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7

« 2025/7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중의뇌병腦病, 중의면역학 전문가

 

병증결합病證結合, 변동구이辨同求異

류 선생은 뇌병 치료 시 변병과 변증을 결합한 병증결합치료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변별하여 치료하는 “변동구이”를 강조한다.

(1) 뇌동맥경화증의 병증결합치료

류 선생은 뇌동맥경화증의 병리기초를 신허혈어腎虛血瘀로 판단하고,

어瘀를 위주로 한 간신肝腎의 변증론치를 주장한다.

임상에서 그는 치어治瘀위주의 뇌동맥경화증 치료 기본방

(단삼15g, 生포황15g, 천궁10g, 익모초10g, 산사10g)을 창안

하였고 변증 결과에 따라 약물을 가감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① 풍양조락증風陽阻絡證 : 기본방에 백작약15g, 천마10g, 구등10g, 진주모30g,

석결명30g, 지룡10g, 전갈5g을 가미한다.(두통이 심하지 않을 때는 천궁 제거)

② 어조뇌락증瘀阻腦絡證 : 기본방에 生황기30g, 전갈5g, 구등10g을 가미한다.

③ 양허혈어증陽虛血瘀證 : 기본방에 황기30g, 음양곽15g, 파극천10g, 녹각상30g을 첨가한다.

④ 음허혈어증陰虛血瘀證 :

기본방에 생지황12g, 구기자12g, 여정자15g, 맥동10g을 첨가한다.

만약 두통이 심하면 연호색, 전갈을 가미하고,

실면다몽失眠多夢이 있으면 산조인, 야교등, 生용골, 生모려를 첨가하며,

오심구토에는 法반하, 진피, 택사를 더하고,

식욕이 없고 음식량이 적을 때는 맥아, 계내금을 더하며,

완복창만脘腹脹滿에는 불수, 대복피를 더하고,

변이 묽을 때는 의이인, 복령,

변비가 있으면 여정자, 결명자,

야뇨가 많을 때는 익지인, 백과,

사지에 부종이 있을 때는 복령, 택사,

흉민흉통胸悶胸痛이 있으면 괄루피, 해백, 강향을 가미한다.

(2) 뇌진탕의 변동구이辨同求異 치료

뇌진탕은 모두 어혈과 관계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질병의 단계와 시기

에 따라 병증의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류 선생은 다음과 같이 3개의 분기로 나눠

서 뇌진탕을 치료한다.

① 초기 어열조락瘀熱阻絡증 : 활혈양혈活血涼血 공능의 양혈통락탕涼血通絡湯 가감방.

•처방 : 생지황12g, 목단피10g, 지골피12g, 백작약12g, 여정자15g, 단삼15g,

포황15g, 천궁10g, 전갈5g, 구등10g, 산사12g.

만약 두통이 심하면 연호색, 천우슬을 가미하여 활혈지통하고,

현훈오심眩暈惡心이 있을 때는 法반하, 진피를 더해 화위강역和胃降逆하며,

실면다몽에는 산조인, 야교등, 용골, 모려를 더해 중진안신하고,

대변비결이 있으면 결명자를 더해 윤장통변潤腸通便한다.

② 중기 어혈조락瘀血阻絡증 : 활혈통락活血通絡 공능의 황삼통락탕黃蔘通絡湯 가감방.

•처방 : 단삼15g, 포황15g, 천궁10g, 전갈5g, 연호색10g, 황기30g, 산사10g.

실면이 있으면 생용골, 생모려, 자석, 산조인, 야교등을 가미해 중진안신하고,

오심구토에는 법반하, 진피를 더해 화위강역하며,

기수증嗜睡症이 있으면 석창포, 울금, 원지를 가미해 개규성신開竅醒神하고,

변비가 있으면 여정자, 결명자를 더해 윤장통변하며,

야뇨가 빈번할 때는 구기자, 산수유, 익지인을 더해 보신축천補腎縮泉하고,

기억력이 감퇴할 때는 사원자, 구기자를 가미해 보신전정補腎填精한다.

③ 말기 신허혈어腎虛血瘀증 : 보신활혈補腎活血 공능이 있는 익신통락탕益腎通絡湯 가감방.

•처방 : 음양곽15g, 구기자10g, 산수유10g, 사원자10g, 단삼10g, 포황15g, 천궁10g, 산사10g.

두통이 심하면 전갈, 연호색을 가미해 활혈지통하며,

실면다몽이 있으면 산조인, 야교등, 용골, 모려를 더해 안신하고,

신피기소神疲氣少에는 황기, 갈근을 더해 익기승양益氣升陽하며,

납소완창納少脘脹에는 불수, 맥아를 더해 이기조화理氣助化하고,

야뇨가 많을 때는 선모, 파극천, 익지인을 더해 온신축뇨溫腎縮尿하며,

두목작창頭目作脹, 번조煩躁하고 맥이 현弦할 때는 천마, 구등을 가미하여 평간平肝한다.

