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내용

자궁소파수술 후에 발생하는

하복통(下腹痛), 요통(腰痛), 심조(心跳), 현훈(眩暈), 슬통(膝痛), 소화불량(消化不良)과 함께

자궁출혈이 수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그 치료에 있어서 지혈방(止血方)도 여러가지 있겠지만

본원(本院)에서 수십년간 사용하는 통치방(通治方)은 加味地黃湯이오니

여러분의 臨床에 보탬이 된다면 영광이겠다.

加味地黃湯

白朮土炒, 當歸 各五錢, 川芎, 熟地黃 各四錢, 地楡, 側柏葉炒 各三錢,

麥門冬, 山藥炒, 山茱, 牧丹皮, 澤瀉, 白茯 各一錢半,

白芍藥酒炒, 阿膠珠, 生地黃, 五味子, 骨碎補 各一錢,

桃仁八個, 乾薑炒黑, 荊芥炒 各七分, 炙甘草 五分.

以上은 大方으로서 자궁소파수술후의 자궁출혈은 물론

그 외 모든 자궁출혈(자궁외임신과 자궁암은 제외)이라면 90% 이상 자신할 만큼

우수한 처방이오니 증상에 따라 가감하시기 바랍니다.

(「醫林」제74호. 1969년 7월)

자궁소파수술: 자궁의 내막을 기계로 긁어내는 수술. 소파술 또는 소파라고도 한다.

부가설명

이 처방은 이정화선생의 처방이다.

그는 15세에 집안의 어떤 환자가 한의원에 가서 진료를 받게 되어

한의사가 되겠다고 마음먹게 되었다.

수원에서 활동한 醫生 李裳 선생에게서 사사하여 한의학 공부를 6년간 하여

일제시기 한약종상 시험을 합격하여 한약종상으로 25세부터 활동하다가

1965년에 경희대 한의대에 다시 입학하여 1969년에 한의사가 되었다.

그는 마포구 공덕동에서 杏南한의원을 경영하였다.

위의 내용은 醫案이라기보다는 경험방 공개이다.

그가 오랜 기간동안 자궁소파수술 시술 후의 자궁출혈 환자들을 진료하여

특효방을 찾아내어 공개하는 것이다.

1969년 무렵은 정부차원의 정책인 산아제한이 극단적으로 시행되었던 시기이다.

이에 따라 낙태가 만연되어 자궁소파수술에 대한 가임여성들의 경험률은 매우 높은 상태였다.

이에 따라 그 후유증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였다.

이정화 선생은 자궁소파수술의 후유증을 치료해낼 처방을

「醫林」에 공개함으로써 한의계에 경종을 울리고자 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자궁소파수술의 후유증은

“下腹痛, 腰痛, 心跳, 眩暈, 膝痛, 消化不良 등 증에 子宮出血이 隨伴”되는 증상이다.

처방이름은 加味地黃湯으로써 이 처방은 六味地黃湯의 變方이다.

腎氣丸(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목단피, 택사, 오미자)에

四物湯(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을 합방하고 여기에 인삼을 제거한 四君子湯(백출, 복령, 감초)에

地楡, 側柏葉, 荊芥炒 등 지혈시키는 약물에 桃仁과 같이 瘀血을 치료하는 약물을 가하고 있다.

乾薑炒黑과 骨碎補는 자궁출혈 후유증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