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중국 전체 三七의 90%를 생산하는 文山

삼칠 재배강에서 막 캐어낸 삼칠 뿌리

 

중국 남부지방에서 주로 재배하는 삼칠(三七)은

학명이 Panax notoginseng으로 전칠(田七) 또는

삼삼칠(參三七) 등의 별명으로 부른다.

고려인삼이 중국 동북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데 비해

삼칠은 중국 남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삼칠은 중국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며

그 중에서 윈난(雲南)성의 원산(文山)이

주산지이자 원산지로 삼칠의 고향 격이다.

중국의 삼칠 생산량의 90% 이상을 이곳에서 재배한다.

삼칠은 윈난성의 주요 특산물이자 원

산지방의 중추적인 산업이기도 하다.

윈난성의 성도인 쿤밍(昆明)에서 동남쪽 오지로

5시간 가량 버스를 타고 가면 삼칠의 고향인

원산이 나온다.

중국에서 4~5시간의 버스여행은 다반사이지만

여행길에 나선 우리로서는 시설이 좋지 않은 버스나

중국 화장실에 익숙치 않아 힘든 여정이었다.

5년근 삼칠 뿌리

 

 

원산에 들어서자마자 도로 옆 곳곳에는

거대한 삼칠 재배장이 눈에 들어온다.

도중에 사고가 생기고 비포장 길이 연이어서

약속시간보다 훨씬 지체되었지만

원산시 약품감독관리국 과장을 비롯한 직원들이

삼칠을 안내해 주기 위해 우리 일행을 반갑게

맞아 주었다.

그들은 삼칠뿐만 아니라

석곡, 초과 재배지까지 안내해 주느라

퇴근시간을 훌쩍 넘긴 밤 9시까지 동행해주었다.

포장 안에는 거대한 물량의 삼칠이 줄지어 자라고 있었다.

출입하기가 힘든 삼칠 재배장 안으로 직원의 도움을 받으

며 들어가서 사진촬영을 한다.

포장은 4명의 젊은이들이 관리하고 있었다.

관리인에게 부탁하여 삼칠 하나를 뿌리 채 뽑고

삼칠 전체 모습을 렌즈 안에 확보하였다.

이곳을 방문한 기념으로 한약 답사단 일행은

삼칠 한 뿌리를 들고 포장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표본을 만들 요량으로 살아있는 삼칠 한 뿌리씩도

구입했다.

문산의 삼칠시장 건물에는

‘문산삼칠국제교역중심(文山三七國際交易中心)’이란

크고 붉은 현수막이 내 걸려 있다.

이곳 1층을 둘러보니 삼칠 꽃이 담긴 대형상자가

여기저기 쌓여 있다.

표본으로 제작한 삼칠

 

 

꽃을 따서 한 상자를 가득 채우려면 얼마나 많은 삼칠이

필요할까? 그저 규모에 놀라울 따름이다.

쌓아둔 것, 보이는 것 모두가 삼칠이다.

대부분은 가마니에 담아 두었는데 물량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필자는 삼칠 5년근 600g을 구입했다.

1년근보다 7배 정도 비싼 가격이지만

삼칠 본고장의 제품이라는데 의미를 두고 기꺼이 샀다.

삼칠 뿌리는 칼이 들어가지 못할 만큼 단단하다.

연 수가 오래된 것일수록 굵고 많은 뿌리가 붙어 있다.

삼칠은 중국 남부지방의 어느 한약시장에 가더라도

쉽게 만날 수 있는 대중적인 약재다.

필자가 찾았던 중국 남부지방인 쿤밍, 광저우(廣州)

그리고 홍콩의 한약시장은 어김없이 삼칠이 각 상점의

판매장 한가운데를 차지하고 있으니 유통규모가

얼마나 대단한지 그저 짐작할 뿐이다.

삼칠은 뿌리, 줄기, 잎, 꽃과 종자 모두가 약재로 쓰인다.

피로와 노쇠현상을 없애고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치료한다고 원산에서는 소개하고 있다.

글·사진 / 박종철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특이하지만 정말 효능이 뛰어난

약재 두가지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삼칠입니다.

 

삼칠근은 한방에서

지혈약(止血藥)으로

분류가 되어 있고

 

또한 옛 기록에

상처에서 피가 날 경우

신속하게 피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어

 

전쟁시에 필수상비약으로

사용되어왔지만

 

워낙에 귀해서

왕이나 귀족에게

사용하지 않았나 싶네요.

