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목향]
[목향]
 
 

 

목향이란?

목향(木香)

Aucklandia lappa Decaisne(국화과)의 뿌리로서

거친 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과거에 중국은 목향을 인도등지에서 수입하여

광동성의 광주(廣州)에서 주로 거래됐었기 때문에

수입품을 광목향(廣木香)이라 부르기도 했다.

지금은 중국의 운남성 여강(麗江) 등지에서

재배에 성공하여 약재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운목향(雲木香)이라 부르는데 모두 정품이다.

광목향은 그 형태에 따라

노목향(老木香)과 신목향(新木香)으로 나눈바 있지만

지금은 운목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맛은 맵고(辛), 쓰며(苦), 성질은 따뜻하다.(溫)

특유의 향이 있음.

작용장부는 폐,간,비,위(肺, 肝, 脾, 胃)이다.

목향 약리작용

1. alkaloid 성분은 기관지와 소장의 경련을 풀어준다.

2. 혈압강하작용을 타나낸다.

3. 항균작용이 있어서 장티프스균, 이질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한다.

목향 효능과 배합예

이기지통(理氣止痛)

1. 목향은 강한 향기가 있고

휘발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이기효과(理氣效果)가 진피보다 좋으며

8g을 쓰면 이지지통(理氣止痛)작용이 일어난다.

주로 소화기의 만성염증과 통증에 사용된다.

또 목향에는 약간의 항균작용도 있으며

소화기의 처방에는 목향을 배합하거나

군약(君藥)으로 하는 것이 대단히 많다.

2. 위통(胃痛)이 있고 기체(氣滯)가 있어

통증이 극심할 경우에는 목향을 쓰는 것이 가장 좋다.

목향은 지통소창(止痛消脹)의 효능이 있으므로

사인, 후박, 현호색과 같이 쓰면 지통작용 더욱 강해진다.

단, 급성위경련의 통증에 쓸 때는

용량이 과다해서는 안되고 3~4g 정도로 한다.

장시간 달이면 휘발성분이 사라져 효과가 줄어든다.

통증이 심하지 않을 때는 2~3g 정도만 써도 된다.

3. 위. 십이지장궤양이나 위하수와 위궤양으로

소화능력이 감퇴하고 통증이 올 때는

황기, 부자, 건강, 백출 등을 넣어 쓰면 도움이 된다.

4. 목향은 담낭염, 담석을 녹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황금, 오매, 지각, 세신, 현호색 등을 넣어

해경지통(解痙止痛)하는 데 쓰면 아주 좋다.

결석에 의한 통증에는 금전초, 대황과 같이 쓰면

지통작용(止痛作用)이 훨씬 좋아진다.

5. 목향은 간장부위의 돌발성 통증에도 사용된다.

이 때는 증상에 따라 3~8g 을 쓴다.

오랫동안 통증이 계속되고 간장에 가벼운 부종이 보일 때도

목향을 쓰면 지통소종(止痛消腫)의 효과가 있다.

간경복의 복수증상에도 사용하면 좋다.

6. 목향의 장내 가스를 제거하는 작용은 후박과 비슷하다.

목향은 장의 연동을 촉진하고 가스 배출력을 증가하므로

장에 가스가 정체될 때는 어느 경우나 쓰면 좋다.

진피와 같이 써도 좋으며 차와 같이 복용해도 좋다.

만약 장염이나 이질 후에 장에 가스가 찰 때는

백단향, 지각과 같이 쓰면 좋다.

7. 목향에는 소적조식(消積助食)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이나 위확장의 치료에 쓴다.

폭음폭식으로 배가 더부룩하고

토하려고 해도 나오지 않을 때는 신곡과 같이 쓰면 좋다.

소아가 모유를 소화하지 못해

냄새가 나는 물을 토할 때는

산사, 맥아와 같이 달여 복용하면 좋다.

소아감적(小兒疳積)으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고 대변이 무르면 목향에

백출, 복령, 백편두 등을 넣어 쓰면 좋다.

8. 목향은 보약의 보조적 성격으로 쓰면

보약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위의 부담을 제거한다.

9. 목향은 간담(肝膽)의 습열(濕熱)로 인한

가슴답답, 입안이 쓰고, 설태가 노란경우에

인진, 금전초, 대황 등을 같이 쓰며,

최근에는 담교통(膽絞痛)에 많이 쓴다.

