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조기활혈調氣活血 위주의

형법衡法을 제창하다.

 

 

온신이수법溫腎利水法으로 만성신장염 치료

만성신장염은 병정이 길고 증후가 복잡하여 치료하기 까다로운 질병으로,

주요 증상은 수종이다.

옌 선생은 수종을 치료할 때 온보신양溫補腎陽을 중시한다.

부자, 계지, 파극천, 건강, 초목椒目, 회향 등의 약재를 주로 사용한다.

 

경험방으로는

온양축수음溫陽逐水飮(녹각편9g, 육계3g, 파극천9g, 부자4.5g, 황기12g,

두충9g, 저령9g, 상륙9g, 흑백축黑白丑 각9g, 택사15g, 초목2.4g, 복령15g)이 있다.

 

온양수박법溫陽搜剝法으로 말초혈관질환 치료

말초혈관질환에는 버거씨병, 레이노증후군, 대동맥염, 지단홍통증,

하지정맥류 등이 있는데 이들은 치료가 매우 까다로운 질병들이다.

 

이들 질병의 발병원인과 병리변화는 다른 점이 있지만

모두 혈액순환장애와 미세순환장애가 존재하며, 중의의 “혈어”범주에 속한다.

옌 선생은 흐르는 물은 썩지 않고 맥은 항상 통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온경산한법溫經散寒法으로 이들 질병을 치료한다.

 

본 방법은 사지가 차갑고 자색을 띄며 통증이 심하고

혀는 담하며 맥이 세細하거나 만지길 거부하는 한응성寒凝性

만성 말초혈관질환에 주로 사용된다.

처방으로는 양화탕과 마황부자세신탕가감을 사용하고,

약물로는 마황, 부자, 세신, 모동청毛冬靑, 백개자, 당귀, 천궁 등의 상용한다.

이 방법은 온경산한溫經散寒, 회양통맥回陽通脈, 수박어탁搜剝瘀濁하고,

혈관을 확장하며 사지의 혈액순환을 개선한다.

보기양혈법補氣養血法과 같이 사용하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 활혈통규탕活血通竅湯

【조성】 생지15g, 적작약15g, 천궁9g, 홍화9g, 수질(吞)3g, 석창포15g, 원지9g,

복령9g, 황련3g, 통천초通天草9g

【용법】 하루에 1첩을 2회로 나누어 복용, 수전복

【공효】 활혈화어活血化瘀, 통규성뇌通竅醒腦

【주치】 노인성치매, 다발경색성치매

【방해】 본 처방의 용약특징은 수질과 통천초의 배오에 있다.

수질은 미함성한味鹹性寒하고 혈분으로 들어가 축어逐瘀하지만

성질이 지완遲緩하여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통천초는 올방개(荸薺, water chestnut)의 싹이며 성질이 가벼워,

수질과 배오하면 약성을 뇌로 인도하여 뇌락腦絡의 어혈을 제거하고 낙맥을 뚫어준다.

생지, 적작약, 천궁, 홍화는 활혈화어活血化瘀하고 석창포, 원지는

화담개규化痰開竅, 성뇌안신醒腦安神하며 복령과 황련은 청심안신清心安神한다.

 

 

 

2. 익심탕益心湯

【조성】 당삼15g, 황기15g, 갈근15g, 천궁9g, 단삼15g, 적작약9g, 산사30g,

결명자30g, 석창포4.5g, 강향3g. 하루에 1첩을 2회로 나누어 복용, 수전복

【공효】 익기양심益氣養心, 행기활혈行氣活血, 거어지통祛瘀止痛

【주치】 심교통心絞痛

【방해】 당삼, 황기는 익기양심하는 군약이며,

갈근, 천궁, 단삼, 적작약, 산사, 강향은 활혈통맥하는 신약이다.

기가 충족하면 혈행血行을 돕고, 혈행하면 혈어血瘀는 제거될 수 있다.

결명자는 미한微寒한데 군신약의 과도한 신조辛燥를 막고

기기의 상하소통을 위해 사용된 좌약이다.

석창포는 사약으로 약을 심心으로 인도하고 개규통락開竅通絡한다.

본 처방은 익기양심益氣養心, 행기활혈行氣活血, 거어지통祛瘀止痛의 효능이 있다.

【가감】 혈어기체하여 자통이 있으면 추가적으로 혈갈분, 사향분, 삼칠분을

같은 용량으로 섞어서 1.5g씩 복용하여 활혈지통活血止痛한다.

기기조체氣機阻滯하여 흉민胸悶이 있을 때는 지각9g, 길경5g을 추가하여

일승일강一升一降하도록 해서 기기를 조창調暢한다.

만약에 고코티솔증(hypercortisolism)이 나타나면, 생지, 지모, 익모초를 추가한다.

