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육미지황탕 구성

숙지황 16g

산수유, 산약 각 8g

목단피, 택사, 복령 각 6g

육미지황탕 해설

1. 간기능이 저하되거나 간염이 있고,

2. 만성신염(慢性腎炎)으로 혈압이 높아지거나 부종이나 요통이 있으며

간기능의 저하로 기운이 없고, 도한(盜汗)이 있고

비특이적 면역능이 저하되어 무기력하고, 신경이 쇠약해져 있을 때

* 신장기능을 강화하고, 신염을 개선하여 요통을 완화하고,

*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시켜서 강장(强壯)작용을 하며

* 정신을 안정시키고

* 만성 간염 증상을 개선한다.

* 혈압을 하강한다.

3. 세포의 대사능이 부족하여 당동화(糖同化)작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혈당이 높을 때

*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세포에서의 당동화(糖同化)작용을 촉진하므로 써 혈당(血糖)을 하강한다.

육미지황탕 약리작용

1. 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는 혈당을 강하하여 당뇨를 개선하고, 고점도혈증을 완화한다.

2. 지황, 목단피, 산수유는 항염작용이 있어서 만성신염을 개선하고,

복령, 산수유는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빈뇨를 개선하는 이뇨작용이 있으며

목단피, 택사, 산수유는 만성신염으로 인한 고 혈압에 혈압을 하강하여 고혈압을 개선한다.,

3. 지황, 목단피는 항염작용이 있어서 만성간염을 개선하고,

산약, 산수유, 복령은 간에 영양을 공급하며 택사는 지방간을 개선한다.

4. 복령, 산수유, 산약, 지황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강장작용을 한다.

5. 숙지황, 복령, 목단피는 신경, 정신을 안정시킨다.

육미지황탕 적용증상

1. 요통.

2. 도한(盜汗).

3. 어지러움.

4. 소변의 량이 많고 자주 본다.

5. 이명(耳鳴).

6. 구갈.

7. 성적신경쇄약.

8. 소변 색이 진하다.

9. 시력감퇴.

10. 다리에 힘이 없다.

11. 체온은 높은 편이며[煩熱], 추운 계절을 좋아하고, 식욕은 항진,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찬 것과 지방식을 좋아한다.

육미지황탕 응용

1. 만성 신염, 만성신염으로 인한 요통.

2. 야뇨증, 유뇨증, 빈뇨증.

3. 만성간염, 지방간

4. 당뇨병.

5. 정신 집중이 잘 되지 않고 주의가 산만한 체질자.

6. 노인성변비[장점막의 진액부족으로 인하여]에 많이 처방된다.

7. 만성신염으로 주로 다리에 힘이 없고, 부종이 올 때는 우슬, 차전자를 가한 육미신기환을 사용한다.

8. 무릎이 잘 아픈 만성관절질환.

9. 성장통(成長痛).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육군자탕 구성

인삼, 진피, 반하, 백출, 복령 각 6g

감초 3g

생강, 대추 각 4g

육군자탕 해설

본 방은 사군자탕에 반하(半夏)와 진피(陳皮)가 합방되어 있는 처방으로써,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고 에너지대사가 부족하여

기운이 없는 체질의 사람이 소화관이 무력하여,

소화관의 내용물이 정체되어 배출이 되지 않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기운을 생기게 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육군자탕 약리작용

1. 인삼은 근육의 활동성을 강화하여 근력을 증진하고,

인삼, 백출, 복령, 감초, 대추는 세포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에너지대사를 증진하여 무기력 증상을 개선한다.

2. 인삼, 반하는 위장의 운동신경을 자극하여 소화관 운동을 강화한다.

3. 인삼, 생강은 위액 분비를 증진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4. 백출, 복령,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소화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하여 진토, 지구작용을 한다.

5. 진피, 반하는 위장평활근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육군자탕 적용증상

1. 항상 기운이 없고 만성소화불량이 있다..

2. 상복부팽만감이 있다.

육군자탕 응용

1. 소화불량, 위염, 위산과다, 위궤양, 십이지궤양에

상복부 팽만감과 심하부(心下部)의 무력(無力)함을 목표로 사용한다.