 

 

 

 

삼칠근의 삼칠의 유래는

가지의 분지가 3개로

각 분지마다 7개의 잎이 달린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실제 개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에서는

삼칠근이 혈액응고를 약간은 촉진시키지만

현저하게 혈액을 응고시키진 않는것으로

나와있고 더구나 간문맥을 막을경우에는

혈액응고작용이 전혀 없는것으로 보아

 

삼칠근의 혈액응고는

간장과 관련이 있는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삼칠근

협심증과 관상동맥질환에

사용되는데요.

 

개의 심장에

삼칠근 추출물을 넣으면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량은 증가하지만

반대로 심장근육이 소비하는

산소량은 적어집니다.

 

이것은

심장이 매우 효율적으로

기능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워낙에 고가인데다가

위변조품이 많아서

많이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삼칠근을 대신할수 있는 약초가

단삼입니다.

 

단삼은 말그대로

뿌리가 붉은빛을 띄기 때문에

단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최근 경북영양지역에서

천궁을 대체할 약초로

시험재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단삼은 어혈을 부수는 약으로

생리통이나 지혈

그리고 생리불순에 사용되지만

 

혈액응고를 지연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현저해서 심장질환에 사용할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약초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동의보감에서는 단삼을 활용한

처방에 거의 보이질 않는데요.

 

이는 아마도 그때 당시에

심장과 관련된 질환은 거의

없었거나 ..

 

아니면 다른 약초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관상동맥이나 심근경색

협심증의 경우

 

한방에 매치되는 언어는

[흉비(胸痞)]인데요.

 

이러한 흉비에는

하늘타리열매를 사용하는

처방이 있는데 이걸 많이 사용하지

않았나~~ 생각이 됩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서적은

[동의보감]과 [방약합편]인데

이 서적들에서 단삼이 활용되는

비율은 매우 적어서

 

지금도 활용을 많이 하지 않는것

같아 아쉽네요.~~

 

앞으로 시간이 가면 갈수록

심장관련질환의 증가세는

더욱 가파르게 올라갈거라 보여지는데

 

이럴때 이런 약초를 통해서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마황이나 부자처럼 부작용이

널리 알려진 한약재도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한약재도 있습니다.

오늘은 가나다순으로

한약재 이름을 정리해서

그 부작용을 전하고자 합니다.

 

 

1.견우자: 동물실험에서 중독용량이 30g이상이었습니다.

과량에서 설하신경마비로 언어장애를 유발했고,

혼미, 구토, 복통, 설사, 혈변, 혈뇨의 증상을 보였습니다.

2.결명자: 동물실험결과 8∼9일 지속 복용시

용량에 비례하여 체중과 식욕이 감소했습니다.

 

3.고삼: 동물실험결과 중추신경억제 호흡억제,

심박동정지 등의 부작용을 보였습니다.

 

4.과루인: 과량 복용했을 때 위가 더부룩하고,

오심 구토 복통 설사를 유발했습니다.

 

5.국화: 복통 설사를 일으키고,

극소수에게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발생되었습니다.

 

6.길경(도라지): 동물실험결과 과량에서 자발운동이 저하되고,

호흡억제 경련 호흡마비 사망으로 이어지는 결과가 있었습니다.

 

7.망초: 과량에서 유문경련 불쾌감을 유발했으며,

水腫환자와 임산부에게는 금해야할 약재입니다.

 

8.모려(굴껍질): 피부와 점막을 자극합니다.

 

9.박하: 사람에서 어지럼증과 눈이 뜨거워지는 증상과

오심, 구토, 수족마비 혈압강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0.백출: 흰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2개월 지속복용 후 가벼운 빈혈이 발생된 예가 있습니다.

 

11.삼릉: 흰쥐의 활동량을 감소시켜

누워서 움직이지 않았다는 관찰결과가 있습니다.

 

12.삼칠근: 중독증상은 활동량감소, 체온하강 외에

호흡이 얕고 빨라졌다가 다시 느려지며 청색증을 보이는 것입니다.

 

13.석창포: 흰쥐에서 고용량 투여시

호흡곤란과 간대성 경련을 일으켰습니다.

 

14.속단: 15g 투여 후 1시간 만에 전신소양감,

피부 발적, 두드러기 출현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15.승마: 위를 자극하여 구토와 위염을 야기합니다.

마의 고용량에서는 어지럼증, 두통, 떨림증세, 호흡곤란,

심장억제, 혈압강하, 호흡마비가 일어났습니다.