지사지리(止瀉止痢)

1. 목향에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특히

대장균이나 이질균에 대한 효력이 크기 때문에

이질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약이며

급, 만성 설사 모두 적합하다.

격렬한 설사는 물론 만성설사에도

목향을 쓰면 좋은 효과가 얻어진다.

급성설사에는

황련, 황금, 백두옹, 갈근, 후박, 창출을 넣어 쓰고,

만성설사에는

당삼, 백출, 산약, 백편두, 부자, 보골지, 오수유 등과 같이 쓴다.

과민성 장염에는

백작약, 방풍, 오매 넣어 쓴다.

2. 습열(濕熱)이나 대장기체(大腸氣滯)로

복통, 이급후중(裏急後重)을 보이면

황련을 같이 쓰거나(일명 향련환[香連丸]),

지각, 빈랑 등과 같이 쓰면 좋다.

향련환은 이질초기에 쓰는 주요처방이다.

목향 사용량

1.5~9g

목향 사용시 참고사항

탕제에 넣으면 방향성이 휘발하여

약효가 떨어지므로 나중에 넣거나

환이나 가루로 쓰는 것이 더욱 좋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운목향 雲木香과 토목향 土木香의

효능면 구분 사용이‘바람직’

목향 木香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종류는

목향 木香(운목향 雲木香, 당목향 唐木香)·

천목향 川木香· 토목향 土木香· 청목향 靑木香 4종으로

모두 이기약 理氣藥에 속하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그리고 최근에 들어

청목향 靑木香의 경우 독성문제로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논란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한약재이기도 하다.

모두 약용 부위가 뿌리인 관계로

가을에 채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건조한다.

1.목향류 木香類의 기원

4종 목향 木香은

국가에 따라 기원식물을 약간 달리하고 있다.

목향 木香(운목향 雲木香, 당목향 唐木香)은

공통적(KHP, CP, JP, THP)으로 Aucklandia lappa로,

천목향 川木香은 CP에서 Vladimiria souliei 또는

회모천목향 灰毛川木香 V. souliei var. cinerea로,

토목향 土木香은 KHP, CP, DKP에서 Inula helenium으로,

독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청목향 靑木香 Aristolochia contorta은

DKP에서 토청목향 土靑木香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

사실 목향 木香의 이명 異名으로

청목향 靑木香, 토목향 土木香의 이명 異名에

목향 木香, 청목향 靑木香의 이명 異名에

토목향 土木香이 있는 등 명칭 혼란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기타로 CP에서 장목향 藏木香이라는 이름으로

총상토목향 總狀土木香 Inula racemoesa이 등재되어 있다.

산출지역을 보면, 木香(雲木香, 唐木香)은

중국의 西南(雲南, 四川), 華南(廣西, 廣東)지역 에서 산출되며,

川木香은 중국의 西南(四川), 西藏지역에서 산출되고,

土木香과 靑木香은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산출된다.

목향류 木香類 모두 크고 質이 단단하며

향기가 강한 것을 상품 上品으로 하며,

木香(雲木香, 唐木香)의 경우에는

유성 油性이 많은 것이 좋다.

2.약효상의 차이

이를종합하여세분하면,

①현재 독성 毒性 및 부작용으로 유통금지되어 있는

청목향 靑木香의 경우(aristolochic acid 성분을 함유하며,

이것이신장암을유발),우리나라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이라는 점에서 민간요법 수준에서라도

절대 사용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②한국의 약재시장에서 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목향 木香(雲木香, 唐木香)은 상초 上焦〜 중초 中焦

행기약 行氣藥의 효능으로(예 : 星香正氣散 등),

토목향 土木香은 중초행기약 中焦行氣藥(예 : 加味平胃散 등)의

효능으로 구분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③중국약전에 등재되어 있고

중국시장에서 유통되어지고 있는

천목향 川木香의경우,

청목향 靑木香의 귀경 歸經과 효능 效能이

유사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중초 中焦〜 하초 下焦 행기약 行氣藥(예 : 木香檳 丸)으로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독성문제를 안고있는 청목향 靑木香의

대안약물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최근 항산화효능에서 천목향 川木香의 효력이

기타 목향류 木香類에 비해 탁월하다는 연구결과

(13년도 우석대 한의대석사논문-이승호)에 근거하여

이러한 부분에서의 적극적인 활용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목향, 운목향]

 

 

1)목향 木香( 운목향 雲木香, 당목향唐木香)

자르기 전 모습은

마른뼈모양( 魚筒-오래된것일수록심하다)이 특징적이며,

표면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그물모양의 뚜렷한 주름이 있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의 형성층환 環이 명확하며

갈색으로 방사상의 무늬와 황갈색 점상 點狀의

유실 油室(주사점 朱砂點)이 흩어져있다.

