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신안의학(新安醫學)

장일첩(張一貼) 의술의 계승자

비위합병론(痹痿合病論)의 추장자

*신안의학(新安醫學)

당대唐代 이후, 안후이安徽 지역의 문화와 의학이 창성해지면서

형성된 지역에 기반한 의파를 지칭한다.

명明, 청清 시대에 많은 명의가 배출되고,

안후이 지역에 백가쟁명의 활발한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신안의학의 위상이 확고해졌다.

통계에 따르면 송대宋代에서 청말까지 466명의 명의가 배출되었고,

그 중 197명이 355부의 의학저작을 저술하여,

중국의학의 발전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리지런 선생은 신안의학에 속하는

“장일첩” 의술(한 첩이면 병이 낫는다)의 계승자이다.

 

비증의 용약경험

 

한비寒痺 치료 처방의 조성에 대해

리 선생은 부자, 천오, 초오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자는 성질이 신온대열辛溫大熱하고,

약력이 한 부위에 멈춰있지 않고 잘 퍼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보화회양補火回陽, 통경산결通經散結의 효능으로

모든 침한고랭증沉寒痼冷證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거산음한의 우선 약재이다.

천오, 초오의 작용은 부자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현저한 진통 및 국부마취 작용이 있다.

열비熱痺 치료 처방에서 리 선생은 고삼을 중용한다.

고삼은 청열조습清熱燥濕, 거풍해독祛風解毒에 좋은 효과가 있다.

고삼을 사용해 비증을 치료하는 것은 《성제총록聖濟總錄》의

근비肌痹를 치료하는 “고삼환”의 방의와도 비슷하다.

고삼과 함께 거풍제습祛風除濕, 서근활혈舒筋活血, 통락지통通絡止痛의 효능을 가진

청풍등을 배오하여 사용한다.

리 선생은 인경약의 사용을 매우 중시하였다.

상지 통증에는 片강황, 계지를 사용하고,

하지통증에는 독활, 懷우슬, 鮮목과, 오가피를 사용한다.

요배부 통증에는 천단, 두충, 구척을,

골관절 통증에는 위령선, 보골지를 사용하며,

근육통증에는 뇌공등을 주로 사용한다.

 

 

위증의 용약경험

위증痿證은 사지근맥이 이완되어 수족에 힘이 없으며,

근육이 위축되어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병증이다,

온열병溫熱病이나 열증熱證으로 음액陰液이 부족하여 근맥을 자양하지 못하거나,

습열사濕熱邪가 근맥에 침입하였을 때 혹은, 만성병으로 몸이 허약해졌거나

간신肝腎의 정혈精血이 부족하여 근골을 자양하지 못하는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다.

 

리 선생은 위증에 대한 인식과 치료에 독창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위증의 발병원인에 대하여,

서의에서는 유전자의 결손 또는 돌연변이 등 요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리 선생은 다년 간 위증 발병 원인을 조사하여,

상당수의 환자가 유전적 요인과는 관계없이 발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치료에 있어서도 리 선생은 위증의 치료는 간신肝腎을 보하는 동시에

폐, 비, 위에 대하여도 조치를 취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그는 “위증을 치료하려면 양명을 독취해야 한다治痿獨取陽明”는 선인들의 가르침에 대해서도,

위증 치료를 비위에서 시작하는 것은 옳지만

비위만 치료한다는 의미로 “독취獨取”를 해석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경락은 인체기혈이 순행하는 통로로서, 경락이 폐조되는 것이 비증의 병기이며,

위증에서 나타나는 지체활동력 저하는 경락이 어瘀또는 적혈積血로 막혀

근골을 유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므로 서근경락, 활혈화어법 등도 동시에 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독성약물의 용량에 관한 이해

독성약물은 약성이 강렬하고,

인체에 대한 독성 또는 부작용이 있는 약물을 지칭한다.

유독약물의 안전제량을 지키지 않고 잘못 사용하면

인체에 위해를 가하고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하지만 독성이 있는 중약은 약성이 강렬하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 적절하게 사용하면 완고한 질병의 치료에 매우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세신은 신온辛溫한 성질의 약물로서

산한지통, 거풍해표, 온폐화담, 선통개규 하는

효능이 뛰어나서 역대의가들이 즐겨 사용해 온 약물이다.

