

 

단삼과 울금 그리고 톳은 

간세포재생을 촉진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