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저우중잉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20. 4. 27. 09:03
현대 중의내과학의 체계를 수립하다.
1. 평천고본탕平喘固本湯
【조성】 당삼, 오미자, 동충하초, 호도육, 침향, 영자석, 감기坎炁, 소자, 관동화, 法반하, 귤홍 등
【공효】 보폐익신補肺益腎, 강기화담降氣化痰
【적응증】 효천哮喘 허증虛證, 정허사실正虛邪實, 폐신양휴肺腎兩虧, 담탁옹성痰濁壅盛에 사용.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효천 발작. 발작 시 담명음痰鳴音이 들리고 목소리가 작고 숨이 가쁘며,
움직이면 증상이 더 심해짐. 기침소리에 힘이 없고 가래를 뱉어도 시원하지 않으며
피로하고 땀이 나며 심황心慌이 있고, 맥이 허하고 무력無力함.
【용법】 매일 1첩, 물에 달여서 하루 2회로 나눠 복용.
2. 화간해독탕化肝解毒湯
【조성】 호장15g, 평지목平地木15g, 반지련15g, 토복령20g, 수분초垂盆草20g,
관중10g, 片강황10g, 흑요두黑料豆10g, 生감초3g.
【공효】 간경肝經의 습열어독濕熱瘀毒을 청해설화凊解泄化함
【적응증】 만성B형간염. 습열(독)어결증. 간 부위의 창통脹痛 혹은 자통刺痛,
완부脘部가 더부룩하고 소화장애가 있음. 속이 매스껍고, 복부팽창腹脹이 있음.
두 다리가 산중酸重하고, 입이 마르고 씀.
대변이 묽거나 변비가 있으며 소변색이 황하고 안색이 어두움.
설태는 니膩하고 설질은 암홍黯紅하거나 어반瘀斑이 있으며
맥은 현弦 혹은 유삭濡數함.
【용법】 매일 1첩, 수전복. 2개월을 1개 치료과정으로 함.
【가감】 습열중조濕熱中阻가 있는 환자는 炒황금, 후박을 가미하고,
장부습열腸腑濕熱이 있는 환자는 봉미초, 패장초를,
습열발황濕熱發黃 환자는 인진, 黑산치를,
열독편중熱毒偏重이 있는 환자는 용담초, 대청엽을
습탁편중濕濁偏重證이 있는 환자는 煨초과, 晩잠사를,
혈분어열血分瘀熱이 있는 환자는 백화사설초, 制대황을,
영혈열심營血熱甚이 있는 환자는 수우각片, 단피, 자초를,
간울혈어肝鬱血瘀가 있는 환자는 토별충, 마편초를,
육혈衄血이 있는 환자는 천초근, 백모근을 가미함.
임상사례
•효천
•위안袁xx, 여성, 58세
효천이 수년 간 지속적으로 발작했다. 특히 겨울에 발작이 심하다.
【초진】 2011년 11월 18일
숨이 가쁘고 움직이면 증상이 심해짐.
기침과 가래가 있음. 목에서 담명음이 들림.
심황心慌이 있고 땀이 남.
설태는 후니厚膩하고 설질은 담암淡暗하며 맥은 침세활沉細滑함.
•변증 : 폐신양허肺腎兩虛, 담탁조체痰濁阻滯
•처방 : 평천고본탕平喘固本湯 가감
당삼 15g, 오미자 6g, 산수유 10g, 호도육 10g, 감기2조(条), 자석영 20g, 침향 3g,
소자 10g, 자원 10g, 관동화 10g, 法반하 10g, 귤홍 10g, 가자 6g, 육계 3g. 7첩,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복용.
【2진】 11월 25일
기천氣喘이 호전됨, 움직이면 숨이 가쁜 증상이 남아 있음.
안색이 불화無華하고 기침과 가래가 적음. 설태는 백白하며 맥脈은 침세沉細함
• 처방 : 육계3g, 감기2條,炙황기12g, 당귀10g, 종유석10g, 보골지10g,
炒자소자10g, 法반하10g, 호도육10g, 자석영12g, 숙지황12g, 가자5g, 침향3g, 생강4편片.
7첩,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복용.
【3진】 12월 2일
숨이 가쁜 증상이 호전됨. 기침과 가래가 적음.
