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9. 5. 09:04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해동피(海桐皮)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거풍습약(祛風濕藥)2020. 9. 5. 09:04
728x90
해동피란?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두릅나무과)의 줄기껍질이다.
「中華本草」에 따르면 해동피는
자동(刺桐) Erythrina variegata Linné (콩과)
또는 그 근연식물을 정품으로 기재하고 있고
음나무는 자추수피(刺楸樹皮)로 기재하고 있다.
국산 해동피는 음나무의 몸통 껍질을
수입 해동피는 자동의 몸통 껍질을 약용부위로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하나는 두릅나무과이고 하나는 콩과이다 보니
약리작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듯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이 둘을 모두 해동피로 사용합니다.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간과 비(肝, 脾)이다.
주치
1. 거풍습 통경락(祛風濕, 通經絡 )
①. 풍습비증(風濕痺証): 풍습으로 사지마비와 관절염, 피부감각 이상
②. 사지구련(四肢拘攣): 팔다리가 당겨져 펴기 힘들 때
③. 요슬동통(腰膝疼痛): 요통과 관절염
2. 거습지리(祛濕止痢): 이질, 설사(효과 미미)
3. 살충지양(殺蟲止痒)
①. 개, 선창(疥, 癬瘡): 피부두드러기, 가려움(+사상자)
②. 습창(濕瘡): 피부가 짓무르는 경우
③. 아치충통(牙齒蟲痛): 충치
금기
허약하고 빈혈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시 주의.
배합예
1. +희렴초(豨薟草): 고혈압
2. +진교(秦艽): 사지마비, 감각이상
3. +강황(姜黃): 관절염, 관절통증
4. +강활(羌活), 독활(獨活): 오십견, 어깨결림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거풍습약(祛風濕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잠사(蠶沙) (0) | 2020.09.12 |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초오(草烏) (0) | 2020.09.09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진교(秦艽) (0) | 2020.09.01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방기(防己) (0) | 2020.08.28 |
거풍습지비통약(祛風濕止痺痛藥) - 위령선(威靈仙)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