2. 평활근 무력(無力)으로 인한 모든 질환에 건중제로 써 많이 처방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월비탕 구성

마황 12g, 석고 16g, 생강 6g, 대추 8g, 감초 4g

월비탕 처방 해설

염증으로 인해 한선(汗腺)을 통해 배설되어야 할 노폐물이

피하(皮下), 관절, 세포간질에 정체되어,

몸 전체에 부종이 있고 몸이 무거우며, 관절부종이 심하고 통증이 있고,

피부의 어느 한부분이 짓무르거나, 눈에는 수명(羞明)현상이 날 때

* 피부배설을 강화하여 피하부종을 완화한다.

* 신장배설을 촉진하여 피하(皮下)와 세포간질에 정체된 수독을 뇨중으로 배설시켜 전신의 부종을 경감한다.

* 해열작용을 한다.

월비탕 약리작용

1. 석고는 피부의 수독을 수렴하여 신장으로 배설한다.

2. 마황, 생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3. 마황과 생강이 발한을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노폐물을 배출하여 부종을 개선한다.

4. 대추, 감초는 발한(發汗)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한다.

5. 감초는 피부알러지증상을 개선한다.

월비탕 적용증상

1. 온몸이 전체적으로 붓고, 부종이 완고하다.

2. 소변량이 적다.

3. 오른쪽 어깨가 붓고 아파서 움질일수 없고 다리는 여윌때도 있다.

4. 피부 각질층에 수독이 정체되어 지저분한 피부병[습진,무좀 등]이 발생한다.

5. 눈(眼)점막하에 수독이 정체되어 눈이 부셔서 불빛을 볼 수 없을 때도 있고 눈이 가렵고 지저분 할 때도 있다 .

월비탕 응용

1. 신장염, 네프로제, 각기(脚氣) 등으로 소변이 불리하고 부종이 아주 완고할 때.

2. 관절류머티로 그 부위의 국소에 열감이 있으면서 부종이 있을 때.

3. 눈병으로 눈이 충혈 되고 눈이 부시면서 눈곱이 아주 더럽게 끼어 있으며 짓무를 때

4. 습진, 완선, 무좀 등의 피부병으로 가피(加皮)와 지루(脂漏)가 뒤범벅이 되어 더럽게 보일 때

5. 다리가 무겁고 부어서 잘 걷지도 못할 것 같을 때.

6. 홍피증(紅皮症)으로 차[冷]하고 통증이 있으며 약간의 부종이 있을 때.

7. 하지정맥 확장증에 부종이 심할 때.

8. 티눈, 케로이드에 위와 같은 증세가 있을 때.

9. 야뇨증, 황달에도 이 증이 올 수가 있다.

p.s: 월비탕은 부종을 제거하는 처방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래서 임상에서는 물만 마셔도 살이 찌는 체질의 다이어트 처방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온경탕 구성

반하 8g

당귀, 천궁, 작약, 목단피, 계지, 아교

생강, 맥문동, 인삼, 감초 각 4g

오수유 3g

온경탕 해설

조혈기관의 기능실조로 혈액은 혈허(血虛)하고,

모세혈관 특히 정맥모세혈관과 정맥판막(靜脈瓣膜)의 탄력은 약하여,

혈액이 정맥모세혈관에서 울혈됨으로써,

피부에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피부는 건조해지고 입술은 마르며 머리에는 비듬이 잘 생긴다.

또 각종 피부병 즉 무좀, 건성습진, 건선 등이 호발(好發) 한다.

하복부와 신체의 말단부위인 손발의 모세혈관이 가장 미세하기 때문에

말초의 울혈이 심하여 손발이 냉[冷]하고 아랫배가 차고

동상에 잘 걸리며 Burger's병에 잘 걸린다.

자궁과 난소에 영양공급이 부족하여 호르몬분비의 균형이 깨어져서

월경불순, 부정기출혈, 월경과다, 무월경(無月經), 자궁내의 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뇌동맥모세혈관의 혈허(血虛)로 인한 산소공급 부족으로 두통을 호소한다.

수족번열감이 생긴다. 하지정맥류가 생긴다.

*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므로 써 혈허(血虛)증상을 개선한다.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관의 장력(張力)을 증강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특히 정맥내의 혈액의 울혈을 개선한다.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 자윤(滋潤)작용을 한다.

