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오늘은 좀 특이한 약초입니다.

더위지기라는 이름을 가졌는데요.

 

이게 인진이라는 약재와 혼동이 되면서

한인진이라는 이름을 따로 붙여서 부릅니다.

 

식물이름은 더위지기 이구요.

 

우리가 흔히 아는 인진은 사철쑥을 말하는데

 

시장에서는 이게 서로 혼용되어서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그럼 실제 인진쑥을 보겠습니다.

위 사진과 구별이 되시나요?

더위지기가 잎이 더넓고 크다는게 차이점인데요.

실제로는 절단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중국에서는 어린 사철쑥의 잎을 면인진, 가을에 채위한 사철쑥을 인진호라는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는데, 예전에는 이 면인진이 수입이 되었지만

카드뮴이  초과검출되면서 현재는 국내로 수입이 이뤄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효능 차이가 있을까? 

약간 다릅니다. --;;

 

인진은 확실히 간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습니다만

더위지기는 간세포 보호효과는 없고 담즙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증명되었습니다.

 

즉, 더위지기는 소화제인겁니다.

담즙은 지방산을 분해하고

몸안의 지방찌꺼기를 없애는 효능을 생각하신다면

 

응용해서 고지혈증에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한의학 서적에서 유명한 처방을 기록한 책 중에

'방약합편'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여기에 인진의 식물을 더위지기로 기록해서

이런 사태가 발생하긴 했는데,

이 기록은 오류라고 봐야 맞을것 같습니다.

아니면 사철쑥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이 더위지기를 대용했던

습관이 내려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더위지기도 일정부분은 간기능 회복을 간접적으로 도울수 있기 때문에

굳이 사철쑥만을 고집하지는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