 

 

1. 활혈안신탕活血安神湯

【조성】 황기30g, 단삼15g, 生포황15g, 연호색15g, 천궁10g, 산조인15g, 수오등30g,

生용골(先煎)30g, 生모려(先煎)30g, 전갈(분말로 만들어 탕약에 타서 복용)3g, 감초5g.

【공효】 익기활혈益氣活血, 중진안신重鎮安神

【주치】 뇌진탕, 뇌동맥경화, 혈관성두통, 혈관성치매, 진전마비震顫麻痹

【방해】 뇌진탕, 뇌손상후증후군, 뇌동맥경화증, 혈관성두통은 일정 단계에서

모두 어조뇌락증瘀阻腦絡證이 나타나며, 이는 활혈통락活血通絡 위주로 치료해야 한다.

처방에서 단삼, 포황, 연호색, 천궁은 활혈活血하여 뇌락腦絡을 통하게 하고,

영심寧心하여 뇌신腦神을 안정시킨다.

황기는 익기益氣하여 기혈의 운행을 돕고, 산조인, 수오등, 용골, 모려는 중진안신重鎮安神한다.

전갈은 식풍지통熄風止痛하고 감초는 제약을 조화한다.

전체적으로 익기활혈益氣活血, 중진안신重鎮安神하는 공효가 있다.

본 처방은 기혈동치氣血同治, 형신동치形神同治, 심간동치心肝同治의 특징이 있는데,

대량의 활혈통락약에 황기를 배오하여 익기를 통해 활혈화어약의 작용을 증강시키는 것은

기혈동치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것이다.

뇌는 원신지부元神之府로서 임상에서 뇌락어조腦絡瘀阻증에서는

뇌신腦神이 불안한 증상이 자주 출현한다.

따라서 활혈약에 양심안신養心安神하는 산조인, 수오등과

중진안신重鎮安神약 인 용골, 모려를 배오하여 뇌신腦神을 안정시켜

뇌락의 소통을 돕도록 하는 형신동치를 하고 있다.

또한 어조뇌락瘀阻腦絡, 뇌신불녕腦神不寧하면 간풍인동肝風引動 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활혈약과 함께 전갈을 배오하여 평간식풍平肝熄風한다.

이는 심간동치에 속한다.

【가감】 뇌진탕 초기 조열潮熱, 구고口苦가 있고 설질이 암홍黯紅할 때는 황기를 빼고

생지, 단피, 지골피, 백작약을 가미하고,

뇌동맥경화에는 연호색을 빼고 익모초, 산사, 구등을 더하며,

혈관성두통에는 황기를 빼고 백작약, 구등, 봉방을 더하고,

혈관성치매에는 석창포, 울금, 원지,

진전마비에는 구판, 별갑을 가미한다

간풍상요肝風上擾증이 있으면 황기를 빼고 백작약, 구등, 하고초, 석결명을 가미하고,

간신음허肝腎陰虛가 있을 때는 황기를 빼고 구기자, 여정자, 생지, 맥동을 더하며,

신양부족腎陽不足에는 음양곽, 파극천, 녹각상,

담습상범痰濕上泛에는 석창포, 法반하, 진피, 택사를 가미한다.

두통이 전액前额 위주일 때는 백지, 신이를 가미하고,

두정頭頂 위주일 때는 만형자, 침부枕部 위주일 때는 갈근,

양 측면 위주일 때는 천궁의 용량을 늘인다.

현훈오심眩暈惡心이 있으면 법반하, 진피, 백출, 택사를 가미하고,

납소納少에는 맥아, 계내금, 산사,

완부창만이 있으면 불수, 대복피, 대

변이 묽으면 의이인, 복령,

변비가 있으면 여정자, 결명자,

흉민흉통胸悶胸痛이 있으면 강향, 괄루피를 가미한다.

 

임상사례

• 마모, 남, 42세, 두통, 두훈 1개월

【초진】 자동차사고로 머리를 다친 후 두통, 두훈 1개월.

사고 당시 약 5분간 혼미한 다음 깨어났는데 그 후로 계속 두훈, 두통이 있고 사물이 모호하게 보인다.

두뇌를 사용하면 증상이 가중된다. 잠을 잘 못자고 꿈을 많이 꾼다.

요슬산연腰膝酸軟이 있고 설은 암담黯淡하며 설태는 박백薄白, 맥은 세현細弦하다.

•진단 : 뇌진탕 회복기의 어조뇌락瘀阻腦絡과 신허증腎虛證

•치법 : 익기활혈益氣活血, 중진안신重鎮安神, 보신補腎

•처방 : 활혈안신탕 가감방

황기30g, 단삼30g, 醋연호색12g, 천궁10g, 산조인15g, 수오등30g, 生용골(선전)30g,

生모려(선전)30g, 전갈5g, 구등15g, 산사15g, 불수10g, 음양곽10g, 구기자12g, 산수유10g.

14첩 복용 후 두통과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은 호전되었다.

여전히 두훈이 있다.

상기 처방에 사완자를 추가하여 다시 14첩을 복용한 후에 모든 증상이 사라졌다.

익지인을 더하여 처방하여 효과를 공고히 하였다.