온경탕 약리작용

1. 계지, 당귀는 혈관을 확장하고, 오수유, 생강, 천궁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목단피는 항혈전작용이 있다.

3. 아교, 맥문동, 인삼은 피부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피부건조증상을 개선한다.

4. 맥문동, 반하는 기관지점막의 건조로 인한 기침에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5. 아교, 당귀는 조혈작용을 한다.

온경탕 적용증상

1. 구순건조(口脣乾棗)

2. 하복팽만(下腹膨滿)

3. 수장번열(手掌煩熱)

4. 수족냉(手足冷)

5. 하복냉(下腹冷)

6. 오후에 열감

7. 구역

온경탕 응용

1. 월경불순, 습관성 유산, 자궁출혈, 불임증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구순건조, 수장번열, 하복부팽만.

3. 동상, 수장각피(手掌角皮), 건선.

4. 소화기질환에서 소화기의 내벽(內壁)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되어 생기는

소화불량, 하리(下利), 위염, 위궤양, 상하복팽만의 주요 원인증이다.

5. 축농증으로 두통, 수장번열 등의 증상이 있을 때.

6. Burger's, Menier's병에 그 원인증이 될 때가 많다.

7. 갱년기에 난소호르몬의 균형이 깨어져서 자궁출혈이 있을 때.

8. 자궁내막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므로 자궁내강은 산성(酸性)을 띄게 되어

본 처방증의 환자는 아들보다 딸을 잘 임신하게 된다.

또 모든 자궁질환 특히 자궁암, 자궁내막증, 난소염 등의 가장 많은 원인이 된다.

9. 본 방증으로 인한 두통(頭痛)이 많으며 이는 주로 산소공급 부족에 기인하므로

두모감(頭冒感)[머리가 무거운 것]은 별로 없다.

10. 모든 알러지질환은 그 원인이 산소공급 부족에 기인한다는 설을 근거로 하여

그 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때가 많아서 알러지비염, 알러지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러지1형질환에 거의 처방되며 심상성건선, 관절류머타질환 등의 제 3형 알러지질환에도 많이 처방된다.

p.s: 다낭성난난소증후군에 가장 많이 투여되는 처방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혈액순환이 안되어 손발과 아랫배가 찬 증상이 있어야

사용하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당귀, 천궁, 작약, 창출, 복령, 반하,

백지, 지각, 후박, 진피, 길경 각 4g

계지, 건강 각 3g

마황, 감초 각 2g

생강 3쪽, 대추 2쪽

처방해설

오적산이란 기(氣), 혈(血), 담(痰), 음(飮), 식(食)의 오적(五積)을 치한다는 뜻이다.

그 처방은 평위산을 원방으로 하여 이진탕, 사물탕, 계지탕, 속명탕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의 감기, 신경통, 류머티, 요통에 효과가 있다.

1. 평소에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서

관상혈류의 부족으로 심장기능이 약해져서 상열하냉감(上熱下冷感)을 나타내고,

2.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이 있으며

3. 이물질(異物質)의 침입에 의하여 기관지염 등이나 류머티스 같은 면역 질환에 걸려서

기침, 가래, 통증, 관절의 부종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한다.

* 이뇨작용으로 부종을 완화한다.

* 한출(汗出)을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수독을 배설하여

감염증으로 인한 기관지점막의 부종이나 관절의 부종을 완화한다.

*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약리작용

1. 당귀, 천궁, 작약, 생강, 건강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2. 창출, 지각, 반하, 진피, 생강, 후박, 작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액 분비능을 증진하여 내용물의 소화와 배출을 촉진한다.

3. 마황, 계지, 복령, 창출은 이뇨를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4. 마황과 계지는 발한(發汗)으로 해열하고, 피하에 정체된 수독의 배설을 촉진하고, 뇌혈류를 증진한다.

5. 백지, 길경, 당귀는 소염, 진통작용을 한다.

6. 지각, 반하, 진피, 후박, 길경은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7. 작약, 후박, 진피는 항균작용을 하여 기관지염, 장염을 개선한다.

적용증상

1. 상열하냉(上熱下冷)현상이 있다.

2. 기침을 하고 가래가 있다.

3. 두통 또는 신통(身痛)하고 사지는 냉하다.

