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구성

마황(麻黃), 세신(細莘) 각 4g

부자(附子) 2g

해설

1. 생체에 전체적인 면역능과 에너지가 부족하여 기운이 없고, 추위를 타는 사람이

2. 감기가 걸리거나 이물질에 감염되어서

피부가 가렵거나(땀이 나지 않아서) 열이 나면서, 추워할 때

* 에너지 생성을 촉진하고,

* 면역능을 증강하며,

*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정상적인 피부배설로 체열을 조절하고, 가려움을 완화한다.

적용증상

1. 머리에 찬바람이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

2. 살갗이 스치기만 해도 아프다고 한다.

3. 오슬오슬 추우면서도 열이 나고 기운이 없고 자꾸 눕고 싶다.

4. 추우면서 머리가 아프고 혹은 기침하거나 혹은 코가 막힌다.

약리작용

1. 부자, 세신은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피부말단에

체열공급을 증진하므로 써 피부말단을 따뜻하게 한다.

2. 부자는 면역능을 증강하고 에너지 생성을 강화하며 강심, 강장작용을 한다.

3. 마황과 세신은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감기 등의 감염증으로 인한 발열을 해열하고, 가려움을 개선한다.

4. 마황은 항균작용을 하여 감염증상을 개선한다.

적용가능 병명

1. 기운이 없고 추위를 타는 사람의 감기, 기관지염, 폐렴.

2. 노인들의 기침감기, 콧물감기(코에서 묽은 콧물이 많이 나온다.)

3. 갑자기 목소리가 쉬어서 나오지 않을 때.

4. 알러지비염에서 찬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콧물, 재채기가 나오면 본 방이 유효하다.

:
Posted by 약초세상
2019. 10. 19. 09:01

백내장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19. 10. 19. 09:01

728x90

계지, 목단피, 하수오, 복령, 건강 각12g

감초 8g 용안육 10개

 

3제 정도 복용하면

노인의 백내장의 진행은 더이상 되지 않으며

젊은사람의 경우는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처방입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령시장 처방모음 - 비만  (0) 2019.10.26
여성의 음부가려움증  (0) 2019.10.23
소화불량, 체기, 소화기관련질환  (0) 2019.10.15
요통  (0) 2019.10.07
협심증  (0) 2019.10.0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독활(獨活), 당귀(當歸), 백작약(白芍藥), 상기생(桑寄生) 각 2.1g

숙지황(熟地黃), 천궁(川芎), 인삼(人蔘), 백복령(白茯笭), 우슬(牛膝)

두충(杜仲), 진교(秦 ), 세신(細辛), 방풍(防風), 육계(肉桂) 각 1.5g

감초(甘草) 0.9g, 생강3-5편

해설

1. 평소에 몸이 약하고, 빈혈이 있으면서, 근육에 힘이 없는 사람이,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 질환이 되어 허리가 아프고,

기운이 없으며 관절이나 무릎이 아플 때,

* 보혈 작용, 강장 작용, 근육 강화 작용, 진통 작용,

소염작용과 혈액순환 촉진작용을 하여 관절염을 개선한다.

2. 평소에 몸이 약하고 빈혈성인 사람이 고혈압으로 마비가 왔을 때

* 혈압을 하강하고

*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 마비된 근육을 강화하여 근육의 장력을 증진한다.

적용증상

1. 기운이 없고 빈혈이 있으며 허리와 무릎이 아프다.

2. 추위를 싫어하고 기운이 없다.

약리작용

1. 당귀, 작약, 지황, 천궁은 빈혈을 개선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인삼, 복령, 감초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무력감을 개선한다.

3. 방풍, 진교, 독활은 해열, 소염작용을 한다.

4. 두충은 근육의 장력(張力)을 강화한다.

5. 독활,당귀, 작약, 진교, 우슬은 진통 작용을 한다.

6. 계지, 독활, 당귀, 두충, 우슬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 방풍, 세신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며

상기생은 항혈전작용을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7. 복령, 상기생은 이뇨작용을 하여 순환이 안되는 부위의 부종을 완화한다.

8. 우슬, 상기생, 두충이 혈압을 강하하여 고혈압을 개선한다.

적용가능 병명

1. 관절염, 관절류머티, 좌골 신경통

2. 요통, 척추 디스크.

