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국산 약초 중에 연재하지 않았던 걸 살펴보니

삼지구엽초(음양곽)이 있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이 삼지구엽초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전해드릴까 합니다.

 

 

삼지구엽초(음양곽)은 전 세계적으로 20종 정도가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대략 3~4종 정도가 자생하고 있습니다.

 

 

한때 정력에 좋다는 방송이 나오면서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멸종 위기까지 갔었던 식물 중 하나입니다.

(남성분들 이 글보고 반성하세요)​

 

 

 

음양곽의 유래는..양이 삼지구엽초를 뜯어먹고

붕가붕가를 너무 많이 한 데서 유래합니다.

(이럴 땐 붕가붕가란 단어가 참 유용하네요 ㅋㅋㅋ)

 

 

즉, 양을 음란하게 하는 풀이라는 의미죠.

 

실제로 삼지구엽초(음양곽)는 최음 작용이 있는데

정액을 가득 차게 해서 간접적으로 성욕을 일으키는 작용을 합니다.

 

다만, 이 기전은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밝혀진 내용이고요.

 

 

국산의 경우는 삼지구엽초라고 부르고

중국에서는 음양곽이라고 부르는데,

 

중국은 음양곽의 종류가 5종 정도 더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한해 국내 수입량이 50톤 정도 되지요.

 

반면 국산 삼지구엽초의 경우는 매년 채취량이 줄어

생산량이 1~2톤 사이입니다.

 

 

삼지구엽초가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삼지구엽초가 가지고 있는 [이카린]이라 불리는 성분 때문입니다.

 

이카린은 비아그라와 같은 효과를 내기도 하지만

반면, 어지러움증 구토, 환각과 같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사용량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성분입니다.

 

현재 식약청에서는

국산 삼지구엽초를 대상으로 침출차와 주류에서는

이카린이란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한의사협회 실험에서는

국산 삼지구엽초와 중국산 음양곽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모두 일정 부분 이카린이라는 성분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한의사협회에서는 식품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입장이고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식약청에서 식품원료에 대한 시스템 개편에 착수한 상태이고

현재는 식품으로 사용하되 오로지 끓여먹는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한 걸로 결론을 낸 상태입니다.

 

 

국산 삼지구엽초와 중국산 음양곽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뿌리입니다.

 

국산 삼지구엽초의 경우는 뿌리째 채취해서 유통되는 반면,

중국산 음양곽의 경우는 뿌리는 이물질로 간주되어

통관시에 전부 잘라서 들어오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니 눈으로 보면 확연하게 구분이 되지요.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중국산 음양곽을 가지고 뿌리를 자른 후

국산으로 유통하면 그건 알 수가 없는 거니까요~

 

 

실제 음양곽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건

바로 불임입니다.

특히 남성들 정자 부족에

토사자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삼지구엽초를 복용하고 나서

임신을 했다는 소식은

저도 굉장히 많이 듣고 확인했습니다.~​

활용해보시길~~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