 

16.오공(지네):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과량 복용시

심박동이 느려지고 쇼크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17.육두구: 분말 7.5g복용에서 어지러움, 헛소리, 혼수가 초래됐으며,

대량에서 사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8.인삼: 200ml이상 대량 복용에서 소양감, 두통, 어지럼증,

체온의 상승 등의 급성 중독증상을 보입니다.

출처: 민족의학신문 한약독성칼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운귀고원(雲貴高原)의 서쪽으로 서북으로는 청장고원(靑藏高原)과 닿아 있다.

지세(地勢)는 서북(西北)에서 동남(東南)으로 계단처럼 경사가 져 있다.

서북부의 매리설산(梅里雪山)의

잡격박봉(卡格博峰. 카거보 봉)이 해발 6740m이고,

동남부의 하구현(河口县)은 해발 76.4m이다.

원강(元江)의 골짜기를 경계로 성을 양대(兩大)

지모유형구(地貌類型區)로 나누는데,

서부는 횡단산맥종곡구(橫斷山脈縱谷區),

동부는 전동고원구(滇东高原區)가 된다.

전체 성의 지모(地貌)유형은 복잡하다.

고원(高原)과 산지(山地), 파자(坝子. 산간분지)와

하곡(河谷)이 서로 교차해 분포하고 있다.

산지가 전체 성면적의 84%를 차지하고 고원이 10%,

파자(垻子)와 하곡(河谷)이 6%를 차지하고 있다.

본 성은 위도가 낮고 해발이 높은 지역으로

일광이 풍부하고 사계절의 온도 차가 적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계절풍 영향을 받아 강수량이 풍부하고

건습의 구분이 분명하다 입체기후 차이가 분명하여

ʻ일산분사계(一山分四季. 하나의 산에 사계가 분별되고)

십리부동천(十里不同天. 십리를 가면 하늘이 같지 않다.)ˮ 라는 설이 있었다.

연평균 기온은 5~24℃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7~22℃,

가장 더운 7월의 기온이 16~26℃이고, 연간일조시간은 2100~2300시간,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 686~8710℃, 무상기(無霜期)는 200~360일이다.

연강수량은 500~2250㎜이고 대개 5~10월에 집중되어 있다.

토양유형은 16종으로 주로 홍양(紅壤)과 황양(黃壤)이다.

식생은 열대우림(熱帶雨林), 열대계우림(熱帶季雨林),

아열대계절풍상록활엽림(亞熱帶季節風常綠闊葉林),

아열대침엽활엽혼교림(亞熱帶針葉闊葉混交林),

상록침엽활엽혼교림(常綠針葉闊葉混交林),

고산아고산침엽림(高山亞高山針葉林),

고산관총(高山灌叢), 초전(草甸)이다.

 

[운남성 지역구분]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가 114여종이다.

그 중 전통 품종이 30여종, 인종(引種)한 것이 47종, 야생의 변종이 37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이 7.6만무(亩), 연간 생산량이 200만kg이다.

수매약재는 400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000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삼칠(三七) : 주산지는 문산(文山) 주이고, 홍하(紅河), 옥계(玉溪), 곡정(曲靖),

대리(大理), 초웅(楚雄), 곤명(昆明) 등지의 지역과 주(州), 시(市)에서도 재배된다.

역사도 길고 품질도 뛰어나 국내외로 명성이 높다.

본성의 생산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인(砂仁) : 주산지는 경홍(서쌍판납)이다. 문산(文山), 홍하(紅河),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된다.

전국의 60% 정도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귀(当归) : 주산지는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난평(蘭坪),

유서(維西), 학경(鶴慶), 검천(劍川) 등의 현(县)이다.

상품명은 운귀(雲归)라고 하는데,

크고 단단하며 향이 짙고 기름진 것으로 유명하다.

대개 수출되고 있다.

 

운목향(雲木香) : 명산지약재다.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보산(保山),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가 주산지이다.

초웅(楚雄), 곡정(曲靖),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그 줄기가 균일하고 견고하며 묵직하다.

기름지고 향이 좋으며 속이 비어 있지 않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1,2 위를 차지한다.

 

황련(黃連) : 주로 노강주(怒江州)및 등충현(騰冲县)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유서(維西),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지에서도 소량 재배하고 있다.

단단하고 색이 노랗고 쓰며 안에 국화심(菊花心) 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령(茯苓) : ʻ운령(雲苓)ˮ이라고도 한다.

야생은 여강(麗江), 유서(維西), 중전(中甸), 복공(福貢), 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충(騰冲), 녹권(祿勸), 무정(武定), 부민(富民),

선위(宣威)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고,

재배종은 주로 초웅(楚雄), 곤명(昆明), 곡정(曲靖)지역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유서(維西), 여강(麗江)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무게가 나가고 단단하며 크다.