그렇지만 세신細辛의 용량과 독성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란이 많았다.

2010년 판 《중국약전》은

“세신의 용량(성인 1일 용량)은 3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리 선생은 세신의 용량은 병정에 근거해 다르게 사용하는데

세신을 탕약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6g에서 수십g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산제로 사용할 때는 탕약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작은 용량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요독증 치료에서 리 선생은 制부자를 30~40g, 대황을 30~50g 사용한다.

독성약물 또는 약성이 강렬한 약재를 쓰는데 대하여 리 선생은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먼저 변증이 정확하다는 전제하에 병정의 위급하다면 대량의 약재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유독약물은 특별한 전법煎法을 사용하여 달여야 한다.

예를 들어 制부자는 반드시 선전先煎 40~50분을 진행한 후에 다른 약과 함께 달여야 한다.

세 번째 처방을 내리기 이전에 환자의 체질, 특히 과거에 복용했던 약물의 부작용 상황을

철저하게 살핀 후에 유독약물의 제량을 조절한다.

 

 

임상사례

•행비行痺

•황黃모, 여, 62세 전신 관절통증 4년, 증상 가중 10일

【초진】 2009년 7월 15일

환자는 4년 전부터 유주성 통증이 나타났으며,

현지 병원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받았다.

부루펜, 프레드니손 등을 투여하여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약물 복용을 중지하자 증상이 반복적으로 재발했다.

2009년 5월 22일 본 원 검사 결과, ESR 65mm/h, RF 777.5IU, ASO, CRP는 정상으로 나타났다.

최근 10일간 양쪽 수지간관절에 종창을 동반한 통증이 나타났다.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힘이 없으며, 양쪽 수지간관절 종창, 통증이 있다.

새벽에 경직이 있고 두 손을 쥘 수가 없다.

•진단 : 행비, 풍습조락風濕阻絡, 맥락불화脈絡不和

•치법 : 거풍승습祛風勝濕, 활혈통락活血通絡

• 처방 : 진교15g, 고삼15g, 炒황백12g, 粉비해15g, 청풍등12g, 해풍등15g, 인동등15g,

낙석등15g, 계혈등15g, 활혈등15g, 淡전충8g, 토복령30g, 片강황10g, 川계지10g,

炙오공 2마리, 황기60g, 화마인30g. 수전복, 14첩.

【2진】 2009년 8월 5일

심리 상태가 예전과 비해 좋아졌고 양쪽 수지관절의 통증과 종창이 현저하게 경감하였다.

하지만 전신 관절의 유주성 통증은 여전하며 새벽 경직이 있다. 다른 불편한 전신 증상은 없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침세沉細하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화마인을 제하고, 뇌공등10g(先煎), 포공영30g을 더하여 14첩을 처방하였다.

하루 한 첩, 수전복.

【3진】 2009년 8월 19일

2진 처방 복용 후 전신관절의 유주성 통증이 조금씩 완화되었으나 새벽 경직은 여전하다.

식욕부진이 있고 기타 불편한 증상은 없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脈은 침현沉弦하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화미인을 제하고 곽향15g, 패란15g,

연호색15g, 焦삼선 각 20g을 가미하여 처방하였다.

【4진】 2009년 9월 2일

사지 관절에 때때로 통증이 있으며 새벽 경직이 심하다. 소화는 잘된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침현沉弦하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화마인을 빼고, 뇌공등12g, 팔릉마八楞麻12g, 오초사15g을 가미하여 처방하였다.

매일 한 첩, 수전복.

【5진】 2009년 9월 16일

사지 관절 통증이 호전되었고 새벽 강직이 경감되었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침현沉弦하다.

• 처방 : 4진 처방에서 制천오, 制초오 각12g(先煎)를 가미하고 片강황을 25g으로 늘리고

오초사를 12g으로 줄였다. 매일 한 첩, 수전복.

【6진】 2009년 9월 30일

사지 관절의 통증이 거의 사라지고 종창 및 새벽 강직 등도 사라졌다.

대소변은 정상이다. RF 587.5IU/mL, ESR 20m/h.