3. 고혈압으로 인한 마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대황(大黃), 도인(桃仁), 망초(芒硝) 각 8g

목단피(牧丹皮) 6g, 동과자(冬瓜子) 12g

해설

주로 하복부에 있는 장관의 어느곳[특히 大腸, 盲腸]이

염증으로 인하여 혈소판이 응고되었거나

혈전(血栓)이 생겨서 순환장애가 있을 때 ;

* 사하작용(瀉下作用)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 항혈액응고작용을 하고,

* 항균(抗菌), 소염(消炎)작용을 한다.

적용증상

1. 소복종비.

(배꼽아래 오른쪽 부위 ; 충수부위를 누르면 심히 아프고, 종괴가 있다.)

2. 설황태.

3. 맥이 느리고 힘이 없다.

4. 시시 발열.

5. 변비.

6. 오한(惡寒).

7. 한출(汗出).

약리작용

1. 대황, 망초는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므로 써 혈류를 촉진한다.

2. 도인, 목단피, 대황은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3. 동과자, 대황은 소염작용을 한다.

4. 대황, 망초는 항균작용을 한다.

적용가능 병명

오른쪽 소복종비(少腹腫 )를 나타내는 아래의 모든 병에 사용된다.

1. 급만성 충수염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항문주위염, 치루, 요도염, 고환염, 전립선염, 자궁내막염,

대하, 복막염, 피하농양, 신우염, 임질, 유선염(乳腺炎) 등의

염증에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주로 하복 이하의 염증에.

3. 복만고창(腹滿鼓脹)의 실증자에 본 방증이 잘 나타난다.

4. 무릎관절염, 연주창 등.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화생단>

지실, 창출, 산사 각20g

곽향, 진피, 향부자, 계내금, 초두구, 목향

삼릉, 봉출, 후박, 감초 각8g

대황, 신곡, 사인, 맥아 각4g

오자대, 호환으로

성인 - 20알

15세이하 - 나이대로 복용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의 음부가려움증  (0) 2019.10.23
백내장  (0) 2019.10.19
요통  (0) 2019.10.07
협심증  (0) 2019.10.01
담 걸린 경우-허리,복부, 가슴, 등  (0) 2019.09.27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마황(麻黃) 12g

계지(桂枝), 감초(甘草), 대추(大棗) 각 4g

행인(杏仁) 10g

생강(生薑) 6g

석고(石膏) 24g

해설

체내의 강력한 항원항체반응 등에 의해, 한선(汗腺)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한선(汗腺)으로 배설되어야 할 수용성 노폐물이 피하뿐만 아니라

세포의 간질과 관절 등에 정체되어 있고[病溢飮],

신장(腎臟)으로도 배설이 원만하지 못하여, 소변의 양(量)은 적고,

부종은 심하며, 기관지 부종으로 기침을 할 때

* 혈류의 흐름을 촉진하여 한선(汗腺)을 자극하므로 써 피부배설을 촉진한다.

* 신장사구체 운동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촉진한다.

* 기관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고 진해작용을 한다.

[참고] 본방제는 마황이 과량 들어 있어서, 발한(發汗)작용이 강하게 일어난다.

피부로 배설해야 할 수용성 노폐물이 피하뿐만 아니라 관절 등에도

정체되어 있을 때 강발한(强發汗)시켜서 부종을 개선하는 방제이다.

적용증상

1. 소변의 양이 적고 부종(浮腫)이 아주 심하다.

2. 몸이 무겁고 열이 나며, 땀이 나지 않고 번조가 대단히 심하다.

그러므로 땀이 있는 사람은 절대로 본 방증이 아니다.

약리작용

1. 마황,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촉진함으로서

피하, 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2. 생강, 행인, 계지, 석고는 이뇨를 증진하여 피하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3. 행인, 마황은 진해작용을 한다.

4. 석고는 발한(發汗)이 과다하여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모자랄 때 미네랄을 보충한다.

5. 석고는 해열작용을 한다.

6. 대추, 감초는 강발한(强發汗)으로 인한 영양의 손실을 보충한다.

적용가능 병명

1. 땀이 나지 않으며 발열이나 오한이나 부종이 아주 심한 사람에게 투여한다.

2. 급만성 신염으로 발열, 오한, 두통, 부종이 심할 때.

3. 고혈압으로 발열, 오한, 두통, 부종이 심할 때.

4. 피부병으로 눈이 충혈되어 가려움증이 더 심하고 부종이 있을 때.

5. 천식.

6. 단독 등의 수독성 피부병.

