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부자 , 오두]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Aconitine(C34H47O11N)

Aconitine은 강한 신경독을 나타내는데,

피부에 바르면 신경을 자극, 흥분시켜 가려움증이 나타나고 점차 마비됨.

소량의 정맥주사 투여시, 호흡운동 및 혈압을 상승시키며, 심장운동이 빨라짐.

다량의 정맥주사 시에는 혈압강하 및 호흡마비를 일으켜 사망할 수 있음.

소량 사용시 위장 및 자궁조직이 흥분되었음.

집토끼를 대상으로 한 각막반사 실험에서는 눈의 충혈을 일으키고,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항이뇨작용이 나타남.

② Mesaconitine(C33H45O11N)

Mesaconitine은 개구리와 집토끼의 심전도에 변화를 일으키고, 전도장애를 발생시킴.

Mesaconitine 분해물인 벤조일메스아코닌도 같은 작용이 있으며 강한 호흡 억제작용이 있음.

혀와 각막반사 실험에서 나타난 지각마비작용은 메스아코니틴 성분이 가장 뚜렷하며,

그 다음 벤조일메스아코닌과 메스아코닌 순으로 강하게 나타남.

③ Hypoaconitine(C33H45O10N)

④ Cuanwubase B : carmichaeline

⑤ dl-Demetylcoclaurine

(2) 독성증상

구역질; 구토; 근육경련; 번조; 저체온; 현기증; 불안; 허약; 마비;

이상감각(입에서 시작하여 사지로 퍼짐); 의식불명; 호흡급박; 호흡기마비;

다발성심실의 조기 수축; 가려움증; 날카로운 통증; 산통; 강한 작열감;

침분비항진; 동공축소; 혈관확장; 마우스를 대상으로 복강 주사하는 경우 치사량은

메스아코니틴 0.2~0.3㎎/㎏, 벤조일메스아코닌 40~50㎎/㎏,

그리고 메스아코닌 300~400㎎/㎏ 임.

(3)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영국(MHRA)의 List of herbal ingredients which are prohibited or restricted in medicines :

Aconite 으로 등재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