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구성(g)

계지(桂枝) , 작약(芍藥), 대추(大棗), 생강(生薑),용골(龍骨), 모려(牡蠣) 각 6 , 감초(甘草) 4

활용

1. 인체에 칼슘이 부족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고, 설사가 잘 나며,

2. 교감신경 흥분으로 한출(汗出)이 심하고, 건망증(健忘症),

심계항진(心悸亢進), 불면(不眠), 피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칼슘을 대량 공급하여 아세틸콜린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신경의 이상흥분을 완화하고,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여 심계항진, 불면증을 개선하고 설사증상을 완화한다.

3. 교감신경 흥분이나 또는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한출(汗出)이 나타날 때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한출(汗出)로 인한 진액(津液)의 배설을 억제한다.

4. 한출이 있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뇌파의 이상 발작을 나타낼 때

* 뇌파의 이상발작을 완화한다.

약리작용

1. 용골, 모려는 칼슘을 공급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상을 개선한다.

또 칼슘이 장(腸)운동을 강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2.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느리게 함으로써 한출(汗出)을 완화하고

대추,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적용이 가능한 현대의학 병명​

1. 성적(性的)신경쇠약, 몽정(夢精), 몽교(夢交).

2.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냥 나온다.

3. 머리카락이 잘 빠지거나 비듬이 많은 사람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상기(上氣)가 잘 된다.(탈모증, 禿頭病)

4. 신경쇠약, 불면증, 노이로제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또 건망증(健忘症)이 심할 때.

5. 야뇨증(夜尿症), 전립선비대증, 소아야체증(少兒夜涕症), 마음이 불안정하고 동계(動悸), 잘 놀라는 증상에.

6. 부인들의 월경불순, 다몽(多夢), 건망증(健亡症)에.

7. 시험 점수가 갑자기 이유 없이 떨어지는 수험생은

주로 성적(性的)인 문제가 많이 관련되므로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8.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환자에 본방증이 많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