:
Posted by 약초세상
2019. 10. 7. 09:01

요통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19. 10. 7. 09:01

728x90

의이인 160g

숙지황, 백출 각 40g

 

두충 20g

 

파고지 12g

 

맥문동 8g

 

오미자 4g

 

호두육 3개

냉체질 : + 부자 4g

열체질 : + 숙지황을 증량

때에 따라 강활, 방풍 각 4g을 가미하는 경우도 있음

청주1병으로 전탕해 한첩을 하루분으로 복용한다.

보통 4~5첩이면 효과가 나타난다.

전국에서 환자요청이 쇄도하는 처방이라고 하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0) 2019.10.19
소화불량, 체기, 소화기관련질환  (0) 2019.10.15
협심증  (0) 2019.10.01
담 걸린 경우-허리,복부, 가슴, 등  (0) 2019.09.27
교통사고 후유증  (0) 2019.09.2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작약(芍藥), 두충(杜沖), 황기(黃耆), 방풍(防風) 각 4g

천궁(川芎) , 대추(大棗), 생강(生畺) 각 3g

인삼(人蔘), 감초(甘草), 강활(羌活), 우슬(牛膝), 부자(附子) 각 2g

백출(白朮) 6.0

해설

1. 빈혈성이면서 체질이 아주 허약하고 에너지 대사가 부족한 사람이

만성 퇴행성 관절염이나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면역능이 저하되어서 추위를 타고, 관절이 약하며, 관절이 종창,

발적, 동통(疼痛)하면서 관절세포에는 영양이 결핍되어 있을 때 ;

* 조혈 작용으로 빈혈을 개선하고,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며 열에너지 생성을 촉진하고,

* 면역능을 증강하여 관절의 만성적인 염증증상을 억제하고,

* 소염(消炎), 소종(消腫), 이뇨, 진통작용과, 고지혈을 개선하고, 혈관을 확장하며,

혈관운동능을 강화함으로서 관절국소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만성 관절염이나 혈액순환 부전으로 발생하는 신경통, 반신불수를 개선한다.

2. 뼈에 영양을 공급하고, 근골을 강화하여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개선한다.

3. 혈관운동능저하와 고혈압으로 중풍이 와서 인체의 어느 부분에 마비감이 왔을 때 :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 혈관의 장력을 강화하며

* 진통 작용을 한다.

적용증상

1. 빈혈이 있으면서 몸이 허약하여 피골이 상접한 사람이

무릎 관절이 야위거나 발적, 종창, 동통이 있다.

2. 하지(下肢)는 무력하고 가늘어진다.

3. 추위를 접촉하면 동통은 더욱 심해진다.

4. 관절통이 야간에 더욱 심하고 무력하고 땅긴다.

약리작용

1.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은 조혈 작용과 순환 작용이 있다.

2. 인삼, 백출, 감초, 대추, 황기는 인체의 에너지 대사를 증진하고,

면역능을 강화하여 염증증상을 개선하고,

부자는 체열에너지대사를 활성화하여 추위를 개선한다.

3. 당귀, 두충, 황기, 우슬은 혈관을 확장하고,

방풍, 강활,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4. 방풍, 강활, 작약은 항균 작용을 한다.

5. 방풍, 부자, 우슬, 강활, 작약은 진통 작용을 한다.

6. 백출, 방풍, 황기, 생강은 이뇨작용을 한다.

7. 두충, 계지, 부자는 뼈에 영양을 공급하고, 근골을 강화하여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개선한다.

8. 황기, 두충은 혈액의 점도(高Cholesterol혈증)을 저하하여 혈류를 증진한다.

9. 두충, 우슬은 근육을 강화한다.

 

적용가능 병명

1. 만성 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이 여위고 학슬풍[관절류마티스]의 증세가 있으면서

관절의 강직과 굴신곤란과 빈혈과 무기력, 하지 무력(下肢無力)을 호소할 때.

2. 근육마비, 척수 질환, 척수염, 뇌일혈 등으로 하반신이 마비되거나 반신불수가 되었을 때.

3. 산후에 혈허(血虛)와 쇠약으로 인하여 하지 마비(下肢麻脾)가 왔을 때.

4. 본 방은 발병의 초기에는 나타날 때가 드물고 만성으로 이행했을 때 그 사용증이 잘 나타난다.

5. 각기(脚氣), 통풍에도 본 방증이 나올 때가 많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