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이옹론치以癰論治”로 위축성 위염

중의치료의 신기원을 열다

 

1. 온비탕溫脾湯

【조성】 당삼15g, 백출10g, 고량강10g, 황련5g, 사인15g, 단향10g, 당귀25g,

작약25g, 천련자15g, 향부자15g, 백개자10g, 감초10g, 초두구15g

【용법】 수전복

【효능】 온위리비溫胃理脾

 

적응증】 표재성 위염 허한증, 구토청수嘔吐淸水, 위부창만胃腑脹滿이 있으며

때때로 통증이 심하고 구역질 및 대변불리가 동반됨

 

【가감】 변비가 심하면 대황10g, 욱리인5g, 흑백축黑白醜10g을 가미하고,

증상에 따라 조기온중調氣溫中, 사瀉법을 같이 운용하여 변비를 신속히 없앤다.

설사가 있으면 감실15g, 연자육15g, 산약15g을 가미하고

갱년기 종합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합환피40g, 여정자15g, 맥아20g, 대조10g, 감초20g을 가미한다.

 

 

2. 이련탕二連湯

【조성】 호황련10g, 황련10g, 연호20g, 패장초20g, 두성초豆腥草20g, 초과인15g,

진피15g, 강황10g, 소자15g, 소목화15g, 의이인20g, 지모40g

【용법】 수전복

【효능】 청조화열清燥化熱, 조리비위調理脾胃

 

【적응증】 표재성 위염 허한화열증虛寒化熱證, 위완부 작열감, 위산역류,

배부背部로의 방사성 통증, 수면 전 위완부의 불편감, 변비 등

 

【가감】 위산과다가 있으면 오적골20g, 煆와릉자20g, 갈근15g을 가미하고,

위산이 감소하거나 혹은 위산이 나오지 않는데 신음식을 찾으면 오배자15g, 마치현40g,

炒산사20g, 오매15g, 구기자20g,

변비가 심하면 상심자40g, 흑백축15g, 욱리인10~15g, 당귀20g, 지각10g을 가미한다.

 

 

 

임상사례

•초기 간경화(간암 배제)

•남, 48세, 간경화

【초진】 2003년 12월

환자는 정신과 건강상태가 양호함. 진료 시 면색이 잿빛이고 광택이 없으며 몸은 야위었음.

환자는 염식구고饜食口苦, 전신권태, 대변다당大篇多溏 및 약간의 변비가 있다고 호소함.

맥은 현세弦細 혹은 현실弦實. 설체는 반胖하고 설질은 강絳, 설태는 백태가 많이 낌,

입맛은 쓰나 목은 마르지 않음. 간 부위가 창민脹悶하고 수시로 애역呃逆이 있으나 심하지는 않음.

화를 잘 내고 잠이 많으며 기름진 음식을 싫어함, 오후에 가벼운 저열이 있으나 출한은 없음,

소변은 황탁하고 간혹 공막이 노랗게 됨.

• 진단 : 고창鼓脹(간경화 초기)

• 치법 : 소간리담疏肝理膽, 청열거습淸熱祛濕

• 처방 : 이간실비전理肝實脾煎

토복령20g, 목통10g, 동과인30g, 도인15g, 호장30g, 권백20g, 당귀30g, 용담초20g,

산약20g, 복령20g, 해금사20g, 자초15g, 대청엽20g, 시호25g. 수전복, 1개월.

• 가감 : 피부에 가벼운 황달이 있으면 부평15g, 인진50g, 대황5g, 비해20g, 단삼20g을 가미하고,

복창애역腹脹呃逆이 심하면 백출20g, 수홍자15g, 내복자15g을 가미한다.

 

 

•표재성 위축성 위염 허한증虛寒證

•한모씨, 여, 50세

•위완부 창통 1년

【초진】 2005년 10월 12일 초진. 위완 부위 창통脹痛 1년, 최근 보름동안 증상이가중됨.

위완부에 창통과 공복 시 통증이 심해짐. 몸이 나른하고 트림이 있지만 오심惡心, 구토는 없음.

가끔 땀이 나고 힘이 없으며 입이 쓰고 허기가 짐. 따뜻한 음료를 좋아하고 소변은 정상임.

대변은 묽고 하루에 3~4회, 점액성 농혈은 없음.

설질은 담하고 설태는 박백하며 맥은 침세하다.

위내시경 결과는 표재성 위축성 위염으로 나타났으며,

중도重度 만성 위염으로 표면이 미란糜爤하고 상피조직에 경도 이형세포異形細胞 증생이 있음.

환자는 평소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고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심하며 쉽게 화를 냄.

• 진단 : 위한옹胃寒癰(표재성 위축성 위염 허한증虛寒證)

• 치법 : 소간해울疎肝解鬱, 온위건비溫胃健脾

• 처방 : 구위도체탕救胃導滯湯 가감방

향부자15g, 소자15g, 소회향 5g, 백두구15g, 후박15g, 도인 15g, 사인 20g, 오적골20g,

침향5g, 산약20g, 연자육20g, 오수유5g, 황련10g. 수전복,

3일 연속 하루 두 번씩 복용하고 안정을 취하고 차가운 음식을 피하도록 함

【2진】 상기 약을 복용한 후 위장 창통이 현저히 개선되고 피로감도 줄어듬.

대변은 하루 1회로 단단해졌음. 혀가 얇고 설질은 담강淡絳하며 설태는 박백하고

맥은 현세함. 초진 처방에서 오수유를 빼고 괴화20g을 가미하여 청열량혈淸熱涼血,

산울해독散鬱解毒 작용을 보강함.

【3진】 재진 처방 복용 1개월, 간혹 위장 창통이 있지만, 몸이 가벼워짐.

간혹 트림이 있지만 식욕과 체력은 회복되었고 대변은 정상임.

설은 담홍하고 설태는 박백하며, 맥은 침세함

【해설】 위완허한증은 병위가 표천表淺한 사례가 많다.

본 환자의 내시경 검사 결과도 상피조직에 가벼운 이형세포 증생이 있으므로

위완허한증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여기에 독사毒邪가 더해서 병증이 가중된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난비온위暖脾溫胃, 선산한사宣散寒邪법으로 기기를 통하게 하고 허한을 없애었다.

허한을 해결하고 바로 청제울열淸除鬱熱하여 병세의 발전과 만연을 막았다.

처방에서 특이한 점은 황련과 오수유의 비율이

좌금환 원방(6:1)과는 다른 2:1이라는 점이다.

이는 리위치 교수의 독특한 용량비율로서 리 선생은

간기범위肝氣犯胃, 열위한알증熱爲寒遏證의 치료에 본 비율을 사용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