• 처방 : 5진 처방에서 紛비해를 제하고 廣목향15g(後下)을 가미했으며, 片강황을 10g으로 줄였다.

하루 한 첩, 수전복.

상기 처방 복용 후 제반 병증이 사라졌다.

계속해서 탕약을 복용토록 하여 치료 효과를 공고히 하였다.

【해설】 행비의 통증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본 환자의 주요 증상은 유주성 통증이다.

리 선생은 등류藤類 약물을 사용해 치료를 진행하였다. 청풍등, 해풍등은 상용 대약藥對으로

두 약 모두 거풍습祛風濕, 통경락通經絡하는 효능이 있으며 풍습비통風濕痹痛의 치료에 쓰인다.

하지만 두 약물은 효능에 차이도 존재한다.

전자는 진통작용이 강하고, 후자는 낙중지풍絡中之風

즉, 유주성 통증의 치료에 효과가 좋다.

여기에 인동등을 배합하여 열독을 제거하고, 낙석등으로 거풍통락祛風通絡한다.

계혈등은 통락서근通絡舒筋, 활혈보혈活血補血 효능이 있고,

활혈등은 거풍활락祛風活絡, 산어소옹散瘀消癰하여 관절의 종창을 제거한다.

선생은 환자의 상지관절 통증이 비교적 현저하다는데 착안하여

片강황, 川계지를 사용해 약물이 병소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병상정久病傷正하기 때문에 대량의 황기를 더해 익기고표益氣固表하였다.

토복령은 입락入絡하여 이습통락利濕通絡하고 습열온독을 제거할 수 있으며,

증형에 따라 제량을 200g까지 올려 사용할 수 있다.

오공은 새벽 강직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좋다.

 

 

임상사례

•통비痛痹

•상向 모, 여, 34세, 전신 관절통 반복 발작 2년

【초진】 2010년 12월 2일

환자는 전신 관절통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양손의 강직이 새벽에 특히 심하고

양 쪽 중지관절이 종창하여 2009년 1월, 본원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으나 좋은 효과를 보지 못했다.

2010년 10월 검사 결과 RF187 IU/mL, ASO 9.32mg/L이다.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제 증상이 가중되었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현細弦하다.

•진단 : 통비, 풍한습비증風寒濕痹證

•치법 : 거풍산한祛風散寒, 이습통락지통利濕通絡止痛

• 처방 : 진교15g, 강활15g, 독활15g, 팔릉마12g, 制천오, 制초오 각12g(先煎),

뇌공등12g(先煎), 황기60g, 고삼15g, 炒황백12g, 紛비해15g, 청풍등15g,

인동등20g, 계혈등12g, 활혈등12g, 淡전충8g, 制유향, 制몰약 각 12g,

토복령30g, 焦삼선 각20g, 炙오공 2마리

【2진】 2011년 3월 24일

초진 처방을 복용한 이후 전신 관절 통증이 약간 완화되었다.

환자는 위완부의 창만을 호소하였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細하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고삼을 빼고, 녹함초, 시희렴조豕希薟草 각 20g을 가미 하였다.

【3진】 2011년 4월 21일

2진 처방 15첩을 복용한 후 전신 관절통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위완부의 창만감이 사라졌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고삼을 빼고 노로통15g, 시희렴초 각 20g, 오초사9g을 가미했다.

【4진】 2011년 6월 2일

3진 처방 복용 후 전신관절통이 경감되었다. 기타 전신증상은 없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현細弦하다.

•처방 : 3진 처방에서 노로통을 빼고 노관초30g, 편강황20g을 가미했다.

【5진】 2011년 7월 7일

4진 처방을 복용한 후 전신관절통이 더욱 완화되었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현細弦하다. RF는 91IU/mL로 나타났다.

• 처방 : 4진 처방에서 制유향, 制몰약을 빼고 懷산약20g, 관근초20g을 가미하고,

오초사를 12g으로 증량하였다.

【6진】 2011년 7월 28일

5진 처방 복용 후 전신관절통이 비교적 안정되었으며 새벽 강직도 경감되었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細하다.

