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7

« 2025/7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비위병 중의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다

1.궤양성 대장염 치료법

1) 구복탕제

“온청병용溫清並用, 보사겸시補瀉兼施”의 치료원칙에 따라

간, 비, 신을 함께 조리하고 한온병용하는 연지청장탕連脂清腸湯을 주로 사용한다.

연지청장탕連脂清腸湯

【구성】 황련2g, 보골지10g, 백출10g, 복령15g, 백작약15g, 감초5g

약물 가운데 황련은 이증痢證을 치료하는 핵심 약재이며

보골지는 신허냉사腎虛冷瀉를 치료한다.

두 약의 비율은 보통 1:5~8을 사용하는데 이는 사기를 남기지 않고(戀邪)

음을 견고(堅陰)히 하는 동시에 과온過溫되지 않게 하는 목적에서이다.

백출, 복령은 건비조습健脾燥濕, 이수利水하며,

백작약은 유간화영柔肝和營하고 감초는 완급지통緩急止痛한다.

설사를 주요 증상으로 하는 UC 환자에게는 치사방治瀉方을 사용한다.

치사방治瀉方

【구성】 당삼10g, 산약10g, 炒백출10g, 황련2g, 煨목향6g, 적백작약 각10g,

보골지10g, 고삼6g, 길경6g, 선학초24g.

활동기에는 매일 2~4회 복약하고 완화기에는 2~3일에 1회 복약한다.

치료기간은 2개월 이상으로 6~12개월은 되어야 치료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2) 관장방灌腸方

쉬징판 선생의 관장법은 지유地榆30g, 백급15,g 석창포15g을 진하게 달여

40℃의 온도로 맞추어 매일 1회 관장하는 것이다.

대변 횟수가 과도할 때는 석류피20g, 진피秦皮10g을 더하고,

마른 변과 함께 혈변이 있을 때는 生대황10g을 더한다.

활동기에 증상이 심할 때는 연속 7~10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완화기에는 5일 관장에 2일 휴식하도록 처방한다.

3) 족료방足療方

족료足療는 경락을 자극해 내복약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쉬징판 선생는 족료방은 조기행혈調氣行血, 양혈지혈涼血止血하는 데

치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구성】 지유30g, 선학초30g, 천궁10g, 백두옹30g, 계관화30g, 호장15g, 당귀15g,

귀침초30g, 홍화6g.

병증에 따라 청열해독하는 약을 가미한다.

족료 시에는 본 처방을 60~70℃의 따뜻한 물에 우려내어 사용하고

족욕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 온도를 유지한다.

매일 2회 20~30분씩 시행하며 식전, 식후 30분 내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4) 산제

UC 완화기에는 산제를 위주로 관장방, 식료食療를 겸하여 치료하며

증상이 재발하면 다시 치료방법을 조정한다.

UC 완화기의 병기는 비허간울脾虛肝鬱 위주이므로

억간렴간抑肝斂肝하는 약제를 중심으로 삼칠분三七粉을 더하여 사용한다.

산제를 따뜻한 물에 타서 매일 2회 복용한다.

1. 서씨 소간화위탕徐氏疏肝和胃湯

【조성】 炙시호6g(혹은 자소梗6g), 炒지각10g, 炒백작약15g, 制향부10g, 불수10g,

귤피락橘皮絡 각 6g, 광울금10g, 制계내금10g, 감초3g, 천궁10g, 아출10g.

수전복, 1일 1첩, 200ml

【공효】 소간화위疏肝和胃, 통창기제通暢氣機

【주치】 간위불화형肝胃不和型

만성위축성위염, 위완창만, 위완통증, 흉협창통 등의 증상 치료에 사용한다.

【해설】 간병肝病이 위장에 영향을 미칠 때는 먼저 기울氣鬱이 나타난다.

소간화위탕은 《내경》에서 말한 “肝欲散, 急食辛以散之”의 원칙을 따른 처방이다.

약물 가운데 시호는 간담으로 들어가서 승산升散, 소간疏肝하는 위병 치료의 요약要藥이다.

자소경은 온이부조溫而不燥하고 방향芳香하며 “경능주중梗能主中”하여 중초비위를 다스린다.

자소경은 위완통, 옆구리 통증, 구고口苦 등 소양불화少陽不和한 환자나

시호를 쓰기 어려운 환자의 치료에 군약君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향부와 울금은 소간행기疏肝行氣하여 군약의 산결소울散結消鬱을 도우 고,

백작약은 양혈養血, 유간지통柔肝止痛하고 감초와 배오되어

산감상합酸甘相合을 이뤄 환급지통緩急止痛한다.

지각, 불수, 진피는 이기화위理氣和胃, 소비지통消痞止痛하고,

천궁, 아출은 활열화어活血化瘀한다. 귤피락은 이기통락理氣通絡하며,

계내금은 건위소식健胃消食, 조운助運 한다.

감초는 익기건비하면서 제약의 조화를 이룬다.

