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대전시 성남동 김〇〇 남자 38세.

1973년 7월 10일경 某親知의 문병차 시내 모 외과병원을 방문한 일이 있다.

문병을 하고 나오는데 어느 안면있는 부인의 애원으로

약 1개월전에 맹장수술을 받고 예후가 불량한 환자의 입원실로 들어갔다.

환자의 신음 소리가 옆 방에까지 들려온다.

들어가보니 환자는 의자에 정자세로 정좌하여 조금도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복부는 약간 硬滿되어 있으며 손을 대지 못하게 한다.

간간이 통증이 올 때는 담석증환자처럼 통증이 극심하고

일기도 덥지만 두부에서부터 전신에 기름같은 땀이 흐른다.

음식은 미음이나 우유를 차 한잔 정도이고 4~5일을 두고

진통제나 기타 주사치료를 하고 있으나 통증은 조금도 줄어들지 않고

야간이면 더욱 심해져 4~5일간 전혀 잠을 못자고 보는 사람이 민망할 정도이다.

외과의사는 하루만 더 기다려보고 재수술을 하자는 것이다.

환자 부인의 애원으로 한약을 투여키로 하고 한의원으로 돌아와

반총산(蟠葱散) 본방(本方)을 1.5배로 증량하고

山査肉 三錢, 烏梅 三梅로 三貼을 투약하였던바

극심한 통증이 없어지고 간밤에는 처음으로 잠을 잤다하며 부인이 희색이 만면하다.

동일한 처방으로 2차, 3차 각 3첩씩 9첩으로 완쾌

퇴원하여 지금은 건강한 몸으로 생업에 종사하고 있다.

(1975년 「醫林」제108호)

부가설명

이 醫案은 맹장염 수술 후에 후유증으로 인하여 통증이 가라앉지 않은 38세의 남자를

蟠葱散加減方으로 치료한 宋壎 선생의 경험을 담고 있다.

蟠葱散은 「東醫寶鑑」前陰門에서

“脾胃虛冷, 心腹攻刺連胸脇, 膀胱小腸腎氣作痛”을 主治로 하는 처방으로서

구성이 “蒼朮, 甘草 各一錢. 三稜, 蓬朮, 白茯苓, 靑皮 各七分. 縮砂, 丁香皮, 檳榔 各五分.

玄胡索, 肉桂, 乾薑 各三分. 右麁末, 作一貼. 葱白一莖 煎服”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 처방은 구성을 분석해보면

平胃散 加三稜, 蓬朮, 玄胡索, 檳榔, 丁香皮, 砂仁, 肉桂, 茯苓, 葱白 去厚朴, 大棗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처방은 腹部의 질환의 寒症에 사용하는 통용방으로서 鎭痛의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처방의 구성으로 보아 脾胃의 虛冷으로 下腹部와 臍腹部를 이어가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葱白이 들어간 것은 寒氣로 인한 腹痛에 뛰어나기 때문이다.

山査肉과 烏梅를 첨가하고 있는데, 이것은 食積의 증상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리라.

이를 통해 송훈 선생은 盲腸炎後遺症 자체보다는

당시 드러난 증상으로서 腹部의 痛症, 寒症, 食積 등의 증상을

감별 진단하여 치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 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대황(大黃), 도인(桃仁), 망초(芒硝) 각 8g

목단피(牧丹皮) 6g, 동과자(冬瓜子) 12g

해설

주로 하복부에 있는 장관의 어느곳[특히 大腸, 盲腸]이

염증으로 인하여 혈소판이 응고되었거나

혈전(血栓)이 생겨서 순환장애가 있을 때 ;

* 사하작용(瀉下作用)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 항혈액응고작용을 하고,

* 항균(抗菌), 소염(消炎)작용을 한다.

적용증상

1. 소복종비.

(배꼽아래 오른쪽 부위 ; 충수부위를 누르면 심히 아프고, 종괴가 있다.)

2. 설황태.

3. 맥이 느리고 힘이 없다.

4. 시시 발열.

5. 변비.

6. 오한(惡寒).

7. 한출(汗出).

약리작용

1. 대황, 망초는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므로 써 혈류를 촉진한다.

2. 도인, 목단피, 대황은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류를 촉진한다.

3. 동과자, 대황은 소염작용을 한다.

4. 대황, 망초는 항균작용을 한다.

적용가능 병명

오른쪽 소복종비(少腹腫 )를 나타내는 아래의 모든 병에 사용된다.

1. 급만성 충수염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항문주위염, 치루, 요도염, 고환염, 전립선염, 자궁내막염,

대하, 복막염, 피하농양, 신우염, 임질, 유선염(乳腺炎) 등의

염증에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주로 하복 이하의 염증에.

3. 복만고창(腹滿鼓脹)의 실증자에 본 방증이 잘 나타난다.

4. 무릎관절염, 연주창 등.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