 

 

2. 오등견비음五藤蠲痹飮(국의대사 경험방)

【조성】 인동등30g, 낙석등30g, 계혈등15g, 해풍등15g, 청풍등30g, 위령선30g,

진교10g, 희렴초10g, 노봉방10g, 전갈10g, 상지15g.

【공효】 청열해독清熱解毒, 이습통락利濕通絡

【주치】 류마티스관절염

【방해】 《임증지남의안臨證指南醫案·비痹》에서

“습열이 낙맥으로 들어와 비증이 발생하면

서통경맥하는 약을 사용하여 청양이 움직이도록 하여 치료한다

濕熱入絡而痹者, 用舒通經脈之劑, 使清陽流行爲主”라고 언급하였듯이

치료는 “통법通法”위주로 하여야 한다.

이에 대하여 섭천사는 “주비, 행비, 지비, 근비 및 풍한습 삼기가 협잡된 비증의 치료 역시

기혈을 잘 흐르게 하고 거사양정하고 경맥을 선통하는 치법을 벗어나지 않는다

又有周痹, 行痹, 肢痹, 筋痹及風寒濕三氣

雜合之痹, 亦不外乎流暢氣血, 祛邪養正, 宣通絡脈諸法”라고 하였다.

인동등, 낙석등은 청열해독清熱解毒, 이습통락제비利濕通絡除痹하며 본 처방의 군약이다.

청풍등, 위령선은 해독이습解毒利濕, 통락지통通絡止痛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계혈등, 해풍등은 양혈활혈養血活血, 거습통락祛濕通絡한다.

이들은 신약이다.

진교, 희렴초는 군약과 신약을 도와 풍습風濕을 없애고,

열독熱毒을 청하며, 관절關節을 이롭게 한다.

노봉방과 전갈은 해독수척解毒搜剔하며 통락지통通絡止痛을 강화시키는 좌약이다.

상지는 거습제비祛濕除痹하며 약물의 효과를 상부로 이끄는 인경약이자 사약이다.

본 처방은 주로 넝쿨약과 동물약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약은 근맥筋脈과 골절骨節사이로 들어가 제습통락除濕通絡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습濕은 음사陰邪이므로 만약 약물이 과도하게 양涼하면 습사濕邪가 응결되어 병이 잘 낫지 않는다.

따라서 청열清熱위주로 처방을 구성하였지만 온약溫藥을 같이 사용하여 한온병용寒溫並用하고 있다.

【가감】 통증이 심하면 유향, 몰약을 가미하고,

아침에 경직증상이 심하면 오초사를 더하고,

관절기형이 있을 때는 담남성, 법반하, 토별충을 가미한다.

 

임상사례

• 유모, 남, 51세, 손가락, 손목관절 종통 3년

【초진】 2008년 10월 9일

환자는 학교 졸업 후 줄곧 조습潮濕한 지역에서 근무하였다.

3년 전 부터 손가락과 손목관절에 통증이 출현하였다.

처음엔 통증부위가 이리저리 이동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손가락, 팔목, 팔꿈치 종통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서 강직변형이 나타났다.

병원에서 류마티스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다.

•검사 : 손가락, 팔목, 팔꿈치의 여러 관절에

종대기형腫大畸形과 종창열통腫脹熱痛이 있으며 조조강직 증상이 있다.

설은 자암紫暗하고 설태는 백황白黃하며 맥은 침활沉滑하다.

•진단 : 습열독사濕熱毒邪의 비조근골痹阻筋骨

•치법 : 청해습독清解濕毒, 견비지통蠲痹止痛

•처방 : 인동등30g, 낙석등30g, 진교10g, 희렴초10g, 청풍등30g, 위령선30g, 상지15g,

노봉방10g, 전갈10g, 천궁10g을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2회로 나눠서 복용.

【2진】 10월 23일

손가락, 팔목관절의 종창腫脹, 열통熱痛이 경감되었고, 조조강직도 완화되었다.

상기 처방에서 상지를 빼고 오초사 15g을 더해 지통止痛과 거풍습祛風濕 작용을 강화했다.

【3진】 11월 7일

손가락, 팔목관절의 종창, 열통이 뚜렷하게 경감되었으며 조조강직이 사라졌다.

통증이 오래되었으므로 화어약을 가미하였다.

•처방 : 인동등30g, 낙석등30g, 청풍등30g, 계혈등30g, 위령선30g, 오초사15g,

전갈10g, 制유향10g, 制몰약10g, 천궁10g.

관절의 증상이 경감되었으므로 진구, 희렴초를 빼고

양혈영락養血榮絡하는 계혈등과 통락지통通絡止痛 작용이 있는 유황, 몰약을 가미하였다.

【4진】 12월 21일

관절통증이 이미 제거되었으며 손가락, 팔목관절의 굴신屈伸이 원활하다.

3진의 처방에서 황기15g, 당귀10g을 더해 보익기혈 작용을 강화하였다.

본 처방으로 반년여를 조리하였으며 관절통증이 재발하지 않았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