【가감법】 위기상역胃氣上逆에 오심구토가 있을 때는 반하, 정향, 시체, 대자석, 도두각 등을 가미한다.

인후咽喉가 불편하고 가슴에 은은한 통증이 있으면 목호접, 팔월찰을 가미한다.

정서불창情志不暢이 있으면 합환피, 향부를 가미하고

위완통, 옆구리 통증이 심할 때는 연호색, 천련자를 더한다.

기체가 오래되어 화열化熱하면 위완 작열감, 목마름, 위산과다가 출현한다.

이러한 때는 목단피, 치자, 浙패모, 황금, 포공영 혹은 좌금환左金丸을 더하여

간위울열肝胃鬱熱을 청사淸瀉한다.

임상사례

•중허中虛로 인한 한성寒性위통

•장張모, 남성, 59세

【초진】 20년 전부터 위완부의 불편함을 호소했다.

공복에 증상이 뚜렷하고 식사 후 완화된다.

위 내시경 진단에서 만성 천표성 위축성 위염, 간질성間質性 십이지장염 소견이 나왔다.

예전에 중, 서의 치료를 받았으나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증상이 나타났다.

• 현 증상 : 위완부의 은통隱痛과 불편함, 잦은 트림, 식욕부진, 소식少食, 위완부 한랭감 호소.

대소변은 정상이며 혀는 담홍, 설태는 박백, 맥은 세하였다.

환자가 환절기에 주로 증상이 나타난다고 했으나,

이전 탕약에는 고량강, 오수유, 육계 등 온양지품溫陽之品이 많이 들어있었고

효과가 그리 좋지 않았다.

• 변증 : 비위허약脾胃虛弱, 중양부진中陽不振, 기기조체氣機阻滯로 인한 병증이다.

치법은 익기건비益氣健脾, 온양난위溫陽暖胃를 위주로 행기법行氣法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 처방 : 당삼10g, 炒백출15g, 황기10g, 炒산약10g, 복령20g, 진피6g, 煨목향6g,

炙감초5g, 계지6g, 건강6g, 초두구6g, 炒곡아20g, 炒맥아20g.

수전복, 1일 1제, 7일 간 복용.

7일간 약을 복용한 후 증상이 뚜렷하게 호전되었으며

같은 처방을 다시 10일간 복용한 후 위통이 점차 사라지고 식욕을 회복하였다.

퇴원 후 추적평가에서 위통이 재발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해설】 위통은 일반적으로 한열부조寒熱不調, 기포실상饑飽失常, 기기불창氣機不暢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본 환자는 환절기에 위통이 나타나는 것은 환자가 한열교착寒熱交錯 단계에 있다는 뜻이다.

환자가 평소 음주, 기름진 음식 등을 자주 섭취하여 쉽게 담습痰濕이 생겼고

이로 인해 기기氣機의 운행에 장애가 생겨 비위기능에 손상이 생긴 것이다.

예전 치료에서 위완부 한랭감으로 온양산한溫陽散寒하는 약에만 치중하였기 때문에 효과가 그리 좋지 않았다.

쉬징판 선생은 위완부에 한랭감이 있으면 대다수 중허中虛에 속하므로

치료 시에 위장와 표리가 되는 비장을 동시에 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환자가 현재 기체氣滯가 비교적 엄중하므로 煨목향으로 삼초의 기를 운행시켰다.

목향을 외煨법으로 포제하여 쓰는 것은 신조辛燥한 기를 줄여서

음액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임상사례

•황련黃連, 곽향藿香을 배오하여 구토와 설사를 멈춘다.

•송宋모, 남성, 58세

【초진】 기름진 음식을 먹은 후 상복부에 동통을 호소하였다.

통증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어깨 쪽으로 방사통이 있다.

오심구토가 있고 구토물은 위 내용물이다.

혈중 아밀라아제 수치는 674U/L, 혈중 백혈구 수치는 13.62×109/L, N: 83.4% 이다.

진단은 급성 췌장염이며 항감염, 췌장선 분비억제, 위산 분비억제, 항경련, 진통치료가 진행되었다.

치료 후 통증은 완화되었으나 지속적으로 구토와 설사가 나타나 쉬 선생을 찾아오게 되었다.

진료 시 증상은 간헐적인 복부의 은통隱痛, 구토, 설사, 진한 소변이었으며,

설은 홍하고 설태는 니탁황膩濁黃, 맥은 현활했다.

문진에서 환자는 평소 음주를 즐기며 식습관이 불규칙 하다고 진술하였다.

• 변증 : 담습내온痰濕內蘊으로 울이화화鬱而化火하여 불통즉통不通則痛이 나타남,

치법은 화담제습化痰除濕, 개울청화開鬱清火, 화위지통和胃止痛

• 처방 : 황련3g, 곽향12g, 황백10g, 황금10g, 산치자8g, 현삼15g, 廣울금10g,

炒백출12g, 금은화15g, 연교15g, 창출10g, 연호색12g, 炒곡아15g, 炒맥 아15g,

진피10g, 炙감초3g. 1일 1제. 3일간 복용하도록 처방했다.

