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사물탕(四物湯)-출전:화제국방 처방관련 자료/유명한 100개 처방에 대한 현대의학적 접근2019. 12. 18. 09:03
구성
당귀(當歸), 숙지황(熟地黃), 천궁(川芎), 작약(芍藥) 각 8g
해설
골수의 조혈기능이 약하거나
철분공급이 부족하여 빈혈이 심하고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않아서
어지러움, 전신허약, 수족냉, 습관성유산(流産),
하혈(下血)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철분을 공급하고 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능을 강화하므로써 허혈(虛血)증상을 개선한다.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자궁발육을 촉진하고 자궁평활근의 탄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적용증상
1. 혈액중에 적혈구의 비율이 낮은 Low Hematocrit의 상태이므로
조직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신경질환, 불임(不姙), 빈혈,
월경이상, 마비, 손발저림의 증상이 있고 골조송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사용한다.
2. 악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등에 조혈기관을 자극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처방이다.
3. 혈허(血虛)로인한 월경불순이나 복통이나 자궁출혈이나 습관성유산 등.
4. 봄에는 천궁의 양을 배로 증량하고, 가을에는 지황의 양을 두배로 늘리고 겨울에는 당귀를 두 배로 늘인다.
5. 혈허로 인한 월경불순에는 본 방에 향부자, 익모초, 오수유, 육계, 인삼 등을 동량 합방한다.
6. 본 방증으로 인한 소양병[피부, 점막에 영양공급 부족으로]일 때는 황금과 부평초 가루를 타서 먹는다.
7. 입안의 궤양증상[점막의 영양공급 부족으로].
8. 노인의 장점막(腸粘膜)의 점액 부족으로 인한 변비에 황기를 가하여 사용한다.
9. 숙지황에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불량이나 하리(下痢)의 증세가 있는 자에게는 투약할 수 없다.
약리해설
1. 당귀,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완화한다.
2. 당귀, 작약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3. 당귀는 유산을 방지한다.
응용
1. 빈혈.
2. 손발저림.(손발은 따뜻함.)
3. 피부건조.
4. 변비경향.(장점막의 진액부족)
'처방관련 자료 > 유명한 100개 처방에 대한 현대의학적 접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삼소음(參蘇飮)-출전:화제국방 (0) | 2019.12.25 |
---|---|
40.삼령백출산(參笭白朮散)-출전:화제국방 (0) | 2019.12.21 |
38.사군자탕(四君子湯)-출전:화제국방 (0) | 2019.12.14 |
37.분심기음(分心氣飮)-출전:화제국방 (0) | 2019.12.12 |
36.복령음(茯笭飮)-출전: 금궤요략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