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대청엽]

 

식물의 기원

숭람(菘藍) Isatis indigotica Fortune (십자화과 Cruciferae)

요람(蓼藍) Polygonum tinctorium Ait. (여뀌과 Polygonaceae)의 잎

여기서 요람은 식물 쪽을 의미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심장과 위이다.(心, 胃)

약리작용

①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뇌막염쌍구균,

폐렴쌍구균, 인플루엔자균, 이질균의 발육 억제 작용과 B형간염 억제 작용이 있다.

② 해열, 항염작용이 있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단독(丹毒) : 피부발진, 두드러기

②. 자시(痄腮) : 이하선염

③. 후비(喉痺) : 인후염

④. 습열황달(濕熱黃疸): 황달

⑤. 폐옹(癰腫): 폐농양

⑥. 구설생창(口舌生瘡): 구내염

⑦. 이질(痢疾)

2. 량혈소반(凉血消斑): 피부 병독 발반

①. 온사입영(溫邪入營): 고열을 동반하는 피부 종기, 발진, 두드러기

②. 토혈(吐血)

③. 축혈(鼻衄): 코피

① 약성이 몹시 차므로 해열 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외감성으로 인하여 고열이 있거나,

온병(溫病) 초기게 고열 및 신체에 반진이 돋고 정신이 혼몽한 증상에 활용되며,

홍역, 볼거리염, 급성간염, B형뇌염, 인후염 등에도 쓰인다.

② 열독(熱毒)으로 인한 반진과,

피부의 살갗이 벌겋게 되면서 화끈거리고 열이 나는 병증, 코피, 토혈 등에 활용된다.

용량: 8-15g

주의사항

비위가 허약하고 평소 몸이 찬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임상보고

① 소아감기감염증에 1회 4g을 하루 3~6회로 나누어서 복용시키고,

② 급성 인후염, 급성 기관지염, 급성편도선염에 비교적 우수한 반응을 나타냈다.

③ B형뇌염에 1회 3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시킨 지 2~3일 후 해여 작용이 나타났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