두훈頭暈이 나타남. 설태가 백하고, 맥은 침세함.
• 처방 : 2진 처방에서 종유석을 제거하고 구기자 10g을 가미함,
7첩,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복용.
【해설】 환자는 중년 여성으로 수년 간 효천이 발작했다.
저우 선생은 정허사실正虛邪實, 폐신양휴肺腎兩虧, 담탁조체痰濁阻滯로 변증하여 치료하였다.
군약은 당삼, 산수유, 감기, 호도육으로 보익폐신補益肺腎, 고본배원固本培元 공효가 있다.
신약은 오미자, 가자, 자석영, 침향 등으로서 오미자와 가자는 손상된 폐기를 수렴하고,
자석영, 침향은 강기평천降氣平喘하며, 군약과 더불어 고본평천固本平喘하는 기능을 가진다.
좌약은 자소자, 자완, 관동화, 法반하, 귤홍으로 화담강역化痰降逆, 지해평천止咳平喘 한다.
제 약의 배오를 통해 폐와 신을 동시에 보하고 기를 수렴하여 내리고,
이와 동시에 부정거사, 표본동치하여 보폐익신補肺益腎, 강기화담평천降氣化痰平喘 작용을 제고함.
임상사례
•협통
•장張xx, 남성, 30세, 간 부위의 둔통
【초진】 간 부위에 둔통이 있고 속이 메스껍고 구토 증상이 있음.
6개월 전부터 피곤하고 기력이 없고 식욕감퇴가 있다.
• 검사결과 : 황달지수 7u, SGTPT 100u, HBsAg(+)로 나옴.
B형 간염으로 확진하고 중약치료를 진행했다.
8차례 간기능 검사를 진행하였고, HBsAg은 계속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안색이 핼쑥하고 황색이고 늘 피곤해 하며, 입이 마르고 변비가 있다.
설태가 박薄하고 황니黃膩하고 맥은 현활弦滑하다.
•변증 : 습열어결濕熱瘀結, 간울肝鬱로 인한 소토불능疏土不能
•치법 : 청화습열凊化濕熱, 해독화어解毒化瘀
•처방 : 화간해독탕化肝解毒湯 가감.
호장, 평지목, 수분초 각 20g, 토복령, 관중, 자초, 흑요두 각 10g, 감초3g, 이묘환12g(포).
30첩, 매일 1첩, 水煎服.
【2진】 제 증상이 점차적으로 호전, SGTPT검사 결과 정상, HbsAg(-)
•변증 : 사기구련邪氣久戀, 신체허약身體因虛弱
•치법 : 부정고본扶正固本
• 처방 : 초진 처방 중 자초, 토복령, 수분초를 제거하고 하수오, 황정, 생지, 황기, 백출을 가미. 30첩.
제 증상이 호전되고 간기능 검사결과 각 항목이 정상수치로 돌아옴.
【해설】 저우 선생은 상기 환자의 증상은 습열어濕熱瘀가
간에 울체鬱滯되어 소토疏土하지 못하여 발생하였다고 변증하였다.
청화습열凊化濕熱, 해독화어解毒化瘀효능을 지닌 화간해독탕化肝解毒湯을 사용하였다.
p.s:참고처방
사천성에 진도 8.0의 지진이 일어나서
전염병의 우려가 발생했을때 나왔던 처방입니다.
• 방역해독방防疫解毒方
조휴10g, 관중10g, 담두시10g, 청호12g, 연교10g,
일지황화一枝黃花15g, 전호10g, 행인10g, 길경5g.
물에 달여서 하루 2회 복용.
• 방역화탁방防疫化濁方
炒창출10g, 백지10g, 소엽10g, 곽향10g, 향유5g, 두권豆卷10g, 후박
5g, 法반하10g, 진피6g, 석창포9g. 물에 달여서 하루 2회 복용.
방역해독방은 역독범폐疫毒犯肺에 의한 호흡기감염,
방역화탁방은 예탁상중穢濁傷中에 의한 소화계통의 감염을 각각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처방이다.
이 내용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정리한 것입니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리지런 (0) | 2020.05.11 |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찬자 (0) | 2020.05.04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쉬징판 (0) | 2020.04.22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런지쉐 (0) | 2020.04.11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리전화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