• 처방 : 초진 처방에서 뇌공등을 빼고 노관초30g, 오초사12g을 가미하였다.

이후 6진의 처방을 기초로 방약을 가감하여 치료를 진행하여 병세가 안정되었다.

【해설】 환자의 주요 증상은 전신관절의 통증이고 사지가 차갑고 외한畏寒 증상이있다.

낙맥에 외사가 침범해 한습온조寒濕蘊阻하여 기혈의 운행이 막혀 전신관절의 통증이 야기된 것이다.

설질舌質은 담홍淡紅하고, 태苔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세細하다.

이는 통비로 진단할 수 있다.

선생은 “온경강독탕”을 처방해

산한제습散寒除濕, 거풍통락지통祛風通絡止痛하였다.

본 방에서 강활, 독활은 신고온조辛苦溫燥한 성질을 가진 상용 대약이다.

그 중 강활은 상부에 위치한 풍습의 제거, 독활은 하부에 위치한 풍습을 주로 제거한다.

두 약재를 배오하여 전신의 풍습지사風濕之邪를 제거하고 통리관절通利關節 한다.

천오, 초오는 온경산한溫經散寒, 통락지통通絡止痛하는 공효가 있고

현저한 진통鎮痛 및 국부마취 작용이 있다.

뇌공등은 관절주위 조직의 통증 특히 근육통 치료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팔릉마는 접골초라고도 불리는데, 서경활락舒經活絡하는 공효가 뛰어나다.

계혈등, 활혈등은 양혈활혈, 거어서근지통 효과를 발휘하는 약물인데,

그 중 계혈등은 양혈養血작용이 강하고 활혈등은 활혈 작용이 강하다.

두 약물을 배오하여 사용하면 양혈하되 자니滋膩하지 않고, 활혈하되 정기가 상하지 않도록 한다.

담전충과 오공은 거풍지경祛風止痙, 공독산결攻毒散結의 효능이 있어

구비久痹, 완비頑痹를 치료하는 요약要藥이다.

전갈과 오공은 호혈산혈耗血散血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황기를 더해 보기양혈補氣養血 하였다.

진교는 거풍습祛風濕, 서경락舒經絡하여 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토복령은 설탁해독泄濁解毒한다.

녹함초, 시희렴초, 청풍등, 인동등은 거풍습하는 약재이고 약물이 위장에 지나친 자극을 주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焦삼선을 더해 소식화위消食和胃 하였다.

비증은 단시간 내 완치되기 어려우므로 기본 처방을 위주로 치료 대법을 유지하며

증상에 따른 가감을 통해 천천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생은 비증의 매 증형에 치료 대법과 주방主方을 확립하고,

수법수방守法守方하는 치료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p.s장일첩張一貼 의술의 전승

“장일첩張一貼” 이라 불리는 중의세가에는

“아녀자와 외부인에게는 의술을 전하지 않는” 불문율이전해져 내려왔다.

장일첩의 13대 전승자인 장건구이張根桂선생은 하나뿐이었던 장남이 일찍 요절하여,

장일첩 의술의 대를 이을 방법을 항상 고민하고 있었다.

장건구이는 고심 끝에 평소에 눈여겨보고 있었던

성실하고 총명한 청년 리지런과 장녀 장순화張舜華를 결혼하도록 하여

둘 모두에게 장일첩의 정수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장건구이는 리지런을 사위로 맞으면서 하나의 조건을 제시한다.

그가 제시한 조건은 아들이 태어나면 장남의 성은 ‘장張’으로 한다는 것이었다.

리지런은 이를 수용하였고 부부에게서 첫째 아들이 태어났다.

리지런의 장남이 바로 “현대 중국 4대 국학대사國學大師” 중 한 사람인,

베이징중의약대학의 장치청張其成교수이다.

리지런 부부의 다른 자녀들은 모두 의업에 종사하며 신안의학의 발전에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장순화 여사는 “여女장일첩”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고 리지런 선생은 2009년“제1기 국의대사”로 선정되었다.

장건구이의 결단 덕에 “장일첩” 세가는

현대 중의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중의세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국무원에서 비준한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 전통의약 항목”에도

“장일첩 내과요법”이 포함되어 있다.

 

*본 내용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