둥글고 매끈하며 갈라져 있지 않고 단절면이 백색이고

매끄러워 전국에 공급되고 수출도 되고 있다.

 

천마(天麻) : 이량(彝良), 진웅(鎭雄), 대관(大關), 위신(威信), 영선(永善),

여강(麗江), 유서(維西), 운룡(雲龍), 복공(福貢), 공산(貢山)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상품이 크고 견실하며 색이 황백색으로 밝게 윤기가 나 ʻ명천마(明天麻)ˮ 라고 한다.

 

석곡(石斛) : 문산(文山),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홍하(紅河), 임창(臨滄),

곡정(曲靖) 등지가 주산지로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50% 정도를 차지,

1위를 점유하고 있다.

 

가자(訶子) : 보산(保山),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가 주산지이다.

상품은 단단하고 묵직하며 육질이 두툼하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80%를 차지한다.

 

반하(半夏) : 야생자원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주로 소통(昭通), 곡정(曲靖), 곤명(昆明), 문산(文山)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은 구슬처럼 동글동글하고 단단하며

전분의 가루성분이 풍부하고 치밀하며 맛이 신랄(辛辣)하다.

 

진교(秦艽) :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노강(怒江) 등에 분포하고 있다.

뿌리가 굵고 길며 육질이 두텁고 단단하며 색은 황색으로 품질이 우수하다.

 

저령(猪苓) : 여강(麗江), 유서(維西), 영랑(寧蒗), 이원(洱源), 검천(劍川),

운룡(雲龍), 난평(蘭坪), 공산(貢山), 진웅(鎭雄) 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다.

크고 단단하며 껍질은 검은색이고 안의 살은 흰색이다.

필발(蓽菝) : 영강(盈江), 서려(瑞麗), 로서(潞西), 양하(梁河) 등의 현(县)과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임창(臨滄),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의 과혜(果橞)는 비대하고 단단하며 꽉 차있다.

흑갈색으로 단면은 약간 붉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향(麝香) : 적경(迪慶), 여강(麗江), 노강(怒江), 소통(昭通), 초웅(楚雄),

보산(保山), 곡정(曲靖),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동충하초(冬蟲夏草) :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공산(貢山) 등에 분포한다.

상품은 건조하고 풍만하고 살찌고 단면은 흰색이고

균좌(菌座)가 작고 짧으며 검은색의 두꺼운 껍질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수오(何首烏) : 옥계(玉溪), 홍하(紅河), 문산(文山), 초웅(楚雄), 곤명(昆明),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시에 분포하고 있다.

크기가 크고 단단하며 전분가루 성분이 확실하다.

표피는 흑갈색이고 안의 색깔은 황백색이거나 홍종색(紅棕色)이다.

운타문(雲朶紋)이 있다.

 

용담(龍膽) : 보산(保山), 문산(文山), 초웅(楚雄), 소통(昭通), 곡정(曲靖),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에 분포하고

굵고 살지며 색은 노랗고 윤기가 난다.맛이 아주 쓰다.

 

운남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아차(兒茶), 호황련(胡黃連), 천산갑(穿山甲), 초과(草果)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이 지역은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쪽이

분지(盆地)의 형태를 띠고 있어 '광서분지(廣西盆地)ˮ라고 부른다.

 

지세는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해발 800m 이상 되는 중산(中山) 지대가 전체 면적의 34.8%를 차지하고

해발 500~800m사이의 저산(低山) 지대가18.3% :

해발 250~500m의 산구릉이 10.8% : 해발 250m이하의 구릉이 10.9% :

대지[계지(階地)포함]가 8% : 평원(분지 포함)이 14.4% :

하천과 저수지 등이 2.8%를 점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저위도 지역으로 북회귀선이

중남부(中南部)를 관통하고 있어 아열대계절풍기후에 속한다.
기온이 높고 태양 열량과 강우량이 풍부하다.

여름은 습하고 겨울은 건조한 것이 건습의 계절구분이 명확하다

연평균기온은 17~22℃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10~14℃,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일반적으로 28℃ 이상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600~1800시간이고

대부분 지역의 무상기(無霜期)는 300일 이상이나

계북(桂北) 지역은 300일이 못되고,

남부 연해지역은 일 년 내내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

연강수량 1250~1750 ㎜로 남북부가 많고 중서부가 적다.

4~9월에 집중되어 내리고 이때의 강수량이 연간 강수량의 80%를 차지한다.