씹어보면 다른목향과는 달리 씹어도 입에 붙지않는 특징이 있다.

[토목향]

 

 

2)토목향 土木香

자르기 전 모습은 표면이 황갈색,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횡생 橫生하는 피공 皮孔이 보인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약간 평탄하며

피부皮部는 회갈색이고 목부 木部는 회백색으로

뚜렷이 구분되는데, 종색 棕色의 유점油點이 가끔 보인다.

[천목향]

 

 

3)천목향 川木香

자르기 전의 모습은 머리 부위에는

유두 油頭(糊頭)라고 부르는 검은 색이면서

끈끈한 아교모양의 물질이 특징적이며,

바깥 부분이 탈락한 곳에는 수세미모양의 가는

근맥 根脈을 볼 수 있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황백색〜황색이며

어두운 황색의 유점 油點이 드문드문 있고 찢어진 틈새가 보이며,

환상의 형성층은 목부가 넓고 방사상의 무늬가 있으며

중심이 말라썩어있는 경우도 있다.

씹어보면 이에 달라붙는다.

[청목향]

 

4)청목향 靑木香

자르기 전의 모습은 뿌리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며

표면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엉성하고 세로주름과

수근 鬚根의 흔적이 있으며, 질質은 약하여 쉽게 절단된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평탄하지 않고,

형성층의 환 環은 뚜렷하며 황갈색인데,

피부 皮部는 엷은 황색이며 목부 木部는 넓고

황갈색 혹은 백색으로된 사선射線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목향이란 약재는 좀 생소하실 수 있는데요.

의외로 사용빈도가 높은편에 속합니다.

소화기계통에는 반드시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특히나 향이 좋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이 향은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수도 있겠네요.

 

성질이 따뜻해서

배가 차서 생기는 복통, 구토, 설사에 사용합니다.

 

국내에서 일부 목향이 채취되어

토목향이라는 이름으로 유통이 되긴 하지만,

굳이 국산을 고집할 이유는 없습니다.

  

 

 

 

중국에서 목향의 주 생산지는 운남성입니다.

워낙에 유명하기 때문에 운목향이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로 중국에서 수매량이

1,2위를 다툽니다.

 

그래서 목향은 대부분 중국산을 사용합니다.

미얀마나 인도 일부에서 자생한다고도 알려져있지만

운남성만큼 유명하지 않기에 패쓰~-_-;;

 

특히 시중에서 청목향이라는 약초이름을

들으실 수 있으실텐데요.

 

청목향은 독성이 있어

현재 유통이 금지된 약재이니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좋은 목향은 정유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향이 강하고 속이 꽉차서 튼실하게 좋습니다.

 

 

 

 

목향은 식품으로 사용불가한 약재입니다.

 

혹시나 공진단을 만들고자 하신다면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침향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p.s: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침향이나 사향은  진위논란이 있어서

목향을 사용하는게 낫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식품으로 사용불가하니..

이걸 풀어줬으면 좋겠는데

목향이 가진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에

식품사용으로는 힘들것 같네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광목향(廣木香)·운목향(雲木香)은 동일,

천목향(川木香)·토목향(土木香)과는 구분해야

짙은 향과 질이 단단한 것이 양품

木香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木香(Aucklandia lappa Decne.)의 뿌리이다.

廣州를 통해 수입돼 들어와 廣木香으로 불렀다.

원래는 인도산이나 그 후 운남에서 재배하여 ‘雲木香’이라고도 부른다.

현 주산지는 雲南, 四川, 湖南, 湖北 등이다.

雲木香의 주요 특징은 뿌리가 원형이고

황갈색에서 회갈색이며 그물모양의 세로 주름이 있다.

무겁고 단면에 유점(油點)이 산재해 있으며 띠 모양의 층을 볼 수 있다.

짙고 독특한 향을 가졌고 황백색이며 질이 단단한 것이 양품이다.

맛은 쓰고 매우며 다른 목향과는 달리 씹어도 입에 붙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 외의 木香에는 川木香, 土木香, 靑木香 등이 있다.

