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오장육부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우선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인체의 장기를 기술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해부학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합니다.

 

동의보감에 몸속 장기의 위치와 모양

그리고 무게가 상세하게 나와있는걸 보면

그 때 당시에 해부가 행해지고 있었다는걸

미루어 짐작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 상황은 현미경이 개발되기 전이고,

그렇기 때문에 아무래도 동의보감의 해부학 수준은

육안으로 장기를 직접보는 수준에 머물렀지 않았나 생각이됩니다. 

 

그래서 비장의 명칭, 그리고 좌신수 우명문, 신간동기,

그리고 삼초이론은 이러한 알수없는

장기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논리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우선 장과 부를 그리고 기항지부라고 불리는 세 분류의 틀을 보겠습니다.
 

1.장(藏)-장은 숨긴다, 저장한다는 의미로 

간,신,비,폐,신을 배속을 시켰습니다. 

이 다섯가지 장을 오장이라고 불렀고 공통적인 기능은

정,기,혈,진액등을 만들고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부(腑)-부는 창고의 의미로 사용되는데, 들어가고 나올수는 있지만, 

오래 머물수는 없다. 즉 저장은 할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담,소장,위,대장,방광,삼초를 배속시켰고

이 여섯가지부를 합쳐 육부라고 합니다.
 

 

3.기항지부(奇恒之腑)- 기능이 육부와는 다른 이상한 부라는 뜻으로 

이 기항지부는 육안해부학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기에 해당하는 장기는 뇌,골수,뼈,맥,담,자궁이 해당하는데, 

육안으로는 기능을 자세하게 알수가 없었을 가능성이

그리고 장과 부의 기능과는 전혀 다른 쪽으로 분류를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오장부터 시작을 해보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