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대극효능'에 해당되는 글 2

  1. 2021.12.07 대극 [ 大戟 , Spurge ]
  2. 2020.07.31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대극(大戟)
728x90

개요

대극속(Euphorb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000종이 있으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중국에 약 80종이 있는데 남북에서 모두 난다.

이 속에서 현재 약재로 사용되는 것은

약 30종이며 중국 동부의 각 성에 분포한다.

한반도와 일본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대극’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하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 많이 기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대극의 법정기원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강소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대극을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대극과)의 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대극에는 주로 디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수용성 히스타민 등의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를 기준으로, 대극 중 유파디에놀의 함량을

0.6%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대극에는 인체 평활근 조절,

혈관확장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 자극적이다.

한의학에서 대극은

설수축음(泄水逐飮), 소종산결(消腫散結),

화담해독(化痰解毒)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이뇨

대극의 알코올 추출물은 개의 신장용적을 뚜렷하게 감소시키며

실험성 복수 Rat 모델에 대극을 달인 약액이나

알코올 침출액을 투여하면 뚜렷한 이뇨반응이 나타난다.

대극을 달인 약액은 겐타마이신으로 유발된

Rat의 급성 신장기능부전을 해소하는 이뇨작용이 있다.

신사구체여과율과 신장세뇨관 재흡수에 불리한 영향이 있다.

2. 설사 유발

대극의 생것과 말린 것을 달인 약액은

동물의 적출회장에 대해 흥분작용이 있고

평활근의 장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장유동 증가 및 설사 유발작용이 있다.

대극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에도

실험동물에 대한 사하작용이 있다.

3. 혈압강하

대극 추출액은 말초혈관에 대하여 확장작용이 있고

항아드레날린작용을 통해 혈압을 하강시키는 작용이 있다.

4. 진통

대극을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전기자극을 받은 Mouse에 대해 진통작용이 있다.

5. 항염

대극의 석유에테르 추출물을 Mouse 혹은 Rat의 위에 주입하면,

카라기난으로 유발된 발바닥 종창을 경감할 수 있는데

복강에 주사하면 효과가 더욱 강력하다.

애주번트 혹은 포름알데히드로 유발된

관절염에 대해 뚜렷한 항염활성이 있다.

또한 카라기난으로 유발된 Rat의 흉막염의

삼출액을 감소시키며 백혈구의 수치를 증가시킨다.

그 밖에 초산으로 유빌된 혈관투과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애주번트로 유발된 염증의 계발감염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케모카인과 세포유주를 억제한다.

6. 항종양

대극의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에는 세포독성이 있다.

대극주사액을 사용하면 L615 백혈병에 걸린 Mouse의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암세포 S기의 유전자 합성을 저해한다.

7. 기타

알코올 추출물은 적출된 임신자궁에 대해 흥분작용이 있고

대극을 달인 약액은 개구리의 적출된 심장에 대해

고농도에서 억제작용이 있다.

대극의 신선한 잎은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간균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대극 중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는

I형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1)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용도

대극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사수축음

[瀉水逐陰, 수(水)를 없애고 음사(飮邪)를 배출시키는 효능],

*소종산결

[消腫散結,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힘] 등의 효능이 있으며,

*수종창만

(水腫脹滿, 몸이 붓고 배가 몹시 불러오면서 속이 그득한 증상),

*옹종창독

(癰腫瘡毒, 살갗에 생기는 종기가

곪아 터진 뒤 오래도록 낫지 않아 부스럼이 되는 병증),

*나력담핵

(瘰癧痰核, 목 부위의 임파선 종기로 인하여

피하에 담으로 멍울이 생기는 병증)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만성 인후염, 임파결핵,

간경화복수(肝硬化腹水, 간경화로 인해 배에 물이 차는 것),

신염수종(腎炎水腫, 신장염으로 인해 전신이 붓는 증상),

결핵성 흉막염, 임파결핵, 백일기침, 광조형 조현병(정신분열증),

급성 유선염, 골질증식, 유행성 이하선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약 “18반(十八反)” 배합금기 약재 중에는

대극과 감초를 함께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구를 통하여 대극과 감초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Mouse의 LD50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독성을 증가시키며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GPT)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만약 대극과 감초를 분리하여 침출한 후에

다시 혼합하여 주사하면 독성이 일정 부분 경감되지만

여전히 단독사용에 비해 독성이 크다.