4. 구토, 설사를 자주 한다.

응용

1. 감기에 걸려서 두통과 신통(腎痛), 요통(腰痛)이 있으면서 손발은 찰 때.

2. 신경통, 요통, 류머티, 각기, 타박상, 반신불수에 상열하냉(上熱下冷)을 목표로.

3. 주로 찬 음식을 먹고 발병한 급성위염의 증상에 손발이 찰 때.

4. 만성위염, 위산과다, 십이지궤양 등에 위내정수(胃內停水)가 있고 트림, 신물(酸水),

하리 등의 증세가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찰 때.

5. 요통, 신경통이 있으면서 발이 차고 상역감이 심할 때.

6. 신장결석, 담석증 등에 허리가 아프고 손발이 차면서 상역감이 있을 때.

7. 대하(帶下), 월경통, 월경불순, 난산(難産) 등.

8. 심장 질환으로 조금만 과식을 해도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가슴이 답답한, 심장순환장애를 호소할 때.

9. 감기나 기관지염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가래가 있을 때

p.s: 오적산은 굉장히 유명한 처방입니다.

기본적으로 몸이 냉한 사람들에게 사용하며,

이런 분들은 대부분 여성분들이 많지요.

위의 응용편을 보면 결국 몸이 차서 기초대사율이 떨어지고

체온이 일반인보다 낮은 경향으로 생기는 증상들입니다.

실제로 수원의 한약방에서는 여성들의 난임과 불임에

이 처방을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오약, 진피 각 10g

길경, 천궁, 백지, 지각, 대추, 마황, 생강 각 6g

건강, 백강잠 각 3g

감초 2g

처방해설

1. 혈관운동부족으로 전신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고, 몸이 여위거나 냉(冷)하거나 마비감이 있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마비감을 개선하고, 전신에 온난감(溫暖感)을 증진한다.

2. 소화기의 내벽에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소화장애가 있고 가스가 생기고 소화가 안 될 때

* 소화관내벽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며 진통, 진경작용을 한다.

3. 장벽(腸壁)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류저하로,

장내(腸內)의 면역능이 저하되어 장염(腸炎)이 있고, 장(腸)이 경련을 일으킬 때

* 항균작용을 하고, 장염을 개선하며 복통을 완화한다.

약리작용

1. 백지는 진통작용이 있다.

2. 마황, 건강, 생강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뇌혈류와 전신 혈류를 증진하고 전신의 혈액순환을 강화한다.

3. 백간잠, 천궁은 진경작용을 한다.

4. 진피, 지각, 오약은 위(胃)와 장(腸)운동능을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설을 증진한다.

5. 생강은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건강은 소화관내벽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6. 오약은 복통을 완화한다.

7. 길경, 진피는 항균작용을 하여 잔염증상을 개선한다.

적용증상

1. 신체통과 마비감이 있다.

2. 소화가 안되고, 장염이 있다.

응용

1. 관절류마티, 근육통. 반신불수.

2. 소화불량, 장염, 복통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복령 8g

감초, 오미자, 건강, 세신, 행인 각 6g

반하 10g

처방해설

1. 만성염증이나 또는 알러지로 기관지점막, 폐포, 늑막 또는

모든 기관의 세포간질에 수독이 정체되어 부종을 나타내거나,

부종이 있으면서 기침, 가래가 있을 때

* 면역능을 증강시키고,

* 정체된 수독을 신장으로 배설시키고,

* 진해(鎭咳), 거담작용을 한다.

2. 체강내(體腔內)에 저류된 수분을 신장으로 배설한다.

3. 점막의 부종을 마황제를 사용하여 강발한(强發汗)시키면 허증에 빠지는 체질자에게 투여하여,

부종을 신장으로 배설시키는 방제이다.

4. 이 처방은 담음(痰飮)과 지음(支飮)에 사용되므로 머리가 무겁고 아픈 경우가 많다.

약리작용

1. 복령, 행인, 건강은 이뇨를 증진하여 점막과 간질의 수독을 제거한다

2. 오미자, 세신, 행인, 반하는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3. 건강, 세신은 부종부위에 혈류를 촉진하고 약한 발한작용을 한다.

4. 세신은 항알러지작용을 한다.

적용증상

1. 부종.

