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감별 정보 - 산초(山椒) 약초야 놀자/약초감별2021. 6. 11. 09:00
통용되는 3종 모두‘약효 동일’
산초(山椒)는 천초(川椒), 촉초(蜀椒), 화초(花椒)
대초(大椒), 진초(秦椒), 남초(南椒), 파초(巴椒) 등
다양한 이름으로 한방의서에 등장하는 온리약(溫裏藥)으로서
온중산한(溫中散寒), 제습지통(除濕止痛), 살충(殺蟲),
해어성독(解魚醒毒)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식품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다양한 이름과 마찬가지로 같은 속(屬)에 속하는
많은 종류의 산초나무 종류가 약용 혹은
민간에서 유통되어지고 있으며,
적합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왔던한약재이기도하다.
산초는 8~10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종자 및 잡질을
제거하고 과피(果皮)만을 취한 것이다.
실제적으로는 과실 전체가 유통되기도 하며
필요에 따라 분리(果皮-山椒, 種子-椒目)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과병(果柄)과 종자(椒目)를 제거하고
사용 혹은 유성(油性)을 제거하기 위해 볶아사용해야 한다.
입자가 크고 자홍색이며 유성(油性)이 풍부하고
향기가 진한것이좋다.
1.산초류(山椒類)의기원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대표적인 한약재임에도 불구하고
산초는 해당 국가에 따라 기원식물을 달리하고 있다.
우리나라(KP)와 북한(DKP) 그리고 일본(JP)의 경우에는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에 산초나무(Z. schinifolium) 또는
화초(花椒 Z. bungeanum)의 잘 익은 열매껍질을 추가한 반면,
일본은 Z. piperitum f. inerme를 추가하고 있다.
한편 중국(CP)과 대만(THP)은
산초나무(靑椒 Z. schinifolium)또는
화초(花椒 Z. bungeanum)의 잘 익은 열매껍질을 말린 것을
기원으로 하며 花椒라고 부르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일본의 추가 품목을 품종(f.)수준으로 본다면
초피나무, 산초나무(靑椒),화초(花椒) 3종으로분류되어진다.
산출 지역을 보면,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와
산초나무(靑椒) Z. schinifolium는 한국의 중남부와
중국·일본에 고루 분포하며,
화초(花椒) Z. bungeanum MAX.는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安徽 浙江), 西北(甘肅 陜西 靑海) 등지에
분포한다.
2.약효상의차이
문헌적으로 보면, 초피나무·산초나무(靑椒)·화초(花椒)
3종 열매껍질의 효능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즉 온신유독(溫辛有毒)하며,
비(脾), 폐(肺), 신경(腎經)에 귀경(歸經)하고,
온중산한(溫中散寒), 제습지통(除濕止痛),
살충(殺蟲), 해어성독(解魚醒毒)의 효능으로,
치적식정음심복통구토애(治積食停飮心腹冷痛嘔吐噫)
해수기역(咳嗽氣逆), 풍한습비(風寒濕痺),
설사(泄瀉), 이질(痢疾), 산통(疝痛), 치통(齒痛),
충적복통(蟲積腹痛), 음양(陰痒), 창개(瘡疥) 등을
다스린다.
대분류군으로 보면 온리약(溫裏藥)에 속하며
소분류군에서는 온중초약(溫中焦藥)에속한다.
이중 초피는 잘 익은 열매의 겉껍질을 벗겨
약용이나 식용으로 쓰고(잎을 생선회에 싸서 먹는다거나)
그 씨앗은 기름을 짜서 식용으로 쓰거나 이뇨제로 이용한다.
반면 산초는 약품으로 사용할 때는 完熟한 것을,
식품으로 사용할 때는 未果熟일 때 채취하여
겉껍질과 씨앗을 같이 주로 식용
(추어탕의 비린 맛을 없애려고 할 때나
김장이 시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한다.
중국에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예를 보면
주된 흐름은 화초 > 초피 >산초 순으로 하고있다.
한편 종자인 초목(椒目)의 기미(氣味)는
고신온(苦辛,溫) 유톡(有毒)하고
비(脾), 방광(膀胱)에 귀경(歸經)하며,
미초(微炒)하여 거유(去油)한 후에
행수평천(行水平喘)의 약물로 응용되고 있다.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창만(水腫脹滿), 복대여고(腹大如鼓)
혹은 수음범폐(水飮犯肺), 담천(痰喘), 불득와(不得臥)등을
주치(主治)한다.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면,
3종 산초류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중국의 경우 화초가 상대적으로
효능이 높은 것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화초가 생산되지 않아
초피나무를 오랫동안 사용하여왔다.
특이하게 일본의 경우
산초나무는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식품으로만 통용하라는 기록이 많은
식품문헌에 등장하고 있는것을 볼 수 있다.
②향후 효능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실험이 진행이
절대적 으로 필요한 한약재이다.
이를 통해서 3종 산초류의 효능상의 구분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산초류(山椒類)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①2〜3분과로 이루어지고 암황적색~암적색으로
유실에 의한 오목한 작은 점이 많이 있고
안쪽 면은 연한 황백색이다.
②특유한냄새가있으며맛은맵고혀를마비시킨다.
2)산초나무(靑椒) Z. schinifolium
①2〜3개가상부에서 따로 떨어저 나는 작은 열매로서
회녹색~종녹색으로 많은 유점 및 망상으로 융기된
세밀한 주름이 덮여있다.
지름0.3〜0.4cm(花椒에비해작다)이다.
②특유한 냄새가 있으나 약하며 맛은 약간 달고 후에 맵다.
3)화초(花椒) Z. bungeanum
①1〜2개의 골돌과이며(대부분 단생하며) 자홍색 혹은
홍색이고 많은 사마귀모양으로 돌기된 유점이 덮여있다.
지름0.4〜0.5cm(산초에비해크다)이다.
②특유한 냄새가 강하게 며 맛은 맵고 혀를 마비시키며 오래 지속된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약초야 놀자 > 약초감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재 감별 정보 - 방기(防己) (0) | 2021.06.29 |
---|---|
한약재 감별 정보 - 해동피(海桐皮 ) (0) | 2021.06.18 |
한약재 감별 정보 - 진교(秦艽) (0) | 2021.05.28 |
한약재 감별 정보 - 청상자(靑相子) (0) | 2021.05.14 |
한약재 감별 정보 - 후박(厚朴) (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