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류민루(2)(산부인과)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20. 7. 8. 09:03
중의 부인과를 현대화의 길로 이끌어온
최초의 여성 국의대사
4. 부인과 질병 임상 사로(思路)
1) 붕루崩漏
붕루는 병인이 다양하고 병기가 복잡하여 치료하기가 무척 까다롭고 어렵다.
류 선생은 신장의 음양 불균형이 붕루 발병의 근원이고,
충맥과 임맥의 개합開闔기능이 중요하며,
신허腎虛가 본 질환의 핵심 병인이라고 파악한다.
붕루의 치료는 “보신전정補腎填精, 조평음양調平陰陽”을 위주로 하여
익기양혈益氣養血법으로 보조한다.
상용 방제는 하수오12g, 여정자12g, 보골지12g, 인삼10g,
맥동12g, 사삼12g, 오미자12g, 감초10g으로 구성된다.
본 방제는 임상에서 매 번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지혈에 효과적이다.
2) 생리통
생리통은 부인과의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실제로 치료하기는 까다로운 질병이어서 붕루와 같이
부인과 질환 중 대표적인 고질병이자 난치병이다.
환자는 허증虛症이나 실증實症,
또는 허증과 실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허실증虛實症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생리통의 병기와 치법은 의사마다 견해가 다르다.
류 선생은 간기가 울체되거나, 자궁에 한응寒凝이 생겨
충맥, 임맥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해 생리통이 발생한다고 파악하고,
소간이기疏肝理氣, 온궁화한溫宮化寒법으로 생리통을 치료한다.
방제는 소요산逍遙散, 온경탕溫經湯 등을 사용했다.
3) 월경전후 증후군
월경전후 증후군은 월경 전후 시기에
정서적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일종의 질환으로,
환자는 화를 내거나, 슬퍼하거나, 눈물을 흘리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우울감, 혼잣말, 불면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류 선생은 월경전후 증후군의 주요한 병기는 간울기체肝鬱氣滯이고
핵심병인은 담어痰淤라고 파악한다.
담어가 심규를 막아 정서적 이상 증후를 유발하고 기체氣滯가
진액과 혈액의 흐름을 막아 체내에 담, 습, 어혈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류 선생은 이러한 관점에 의거하여 이기화담理氣化痰, 순기소어順氣消淤법으로
본 질환을 치료하며 처방으로는 주로 실소산失笑散과 도담탕導痰湯을 합방하여 사용한다.
임상사례
• 붕루
• 이모, 여, 30세, 직장인, 하혈 10여일
【초진】 1986년 6월
일 년 전부터 생리가 불규칙하고 생리기간이 짧아짐.
생리주기는 20여일이고, 월경 양은 많을 때도 있고 적을 때도 있음.
최근 10여일 하혈, 여러 차례 중, 서의 치료를 받았으나 완쾌되지 않음.
현기증과 어지럼증이 있으며, 숨이 가쁘고, 말이 어눌함.
요통, 이명, 얼굴색이 창백함.
출혈량이 많고 색이 연하며 작은 핏덩어리가 나옴.
설은 담淡하고 태는 화박花剝하다.
•처방 : 하수오12g, 여정자12g, 보골지12g, 인삼10g, 맥동12g, 사삼12g,
오미자12g, 감초10g, 숙지황15g, 사인3g, 두충12g, 오적골30g.
【결과】 3제를 복용한 후 출혈이 명확하게 줄었으며, 3제를 더 복용한 후 완쾌됨.
【해설】 하수오, 숙지황, 여정자, 보골지는 부신전정補腎填精하고,
인삼, 사삼, 맥동, 오미자는 익기양혈하여 임맥과 충맥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오적골은 수렴작용으로 표증을 치료한다.
본 방제는 본과 표를 동시에 치료하며, 기氣, 정精, 혈血을 보補하여
신장의 음양평형을 회복시키고 충맥과 임맥을 안정시켜 출혈을 멈추게 한다.
임상사례
• 생리통
• 유모, 여, 24세, 3일 동안 아랫배가 아프고 부풀어 오름, 추위를 탐
【초진】 1990년 12월 3일
5년 전부터 생리 전에 아랫배 통증이 있었음.
14세에 생리가 시작되었고, 5년 전 생리통이 시작되었으나 참을 수 있는 정도였음.
결혼 후부터 증상이 가중되기 시작하였고 최근 통증이 심해짐.
유방창통, 번조, 생리량이 적고 핏덩이가 보임.
출혈 시 혈색은 암喑, 설은 자紫하고 설태는 박백薄白하며 맥은 현弦함.
•변증 : 간울기체肝鬱氣滯, 한응포궁寒凝胞宮
•치법 : 이기理氣, 소간疏肝, 온경거간溫經祛寒
•처방 : 시호12g, 오약12g, 오수유10g, 육계3g, 당귀12g, 백작약12g,
단삼30g, 복령15g, 원호12g, 감초6g.
【결과】 3제 복용 후 통증이 완화됨.
그 후 소요환逍遙丸을 수시로 복용하였고, 반년 동안 병증이 재발하지 않음
임상사례
• 월경전 증후군
• 양모, 여, 36세, 감정 기복이 심하며 불안 증세가 있음
【초진】 1986년 9월 28일
3개월 전 생리 때 정서적 불안감을 느낌.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고 우는 등 감정 기복이 심함.