토양은 홍양(紅壤)과 전홍양(磚紅壤) 위주이고

그 다음이 황양(黃壤)과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석회토(石灰土),

빈해염토(濱海鹽土),수도토(水稻土)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생은 북부는 아열대, 중아열대상록활엽림이고,

중부는 상록활엽림과 상록낙엽활엽혼교림,남부는 계우림(季雨林)이다.

 

[광서장족 자치구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약용식물이 4035종, 약용동물이 505종,

광물약이 50종으로 총 4590종의 약재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양식하고 있는 약재가80종으로 그중 전통적 재배약재는 7종,

야생을 재배한 것은 28종,이 지역 밖에서 인종(引種) 해 온 것이 25종,

남약(南藥)을 인종(引種)한 것이 10여종, 동물 약재가10종이다.

연간 재배 면적은 6.4만 무(亩)이고 연간생산량은 750만kg이며,

수매약재는 500여종으로 총 수매량은 1600kg이다.

 
주산품종
합개(蛤蚧) : 이 지역의 명산품이다. 주로 남녕(南寧), 백색(百色), 하지(河池) 등의 지역에서 난다.

이곳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80%이상을 차지한다.
 
 
육계(肉桂) : 방성(防城), 평남(平南), 계평(桂平), 잠계(岑溪), 창오(蒼梧) 등의 현과 시에서 재배하고있다.

방성(防城), 평남(平南) 현에서 생산된 것이 가장 유명하다. 

껍질이 얇고 채피(彩皮색이 있는 껍질)를 가지고 있으며 정유성분이 풍부하고,맛이 달며 맵다.

씹으면 약간 깨지는 성질 등으로 유명하다.이 지역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1위이다.

 
산약(山藥) : 옥림(玉林), 계평(桂平), 평남(平南), 육천(陸川), 박백(博白), 포북(浦北),

영산(靈山)등의 현과 시가 주산지이다.연간 수매량이 전국의1위이며 전국에 공급되고 수출한다.

 
삼칠(三七) : 정서(靖西), 덕보(德保), 나파(那坡), 천등(天等), 전양(田阳), 능운(凌云),

귀현(貴县)등의 현(县)과 시가 주산지이다. 전국 제2의 생산지이다.

 
괄루근(天花粉) : 평남(平南), 금수(金秀), 몽산(蒙山)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살지고 속이 꽉 차 있으며 희고 전분가루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외로 판매되고있다.

 
갈근(葛根) : ʻ분갈(粉葛)ˮ 이라고도 한다. 

평남(平南)과 횡현(橫县), 영산(靈山), 계평(桂平),포북(浦北)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괴근(塊根)이 살지고 크며 단단하고 색이 희다.

전분가루 성분이 풍부하고 섬유질 성분이 적은 것이 특색이다.

다른 지역과 국외로 판매되고 있다.
 
조구등(鉤鉤藤)이 지역이 명산지이다. 

흥안(興安), 전주(全州), 용승(龍勝), 자원(資源), 영복(永福)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양쪽의 갈고리 모양이 닻 모양으로 줄기가 갈고리 부분이 단단하며 매끈하고 붉은 색을 띈다.

국내외로 명성이 높다.

 
울금(鬱金) : 횡현(橫县), 옹녕(邕寧), 흠주(欽州), 상사(上思), 계평(桂平) 등의 현과 시가 주산지이다. 

건조가 잘된 통째모양으로 살지고 건실한 것이 좋다.

직경은 0.8cm이상으로 표피는 회백색으로 잔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팔각회향(八角茴香) : 방성(防城), 용주(龍州), 영명(寧明), 빙상(凭祥),

능운(凌云), 백색(百色) 등의 현과 시가 주산지이다. 

상품은 한송이 한송이로 곁가지가 없고 검은 점이 없으며

건조가 잘 되어 있으면서 색이 붉고 통통하며 향이 좋다.

약용 외에 대부분 조미용으로 사용된다.

 
석곡(石斛) : 주로 융림(隆林), 서림(西林), 능운(凌云), 천아(天峨),

남단(南丹), 봉산(鳳山) 등의현(县)이 주산지이다. 

이 지역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광서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광방기(廣防己),광두근(廣豆根),지풍피(地楓皮),계원육(桂園肉),

청천규(靑天葵), 금은화(金銀花), 천년건(千年健), 계혈등(鷄血藤), 나한과(羅漢果),

진주(珍珠), 천산갑(穿山甲), 목호접(木蝴蝶), 수반하(水半夏),초과(草果)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