대극과 감초를 함께 사용하면

Rat의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 크레아틴포스포키나아제,

젖산탈수소효소(LDH), γ-수산화부티레이트 탈수소효소(γ-HBDH),

총 단백질 등에 대해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수치가 상승하며 심장, 간장 등에 대한 독성이 증가된다.

서로 다른 용량의 대극과 감초를 배합하여 사용할 때

특정한 사용량은 Mouse에 대하여

뚜렷한 독성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또 다른 사용량은 Mouse의 체중을 낮추는데

심지어 사망에도 이르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극과 감초의 배합이 독성을 나타내거나

그러하지 않는 용량을 보여 주는 실험이다.

감초의 용량이 대극보다 많을 때 진통작용이 증강된다.

두 약을 혼합하여 사용했을 때

개구리의 적출심장과 실험집토끼의 소장에 대한 작용을 증강시키며

이뇨 및 사하작용이 감소된다.

전통적으로 대극이 감초를 꺼리는 약이라고 금하는데,

현대과학으로도 이에 대하여 일정 부분 입증되었다.

그러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므로 이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극]

 

 

대극이란?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대극과)의 뿌리이다.

대극에는 대극과의 대극과 꼭두서니과의 대극으로 나뉘는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CP에는 전자를 경대극(京大戟) Euphorbiae pekinensis Radix으로,

후자를 홍대극(紅大戟) Knoxiae Radix로 수재하고 있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신(肺, 脾, 腎)이다.

주치(主治)

1. 사수축음(瀉水逐飮): 강력한 이뇨, 설사 작용

①. 정음흉협(飮停胸肋): 복수(腹水), 흉수(胸水), +감수(甘遂)와 같이 사용한다.

②. 음복태음(飮伏太陰): 설사와 구토(下利嘔逆), 두통, 심하비경만(心下痞硬滿), 인협하통(引肋下痛)

--> 간경화로 인해 복수가 찬 상태

2. 소종산결(消腫散結)

①. 적취(積聚)

②. 나력(瘰癧)

③. 경옹(頸癰)

④. 액옹(腋癰)

--> 임파선 종양

① 얼굴과 전신이 부었을 때, 복부 수종 및 흉협부의 수분 정체를 내린다.

②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경부 림프절염에도 유효하다.

③ 간경화로 복수(腹手) 즉 배에 물이 찼을 때에도 단미로 달이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대극의 독성

1회 복용량 1.5g을 초과하면

메스껍고 어지러우며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고 입 안이 마르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주의사항

반드시 법제하여

독성을 없애거나 약하게 해야 하며

쓰는 양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누렇게 볶거나 2시간 이상 쪄서 쓰되

하루 2~3g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 허약한 사람,

콩팥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단종으로는 거의 쓰지 않으며 법제하여 다른 약과 섞어 쓰는데

감초와는 배합금기이므로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배합예

1. +목향(木香): 축수축음(逐水逐飮)

2. +감수(甘遂), 백개자(白芥子): 장부습제거(臟腑濕除去)

3. +대추(大棗): 이수(利水)<--보조적인 역할

4. +양강(干姜): 몸이 차고 부종이 생기는 경우

임상보고

① 급만성 신우신염 수종에 1회 1g씩 1일 2회 복용한다.

② 말기 간디스토마로 복수가 찼을 때나,

간경화로 복수가 찼을 때 이 약물 0.6~0.9g을 격일로 복용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