생리가 끝난 후 제 증상은 약화되었지만 정서적 우울 상태가 지속됨.
최근 두 번의 생리 기간에도 상기 증상이 나타남.
진단 시 증상이 비교적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함.
공격성 및 파괴성이 나타남.
설질舌質은 자암紫暗하고, 설태는 백니白膩하며 맥은 활滑함
•변증 : 담어조알심규痰瘀阻遏心竅
•치법 : 담을 제거하고 기를 순화시켜 심규를 통하게 함
•처방 : 창출12g, 복령18g, 석창포10g, 원지15g, 영지12g, 향부자18g. 3제, 수전복
【결과】 약 복용 후 심리적으로 안정됨.
환자 상태가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계속 탕약을 복용하고,
평상시에는 소요환逍遙丸을 복용하도록 지시함.
류 선생의 산후조리 약선방
류 선생은 임상경험을 통해 산모 보건 및 산후 질병예방에
산후 약선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산모는 출산 시 힘을 많이 쓰고,
대량의 출혈이 있기 때문에 원기가 손상되고 맥이 허해지고,
어혈이 자궁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산후에는 다허다어多虛多瘀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
때문에 기가 허한 것을 보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것이 산후병 치료의 관건이다.
류선생이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선방은 다음과 같다.
1. 산후조혈탕産後調血湯
【조성】 당귀10g, 황기30g, 천궁10g, 생강3g, 붕어 반근
【효과】 자궁 수축을 도우고 오로惡露를 배출함
【용법】 산후 1~3일내 복용, 붕어와 약재를 끓여 하루에 2~3회 복용함(조미료 배제)
【분석】 당귀, 천궁은 활혈행기活血行氣하고 생강은 온경통맥溫經通脈한다.
기는 혈血을 통솔하기 때문에 황기로써 기를 보충하여 혈을 다스린다.
《전남본초滇南本草》에 따르면
붕어는 “오장을 따뜻하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和五髒, 通血脈”한다.
산후조혈탕은 산후의 허虛를 보충하고 혈액을 조정하여
자궁 수축을 촉진하고 오로惡露를 배출하는 것을 돕는다.
2. 산후건비탕産後健脾湯
【조성】 의이인30g, 연미燕尾20g, 사인6g, 나미초근糯米草根 30g(洗淨),
소량의 살코기(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모두 가능), 쌀 30g
【적응증】 산후에 비위가 약해지거나 식욕이 저하된 산모
【용법】 쌀에 상기 약재와 적당량의 야채, 소금을 함께 넣어 죽을 끓인 후 복용함
(조성의 용량은 1회분)
【분석】 비위가 건강하면 식욕이 좋아지고 운화작용이 원활해져
후천지본이 튼실해지고, 기혈생화의 근원인 위가 건강해지면 장부기능이 개선된다.
본 약선방은 의이인, 연미를 사용하여 건비하고,
사인과 나미초근을 사용하여 양위養胃하며 살코기로 허를 보하는 효과가 있다.
3. 산후양음탕産後養陰湯
【조성】 明사삼30g, 하수오20g, 맥동20g, 백합20g, 오미자20g,
여정자20g, 소맥30g, 검실15g, 새끼 오리 한 마리
【적응증】 산후 또는 유산 후,
산후에 눈과 입이 건조하거나 변비가 있을 때 혹은 땀이 많이 나는 산모
【용법】 새끼오리를 고은 후 약재를 넣어 끓인다.
적당량의 설탕 또는 소금을 첨가해서 먹는다.
【분석】 산후에는 혈이 부족하고 음이 상했기 때문에
사삼, 맥동, 백합으로 양음하여 체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신장은 정을 저장하고 간은 혈을 주관한다.
정과 혈은 근원이 같고 호생互生한다.
하수오, 여정자를 사용하여 간과 신장을 보양한다.
오미자와 검실은 고삽하여 음액의 손실을 막는다.
《본초재신本草再新》에 “소맥은 양심養心, 익신益腎, 화혈和血, 건비健脾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용본초日用本草》에 따르면,
오리는 “오장의 음과 혈을 보양하고 양위養胃하여 체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본 약선방은 기본방제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4. 최내탕催奶湯
【조성】 당귀10g, 황기20g, 生화생(땅콩)50g, 통초2g, 돼지 족발 한 쌍
【적응증】 산후 유즙이 부족한 산모
【용법】 돼지 족발, 땅콩을 푹 고은 후 약을 넣어 다시 30분 고아서 먹는다.
【분석】 유즙은 혈에서 화化하고 기에 의해 운행된다.
산후 충임허손充任虛損으로 혈해血海가 휴허되어 유즙이 고갈된다.
그러므로 당귀를 사용하여 혈을 보補하고 황기로 기를 보한다.
《육천본초陸川本草》에 “땅콩은 모유 생성을 촉진한다.”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飲食譜》에
돼지 족발은 “혈맥과 모유를 충만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임상에서는 약간의 통초를 가미하여 유락乳絡을 통하게 한다.
'처방관련 자료 > 질환별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리진융(이진탕 운용) (0) | 2020.07.18 |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장다닝(만성신부전) (0) | 2020.07.14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류민루(1)(산부인과) (0) | 2020.07.03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류쭈이(뇌관련질환, 면역학) (0) | 2020.06.26 |
중의학 명의(국의대사) - 류상이(종양치료) (0) | 202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