2. 기침.

3. 호흡곤란.

4. 소변불리.

응용

1. 폐렴, 감기, 기관지염 등으로 기침이 극심하고 묽은 가래가 나오면서 부종이 있거나 혹은 소변 불리가 있을 때.

2. 신염, 네프로제, 심장성천식, 영양실조 등으로 부종 또는 수족(手足)이 냉(冷)하고

기침을 하거나 또는 소변불리(小便不利)의 증상이 있을 때.

3. 기침을 심하게 하여 얼굴이 붓고 발이 차고 소변 불리의 증상이 있을 때.

4. 소청룡탕을 쓰고 싶은데 허증이라서 쓰지 못할 경우이거나

또는 소청룡탕을 오래 사용하여 피부가 고조되어 거칠어지거나 기운이 빠진다고 할 때.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산약, 우슬, 두충(염자), 파극천,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백복령, 인삼, 목향, 백자인 각 60g

촉초, 석창포, 택사 각 30g

원지(감초자), 육종용 각 120g

복분자, 차전자, 토사자, 지골피 각 45g

처방해설

인체의 노화가 빨리 진행되어 기운이 없고 피부가 건조하며

다리와 무릎이 아프고 고혈압이 있으며 간기능이 약해지고 혈당이 높아지며

소화가 잘 안되고 정신이 흐릿하고 맑지 못할 때

* 인체의 홀몬대사를 촉진하고

* 난소의 기능을 강화하며 노화를 지연시키고

* 관절을 강화하며

* 간대사촉진, 지방간개선, 간의 해당기능을 강화하여 간기능을 강화하고,

* 혈압을 하강하며

* 혈당을 개선하고

* 소화 흡수를 촉진하며

* 정신을 맑게 한다.

약리작용

1. 오미자는 난소의 배란을 촉진하고, 복분자는 난소의 황체기능을 강화하며

육종용은 내분비기능을 강화하여 인체의 대사를 촉진한다.

2. 인삼, 백복령, 구기자, 파극천은 인체의 노화를 지연한다,

3. 천문동, 맥문동은 세포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세포막과 점막을 강화하고

산약은 세포에 필요한 양질의 아미노산을 공급하며

산수유는 세포에 유기산을 공급하여 세포의 노화를 지연한다.

4. 차전자,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두충, 육종용, 지골피, 파극천, 택사, 지골피는 혈당을 강하한다.

5. 차전자, 구기자, 우슬, 지골피, 두충은 혈압을 강하한다.

6. 토사자, 구기자, 육종용, 파극천은 면역능을 증강한다.

7. 구기자, 택사는 지방간억제작용이 있으며 오미자는 간세포부활작용,

생지황은 간혈류촉진작용, 육종용은 간의 해당기능강화하여 간대사를 강화한다.

8. 촉초, 목향, 인삼은 소화관연동운동을 촉진하여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9. 오미자, 원지, 천문동, 맥문동은 기관지점막을 자윤하여 노화로 인해

기관지점막이 건조하여 나타나는 기침을 완화한다.

10. 차전자, 우슬, 두충은 근육의 장력을 강화하여 관절을 강화한다.

11. 원지, 석창포, 백자인, 토사자, 백복령은 뇌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신경을 안정시킨다.

적용증상

1.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갑자기 노쇠해 진다.

2. 감기에 잘 걸리고 기침이 그치지 않는다.

3. 정력이 없고, 임신이 안된다.

4. 기억력이 없고 정신이 맑지 못하다.

5. 식욕이 없고 빈혈이 있다.

6. 잠이 오지 않는다.

응용

1. 요통, 무릎관절통

2. 기관지확장증성 기침

3. 치매, 건망증, 불면, 신경쇠약

4. 불임

5. 노화, 모든 만성 퇴행성 질환

6. 노인성고혈압

7. 당뇨

8. 지방간, 간기능저하

p.s: 연령고본단은 사실 40대 후반부터 쭉 먹어야하는

보약의 끝판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 법제과정이 힘들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은게 특징입니다.

지금이야 보약하면 공진단을 많이들 생각하시지만

노화에 대해서 꾸준히 먹을수 있는 처방은 오히려 연령고본단의

약재 구성이 더 완벽하다고 보여집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