川木香은 뿌리가 긴 원주형이며 약간 굽어있고

껍질을 제거하면 그물문양이 나타나며

뿌리의 맨 윗부분은 대부분 끈적끈적하며 검은색이다.

斷面에는 방사상의 무늬와 형성층이 있다.

유사품인 월준목향(越雋木香, 木里木香, 越西木香)은 川木香과 같은 속(屬)에 있고,

모양은 비슷하나 뿌리 가장 윗부분에 검은색이 없다.

기목향(祁木香)은 뿌리가 원주형 혹은 원추형을 띄며

약간 굽었거나 뒤틀렸고 뿌리 맨 윗부분은 팽대해 있으며 향기가 있고 맛은 쓰다.

옛날에 木香은 자주 靑木香과 혼동됐다.

梁나라때 陶弘景이 “지금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하며”라고 말했고,

宋나라의 蘇頌 역시 “지금은 오직 廣州에서 배를 통해 들어오며 다른 곳에서는 나지 않는다.

뿌리는 가지와 비슷하며, 그 모양이 마른 뼈 같으며 맛이 쓰고 이에 붙는 것이 좋다”고 말해

형상적으로 운목향의 특징을 서술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이래로 많은 의가들이 수입한

廣木香을 숭상하였으며 근대에 약용하는 목향과도 부합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일부에서는 아무런 근거도 없이

끈적끈적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만연돼 있어

먼지 같은 것이 많이 붙어 있어도 무시하는 잘못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계속>

정종길(동신대 한의대 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운귀고원(雲貴高原)의 서쪽으로 서북으로는 청장고원(靑藏高原)과 닿아 있다.

지세(地勢)는 서북(西北)에서 동남(東南)으로 계단처럼 경사가 져 있다.

서북부의 매리설산(梅里雪山)의

잡격박봉(卡格博峰. 카거보 봉)이 해발 6740m이고,

동남부의 하구현(河口县)은 해발 76.4m이다.

원강(元江)의 골짜기를 경계로 성을 양대(兩大)

지모유형구(地貌類型區)로 나누는데,

서부는 횡단산맥종곡구(橫斷山脈縱谷區),

동부는 전동고원구(滇东高原區)가 된다.

전체 성의 지모(地貌)유형은 복잡하다.

고원(高原)과 산지(山地), 파자(坝子. 산간분지)와

하곡(河谷)이 서로 교차해 분포하고 있다.

산지가 전체 성면적의 84%를 차지하고 고원이 10%,

파자(垻子)와 하곡(河谷)이 6%를 차지하고 있다.

본 성은 위도가 낮고 해발이 높은 지역으로

일광이 풍부하고 사계절의 온도 차가 적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계절풍 영향을 받아 강수량이 풍부하고

건습의 구분이 분명하다 입체기후 차이가 분명하여

ʻ일산분사계(一山分四季. 하나의 산에 사계가 분별되고)

십리부동천(十里不同天. 십리를 가면 하늘이 같지 않다.)ˮ 라는 설이 있었다.

연평균 기온은 5~24℃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7~22℃,

가장 더운 7월의 기온이 16~26℃이고, 연간일조시간은 2100~2300시간,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 686~8710℃, 무상기(無霜期)는 200~360일이다.

연강수량은 500~2250㎜이고 대개 5~10월에 집중되어 있다.

토양유형은 16종으로 주로 홍양(紅壤)과 황양(黃壤)이다.

식생은 열대우림(熱帶雨林), 열대계우림(熱帶季雨林),

아열대계절풍상록활엽림(亞熱帶季節風常綠闊葉林),

아열대침엽활엽혼교림(亞熱帶針葉闊葉混交林),

상록침엽활엽혼교림(常綠針葉闊葉混交林),

고산아고산침엽림(高山亞高山針葉林),

고산관총(高山灌叢), 초전(草甸)이다.

 

[운남성 지역구분]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가 114여종이다.

그 중 전통 품종이 30여종, 인종(引種)한 것이 47종, 야생의 변종이 37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이 7.6만무(亩), 연간 생산량이 200만kg이다.

수매약재는 400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000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삼칠(三七) : 주산지는 문산(文山) 주이고, 홍하(紅河), 옥계(玉溪), 곡정(曲靖),

대리(大理), 초웅(楚雄), 곤명(昆明) 등지의 지역과 주(州), 시(市)에서도 재배된다.

