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방기(防己)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거풍습약(祛風濕藥)2020. 8. 28. 09:03
방기란?
방기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새모래덩굴과)의 덩굴성줄기 및 뿌리줄기이다.
KP(국내 생약규격집)와 JP(일본약전)에는 생약명을 방기로 수재하고 있으나
CP(중국약전)에는 청풍등(靑風藤)으로 수재하고 있다.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차다(寒)
작용장부는 방광, 폐, 비, 신(膀胱, 肺, 脾, 腎) 이다.
약리작용
① 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 작용이 있어서 진통 작용을 보이고,
② 관절염에 일정한 소염 작용이 있으며,
과민성 쇼크에 저항 능력이 높아서 해열제와 진통제로 쓰인다.
③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④ 횡문근의 이완 작용을 보인다.
⑤ 기관지 평활근에 작용하여 긴장력을 증가시키고,
⑥ 항균, 항원충,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주치(主治)
1. 이수소종(利水消腫)
①. 풍수(風水): 전신이 붓는 증상
②. 피수(皮水): 부종
③. 담음병(痰飮病)
2. 청리습열(淸利濕熱): 미열과 붓는 증상
3. 거풍지통(祛風止痛): 관절염(무릎이 붓는 증상)
용량
5-9g
배합예
1. +계지(桂枝): 팔다리 통증
2. +황기(黃芪): 허약한 사람이 부종이 있을 때
임상보고
① 고혈압에 약침 제제로 사용하여 혈압을 내렸고,
② 관상 동맥 질환에도 정맥 주사제로 유효성을 높였으며,
③ 실험성 규폐증에도 효력을 보였다.
④ 폐암도 정맥 주사제로 치료하였다.
p.s: 방기는 크게 광방기와 분방기
그리고 목방기(댕댕이 덩굴)로 나눠서 사용합니다.
한때 광방기가 다이어트 제품에 들어가면서 신장암이 생기거나
신장기능이 매우 약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광방기는 식품사용불가 원료로 지정되면서
방기라는 약 자체가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광방기와 분방기는 사실 육안으로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모양이 비슷하기에 이 둘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신할 약재로 청풍등이나 목통을 사용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방기자체는 워낙에 이뇨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할때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거풍습약(祛風濕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초오(草烏) (0) | 2020.09.09 |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해동피(海桐皮) (0) | 2020.09.05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진교(秦艽) (0) | 2020.09.01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위령선(威靈仙) (0) | 2020.08.25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독활(獨活) (0)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