 

 

임상사례

•두통(혈관긴장성 두통)

•우吳모, 여, 46세, 심번心煩과 초조한 증상을 동반한 두통 2년

【초진】 2005년 11월4일

2년 전부터 과로 혹은 피로한 후에 가끔 심번이 있고 긴장성 두통이 발생하여,

눈을 뜨지 못할 정도이다. 오심구토는 없으며 두뇌MRI와 뇌전도검사는

모두 정상이다. 평소 식사는 정상이다. 꿈을 많이 꾸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추위를 잘 타는데 겨울엔 더 심하다.

월경은 정상이고 마지막 월경은 지난달 25일에 있었다. 혀는 어

둡고 태는 박니하며 맥은 현하다.

 

간울기체肝鬱氣滯, 간풍상참肝風上僭, 기체혈어氣滯血瘀證 이므로

소간이기疏肝理氣, 활혈화어活血化瘀로 치료하였다.

혈부축어탕 가감방을 처방하였다.

• 처방 : 시호9g, 지각9g, 길경6g, 천궁15g, 도인9g, 홍화9g, 당귀9g, 적작약 9g,

생지12g, 懷우슬9g, 감초4.5g, 백합15g, 소맥30g, 황련2.4g. 14첩. 하루 1첩, 수전복.

【2진】 초진 처방 복용 후 정신이 진작되고 수면이 호전되었다.

피곤할 때는 여전히 두통, 요통이 있으며 대하가 많다.

혀는 붉고 설태는 박하며 맥은 약간 삭하다.

조기활혈調氣活血, 심비자양心脾滋養으로 치료하였다.

• 처방 : 당귀9g, 적,백작약 각9g, 산조인15g, 원지9g, 목향3g, 천궁15g, 복령10g,

복령신10g, 당삼10g, 두충10g, 천단10g, 황백9g, 창,백출 각10g, 노봉방9g, 충울자9g. 14첩

약 복용 후 두통의 발생횟수가 뚜렷이 감소했으며 두통의 정도도 가벼워졌다.

 

 

 

 

•두통(혈관성 두통)

•진金모, 여, 47세, 반복적인 두통 27년

【초진】 2005년 12월2일

20세 때 불면증으로 양약을 복용한 후 두통이 시작되었다.

매월 수차례 발생하는데 대부분 월경 전이나, 피로하고 정서적으로 불안할 때 발생한다.

한번 발작하면 하루에서 수일간 지속된다.

두통 부위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오른쪽이 아플 때가 많다. 두

통 시 어지럼증, 오심구토가 동반된다.

뇌혈류도 검사결과 좌측 뇌의 혈액공급부족이 나타났다.

변비, 경추골질증생, 발작성 빈맥, 만성위염의 병사가 있다.

월경은 정상이다. 공막鞏膜에 어혈성 실핏줄이 분포한다.

혀는 자색紫色이고 설태는 박하며, 얼굴색은 자홍赭紅이고 맥은 세삭하다.

어혈瘀血 두통으로 진단하고 도홍사물탕을 가감하여 처방하였다.

• 처방 : 강활9g, 천궁30g, 석남엽9g, 노봉방9g, 도인9g, 전갈1.5g, 오공1마리,

홍화9g, 적백작 각9g, 생지12g, 당귀9g, 백지9g. 14첩

【2진】 초진 처방 복용 후 두통이 재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4일 전 풍한 감기에 걸린 후,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고는

흉비두훈胸痞頭暈이 나타났다. 혀는 붉고 설태는 박하며 맥은 약간 삭하다.

수일 째 대변이 없다. 이것은 풍한습체風寒濕滯에 의한 것으로

초진 처방의 복용을 중지시키고, 선중화탁법宣中化濁法으로 치료하였다.

• 처방 : 곽경藿梗9g, 반하9g, 죽여9g, 후박9g, 全괄루9g, 지실9g, 택사9g, 진피9g,

불수片9g, 구인蔻仁3g, 백질려9g, 복령9g. 7첩.

탕약과 함께 정기편正氣片을 하루 2회 4알씩 복용.

【3진】 두통은 아직 재발하지 않았다. 얼굴색은 미황微黃하고

공막의 실핏줄도 감소하였다.

여전히 뱃속이 불편하고 설태는 박니하며 맥은 현삭하다.

• 처방 : 시호9g, 지각9g, 길경6g, 천궁15g, 강활9g, 갈근15g, 천마9g, 백질려9g,

반하9g, 炙오매9g, 향연皮9g, 봉방9g, 生포황9g, 만형자9g. 14첩

탕약 복용 3개월 후 방문하였는데 두통이 재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글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국의대사에서 발췌, 정리한 글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