역사도 길고 품질도 뛰어나 국내외로 명성이 높다.

본성의 생산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인(砂仁) : 주산지는 경홍(서쌍판납)이다. 문산(文山), 홍하(紅河),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된다.

전국의 60% 정도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귀(当归) : 주산지는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난평(蘭坪),

유서(維西), 학경(鶴慶), 검천(劍川) 등의 현(县)이다.

상품명은 운귀(雲归)라고 하는데,

크고 단단하며 향이 짙고 기름진 것으로 유명하다.

대개 수출되고 있다.

 

운목향(雲木香) : 명산지약재다.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보산(保山),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가 주산지이다.

초웅(楚雄), 곡정(曲靖),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그 줄기가 균일하고 견고하며 묵직하다.

기름지고 향이 좋으며 속이 비어 있지 않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1,2 위를 차지한다.

 

황련(黃連) : 주로 노강주(怒江州)및 등충현(騰冲县)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유서(維西),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지에서도 소량 재배하고 있다.

단단하고 색이 노랗고 쓰며 안에 국화심(菊花心) 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령(茯苓) : ʻ운령(雲苓)ˮ이라고도 한다.

야생은 여강(麗江), 유서(維西), 중전(中甸), 복공(福貢), 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충(騰冲), 녹권(祿勸), 무정(武定), 부민(富民),

선위(宣威)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고,

재배종은 주로 초웅(楚雄), 곤명(昆明), 곡정(曲靖)지역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유서(維西), 여강(麗江)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무게가 나가고 단단하며 크다.

둥글고 매끈하며 갈라져 있지 않고 단절면이 백색이고

매끄러워 전국에 공급되고 수출도 되고 있다.

 

천마(天麻) : 이량(彝良), 진웅(鎭雄), 대관(大關), 위신(威信), 영선(永善),

여강(麗江), 유서(維西), 운룡(雲龍), 복공(福貢), 공산(貢山)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상품이 크고 견실하며 색이 황백색으로 밝게 윤기가 나 ʻ명천마(明天麻)ˮ 라고 한다.

 

석곡(石斛) : 문산(文山),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홍하(紅河), 임창(臨滄),

곡정(曲靖) 등지가 주산지로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50% 정도를 차지,

1위를 점유하고 있다.

 

가자(訶子) : 보산(保山),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가 주산지이다.

상품은 단단하고 묵직하며 육질이 두툼하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80%를 차지한다.

 

반하(半夏) : 야생자원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주로 소통(昭通), 곡정(曲靖), 곤명(昆明), 문산(文山)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은 구슬처럼 동글동글하고 단단하며

전분의 가루성분이 풍부하고 치밀하며 맛이 신랄(辛辣)하다.

 

진교(秦艽) :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노강(怒江) 등에 분포하고 있다.

뿌리가 굵고 길며 육질이 두텁고 단단하며 색은 황색으로 품질이 우수하다.

 

저령(猪苓) : 여강(麗江), 유서(維西), 영랑(寧蒗), 이원(洱源), 검천(劍川),

운룡(雲龍), 난평(蘭坪), 공산(貢山), 진웅(鎭雄) 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다.

크고 단단하며 껍질은 검은색이고 안의 살은 흰색이다.

필발(蓽菝) : 영강(盈江), 서려(瑞麗), 로서(潞西), 양하(梁河) 등의 현(县)과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임창(臨滄),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의 과혜(果橞)는 비대하고 단단하며 꽉 차있다.

흑갈색으로 단면은 약간 붉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향(麝香) : 적경(迪慶), 여강(麗江), 노강(怒江), 소통(昭通), 초웅(楚雄),

보산(保山), 곡정(曲靖),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동충하초(冬蟲夏草) :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공산(貢山) 등에 분포한다.

상품은 건조하고 풍만하고 살찌고 단면은 흰색이고

균좌(菌座)가 작고 짧으며 검은색의 두꺼운 껍질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수오(何首烏) : 옥계(玉溪), 홍하(紅河), 문산(文山), 초웅(楚雄), 곤명(昆明),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시에 분포하고 있다.

크기가 크고 단단하며 전분가루 성분이 확실하다.

표피는 흑갈색이고 안의 색깔은 황백색이거나 홍종색(紅棕色)이다.

운타문(雲朶紋)이 있다.

