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불명 구토 처방 - 비화음(比和飮) 처방관련 자료/근현대 명의처방(국내)2020. 8. 10. 09:03
내용
6년 전 한의계의 선배인 A선생이
일찍이 교직을 버리고 고시준비를 하실 때
너무나 신경을 많이 쓰시고 위장병이 생겨서
드디어 모 병원에 장기입원하였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점점 쇠약해질 뿐 급기야 정신도 들락날락하고
음식도 미음조차 넘기지 못하고
약을 먹어도 토하고 물을 마셔도 토하여
이제는 말도 못하는 위기에 직면하였는데
담당의사는 무슨 병인지 판단이 안가니
마지막으로 정신과 진료를 받아야겠는데
말을 못하니 어찌 할 도리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때 본원(本院)에서 중풍치료를 받아
완쾌한 충남상회 H씨와 남매간이 되는 처지이므로
그 소식을 듣고 문병을 가서 本院을 소개하게 되어
환자 부인은 그에게 매달려서 한이나 없이
꼭 왕진을 한번 부탁하여 달라는 것이었다.
선생은 왕진갈 시간여유도 없고 거리도 멀 뿐 아니라
타병원에 입원환자를 어떻게 진료할 수 있느냐고 수차 거절하였다.
그러나 다음날 또 와서 간청하는 바람에 선생은 도저히 왕진할 수 없으나
그 환자의 자세한 증상과 과거 원인 경과를 말하여 보라고 하여
우선 비화음(比和飮) 처방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되어
진창미(陳倉米) 대신, 미감수(米泔水, 살뜨물)에 극소량을 달여서
병에 넣고 가지고 가서 한 숟가락씩 구토하지 않을 정도로
수분간격으로 냉복(冷服)케 하였다 한다.
그랬더니 이상하게도 물도 토하던 환자가 그 때 그 때 잘 받아먹더란 것이다.
그런데 회진왔던 의사가 가슴에 청진기를 대려고 하니
환자 입에서 한약냄새가 콸콸나는지라 그 의사는 부인을 향하여
노발대발하며 입원시켰으면 우리에게 맡길 것이지
임의대로 이것저것 한약을 갈아 먹이니 병이 낫겠느냐는 것이다.
그 때 부인은 입원한지도 오래고
선생님들이 별별 치료를 다해도 낫기는커녕
병명도 모르고 이제는 물도 못 넘기고 죽는 길만이 남았는데,
나도 내 정신이 아니고 한이나 없이 한약이라도 한번 먹여 본 것인데
웬일인지 한약을 먹이니 하나도 토하지 않았습니다.
내일은 퇴원하겠다고 말하니 그 의사는 할 말이 없어 나가버렸고
그 이튿날 퇴원하고 그 부인이 H씨를 앞세우고 와서
선생님을 믿고 퇴원하였으니 어느 시간이던지 왕진 좀 해달라고 간청하여
왕진을 계속하였더니 점차 회복되어 일주일 만에 다시 말을 하였고,
일개월 만에 완쾌하여 그 후 보약을 좀 쓰고 지금까지 한의원 치료를 계속한다.
比和飮
人蔘 6g, 白朮, 白茯苓, 神曲 各 4g, 藿香, 陳皮, 砂仁 各 4g, 甘草 2g,
薑三棗二, 米泔水煎湯冷服.
(『醫林』제118호, 1977)
부가설명
위병용 선생(韋炳龍 先生,1910∼?)은 평안남도 출신으로
1930년에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 평남 평원군 등에서
교사를 10여년간 하다가 8.15해방과 더불어 월남하여
한의사인 선친의 유업을 계승하고자 경희대 한의대에
만학의 나이로 입학하여 6년 과정을 마친 후 한의사가 되었다.
위의 의안(醫案, 처방)은 병원에서 치료하지 못한 구토의 증상을
비화음(比和飮)으로 치료해낸 기록이다.
比和飮은 『東醫寶鑑』雜病篇, 嘔吐門에 나오는 처방으로서
“治胃虛嘔吐月餘不納水穀聞食氣卽嘔聞藥亦嘔”을 주치로 한다.
다만 『東醫寶鑑』에는 진창미(陳倉米, 묵은쌀)가 들어가 있고
복룡간(伏龍肝) 가루도 처방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을 생략하고 米泔水煎湯冷服으로 대체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처방관련 자료 > 근현대 명의처방(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궤양 처방 - 백렴탕(白蘞湯) (0) | 2020.08.19 |
---|---|
본태성 고혈압 처방 - 육미원 가감방 (0) | 2020.08.15 |
정신착란증, 자궁암 처방 - 시호가용골모려탕, 가미사물탕 (0) | 2020.08.05 |
위장병 처방(경험방) - 하수오탕, 전정가미이진탕가감 (0) | 2020.07.29 |
순환장애, 중풍, 이질, 자궁출혈 처방(경험방)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