상기 처방을 3일간 복용한 후 구토와 설사가 사라졌으며 복통도 뚜렷하게 완화되었다.

이후 초진 처방에서 현삼, 산치자를 제하고 炒의이인30g, 백화사설초15g을 가미하여

7일간 복용하도록 하여 효과를 공고히 하였다.

【해설】 환자는 서의치료 이후에도 구토, 설사 증상을 보였는데

이는 불화不化한 습사濕邪와 남은 울화鬱火로 인해

중초의 기기에 장애가 생겨 나타나는 현상이다.

쉬징판 선생은 이럴 때는 처방에 황련과 곽향을 배오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본초정의本草正義》에서는 “곽향은 방향芳香하되 맹렬하지 않고 온후溫煦하되 조열燥熱하지 않다.

음매습사陰霾濕邪를 없애 비위의 정기를 돕는다.

습곤비양濕困脾陽으로 피곤하고 무력하며 식욕이 없고

설태가 탁구濁垢할 때 가장 빠른 효과를 보이는 약이다.”라고 찬양하였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황련은 오장의 열을 내리고 완고한 설사와 농혈변을 치료한다.”라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두 약을 배오하면 한온이 조합되어 청열화습清熱化濕하고 구토와 설사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쉬징판 선생은 황련과 곽향의 배오로 습열이 중초에 정체되어 발생한

위통, 비창痞脹, 오심, 설사 등의 병증을 치료하는데 특히 여름에 발생한 병증에 효과가 좋다.

임상사례

•정력자葶藶子로 암 치료

•동董모, 남성, 65세

【초진】 위암 수술 후 재발하여 간 전이가 된 케이스.

화학요법 치료 후 항감염, 간세포 보호, 위장보호, 영양치료 등 대증치료를 받고 있었으나

상태가 좋지 않고 삶의 질이 낮아 증상개선을 위해 내원하였다.

진찰 시 증상은 기단, 사지무력, 핍력 등이 있었고, 반와위半臥位를 선호하였으며,

전신 피부 및 공막에 황색의 침전이 있고, 구결막의 수종, 양 하지의 어반瘀斑과 2도 수종이 있었다.

쉬징판 선생은 환자의 가슴과 복부에 붉고 검은 반점이 있으며

검은 반점이 붉은 반점보다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흉부 X-ray에서 환자의 양 흉강에 흉수가 있고 복강에도 소량의 복수가 확인되었다. 설

은 담하고 보랏빛을 띠고 설변에 치흔이 있다.

설태는 백활니白滑膩하고 맥은 세삽細澀하다.

• 변증 : 오랜 병으로 체질이 허하고 허를 기반으로

어수호결瘀水互結, 독사내온毒邪內蘊한 것이므로

하어리수下瘀利水, 사폐축수瀉肺逐水, 행기화어行氣化瘀,

청해내독清解內毒법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 처방 : 정력자10g, 견우자20g, 상백피20g, 행인12g, 해백5g, 당삼10g, 당귀10g,

지각10g, 향부10g, 계내금15g, 빈랑10g, 옥미수15g, 용규10g, 백화사설초10g,

炒곡아10g, 炒맥아10g. 수전복, 1일 1제.

상기 약을 5제 복용한 후 재검진에서 흉강과 복강의 액체가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수종도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황달도 옅어졌다.

이에 상기 방약을 조정해 익기양혈, 이수화어하는 치료를 하였다.

2주 정도 후 환자는 반드시 누워 수면을 취할 수 있었고 황달이 사라지고 삶의 질도 제고되었다.

【해설】 쉬징판 선생은 암 수술 후의 환자는

기혈휴허氣血虧虛, 기기불창氣機不暢, 수어호결水瘀互結의 병기를 가지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본 환자는 몇 년간의 암 투병 생활로 인해 전체적인 상태가 좋지 않았다.

가슴과 복부에 나타난 검고 붉은 반점은 어혈로 인한 것이며

흉수와 복수, 수종, 반와위를 선호하는 증상은 수정내온불화水停內蘊不化로 인한 것이다.

이때는 단순한 이습퇴황利濕退黃이 나 배본부정培本扶正 치료로는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치료 시에는 먼저 축수거어逐水祛瘀하여 기기를 통창通暢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견우자는 이동원李東垣이 “삼초옹결三焦壅結을 제거한다.”고 칭찬한 약물이다.

정력자는 《신농본초경》에서 “파견축사破堅逐邪하고 통리수도通利水道한다.”고 하였으니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견우자와 정력자를 배오하면

통리기맥通利氣脈, 설탁행어泄濁行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쉬징판 선생은 말기 암 환자에게는 반드시 낫게 하겠다는 보장을 할 수는 없더라도

환자의 고통을 덜고 증상을 완화시켜주어 삶의 질을 제고 시키는 것이

양의良醫가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태도라고 하였다.

본 내용은 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