 

용담(龍膽) : 보산(保山), 문산(文山), 초웅(楚雄), 소통(昭通), 곡정(曲靖),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에 분포하고

굵고 살지며 색은 노랗고 윤기가 난다.맛이 아주 쓰다.

 

운남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아차(兒茶), 호황련(胡黃連), 천산갑(穿山甲), 초과(草果)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운목향

 

 

 

오늘은 목향의 효능과

실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시간에 목향은 소화기계통에 사용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신경성 소화불량입니다.

 

신경성이라는 의미는

감정과 관련이 있다는 뜻으로

감정기복에 따라 소화도 영향을 받게됩니다.

 

 

목향이 가지고 있는 알칼로이드성분은

소장의 경직와 경련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부분을 옛분들은

행기지통(行氣止痛)이라고

표현을 하신듯 합니다.

 

즉, 기를 잘 운행시켜 통증을 그치게 해준다는 것이죠.

 

 

 

 

목향 약재 절편

 

기를 운행시킨다는 건

소장의 근육이 경직되어 연동운동이 안되거나

심한경우 소장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통증까지

함께 포함하여 위와 같은 효능을 말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한방에서 가장 비싸다고 여겨지는

공진단이라는  처방에는

원래 사향이라는 약재가 들어가지만

 

워낙에 고가인데다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는

목향을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적혀있습니다.

 

 

이 또한 소화흡수에 더 중점을 두고

기록을 한게 아닌가 생각이 되네요.

 

목향은 성질이 따뜻하기때문에

주로 복부의 온도가 떨어져 생기는

소화불량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성

소화불량에도 도움이 되지요.

 

이는 스트레스나 신경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몸의 교감신경이 흥분하여

혈액이 안보다는 위쪽~

즉, 머리와 가슴쪽으로 많이 몰리게 되는데

 

이럴 때 혈액이 소장에 제때 공급되지 못해

소화흡수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목향은 무엇보다도

소화흡수를 먼저 생각하시고

응용을 해보시면 어떨까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목향의 종류

 

 

 

한방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초

목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향은 기본적으로

소화기계통에 사용되는

약재로

목향이라는 식물의

뿌리를 약용부위로 사용합니다.

 

 

종류가 대략 세가지 입니다.

이들의 특징과

꼭 알아두셔야 하는 내용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운목향

 

 

운목향이라 불리는 식물로

주로 중국산 목향을 지칭합니다.

 

중국산 목향에 운목향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목향의 생산지

-중국에서는 도지라고 부릅니다-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

바로 중국의 운남성이기 때문입니다.

 

이 곳에서 생산되는 목향이

가장 품질이 좋고 생산양 또한

많아 우리나라의 특산물 개념처럼

 

중국에서는 목향 하면

'운목향'을 떠올립니다.

 

 

유통되는 운목향 약재

 

 

 

이게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운목향입니다.

 

절단면의 띠가 보이시나요?

사진을 보시면

묵은 뿌리의 경우는

중심이 비어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토목향(국산목향)

 

 

이 식물은

국산 목향으로 불리는

토목향입니다.

 

사실 목향은

워낙에 운목향의 수입량이 많고

활용이 많이 되기 때문에

 

시중에서 유통되는 국산목향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되지만,

가끔 시장에 나와서 유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통되는 국산목향

 

 

운목향과 비교했을때

비슷하게 생겼죠?

 

아무래도 같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보니

뿌리의 생김새가 비슷합니다.

 

 

청목향(쥐방울덩굴과)

 

 

사실 오늘의 주제는 이 청목향을 말씀드리기 위해서

목향이라는 약재를 다룬건데요.

 

청목향은 예전에 약재로도 사용이 됐지만

독성성분이 있어서

지금은 사용이 금지된 식물입니다.

 

특히 이 [쥐방울덩굴과]에 속한

식물들이 독성을 나타내는데,

주로 이뇨작용을 강해서

신장에 굉장한 부담을 주기때문에

 

절대로 사용하거나

임의로 드시면 안됩니다.

 

 

청목향 절단면

 

단면이 운목향과 국산목향과 비교했을 때

전혀 다른게 보이시나요?

 

대부분의 쥐방울덩굴과에 속한

식물의 뿌리를 절단해보면

 

위 사진처럼

방사형의 무늬와 함께

구멍이 뚫린 듯한 모양이

공통적으로 발견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목향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공진단에 어떤용도로 들어가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