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분심기음(分心氣飮)-출전:화제국방 처방관련 자료/유명한 100개 처방에 대한 현대의학적 접근2019. 12. 12. 09:02
구성
목향(木香), 정향피(丁香皮), 초과(草果), 상백피(桑白皮), 백출(白朮)
향부자(香附子), 길경(桔梗), 곽향(藿香), 맥문동(麥門冬), 진피(陳皮)
소엽(蘇葉), 후박(厚朴), 인삼(人蔘) 각 4g
대복자(大腹子), 대복피(大腹皮), 감초(甘草) 각 3g
해설
1. 뇌신경계, 자율신경계의 실조로 식욕이 전혀 없고,
불안, 초조, 억울감 등의 신경증상이 심하고, 신경성소화불량,
허복만(虛腹滿)이 있고, 허증의 변비 또는 설사가 있을 때 ;
* 신경계를 조절하고,
* 장운동을 강화하고 완만한 사하작용을 하기도 하고 항균작용을 하여 설사응 완화한다.
*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2. 만성 담도염으로 담즙분비가 안되거나 소화액분비가 안되어
위장운동능이 저하되어 위내용물의 배출이 시원하지 않을 때
* 항균작용으로 담도염을 개선하고 소화액분비를 항진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3. 만성기관지염이나 늑막염, 상기도염등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올 때
* 항균, 소염, 진해, 거담작용을 한다.
적용증상
1. 무기력하고 만사가 귀찮다.
2. 가슴이 답답하고 헛배가 부르다.
3. 옆구리가 결리고 당긴다.
4. 트림, 소화불량이 있다.
5.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온다.
6. 사지권태.
약리작용
1. 향부자, 상백피, 소엽, 후박은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2. 후박은 위장평활근경련을 억제한다.
3. 인삼, 백출, 대복피는 위장운동신경을 강화하여 위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4. 백출, 초과, 향부자는 위장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 배출을 증진한다.
5. 진피, 대복자는 이담작용으로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한다.
6. 인삼, 곽향, 정향피, 대복자(빈랑자)는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7. 진피, 맥문동, 상백피, 길경, 목향, 소엽, 곽향, 정향피, 초과는
상기도 감염증과 담도염, 장염 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하여
상하부 기관에 관한 염증성질환에 항균작용을 하고, 담도염, 장염을 완화한다.
8. 목향, 초과, 정향피, 빈랑자, 길경, 상백피, 진피, 소엽, 후박, 맥문동, 감초는 진해(鎭咳)작용을 한다.
적용가능한 병명
1. 소화불량성 변비.
2. 기침, 가래, 늑막염,기관지염
3. 신경쇠약
4. 담도염, 담낭염.
'처방관련 자료 > 유명한 100개 처방에 대한 현대의학적 접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사물탕(四物湯)-출전:화제국방 (0) | 2019.12.18 |
---|---|
38.사군자탕(四君子湯)-출전:화제국방 (0) | 2019.12.14 |
36.복령음(茯笭飮)-출전: 금궤요략 (0) | 2019.12.09 |
35.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출전:비위론 (0) | 2019.12.06 |
34.보생탕(保生湯)-출전:부인양방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