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잡초를 놔두면 녹비효과가 나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 농업인이 많다.

녹비나 잡초 모두 풀이 아닌가?

잡초를 그냥 놓아두면 흙의 침식도 막아주고

어느 정도 자라서 흙에 넣어주면

녹비 같은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잡초는 절대로 녹비가 될 수 없다.

물론 맨땅보다는 잡초라도 놔두는 것이 침식을 막는 데 도움이 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잡초의 가장 큰 단점은 건물 생산량의 적다는 점이다.

잡초의 건물 생산량은 10아르당 100kg을 넘기지 못한다.

건물이 적다보니 유기물의 생산량이 적고 흙으로부터 양분의 회수량이 적다.

양분의 회수량은 흙 속에 잠자고 있거나,

물이 흙을 통과하면서 지하로 끌고 내려가는 양분을

뿌리가 빨아서 제 몸 속에 저장하는 양이다.

양분 회수량은 건물량에 좌우된다.

더구나 잡초는 짧은 기간 자라서 씨를 맺고 죽는다.

꽃이 피고 씨를 만드는 과정에서 잡초의 몸에 있는 유기양분은 모두 씨에 저장됨으로,

씨를 만들고 난 잡초는 양분이 거의 제로 상태,

약간의 무기성분과 분해가 잘 안 되는 섬유가 전부다.

 

그런 것을 흙에 넣어야 큰 도움이 안된다.

더 큰 단점은 자라면서 독소(타감물질)를 뿜어낸다는 점이다.

망초 같은 경우에는 ‘벤즈알데히드’라는 독소를 잎과 뿌리에서 분비해 주변 식물들을 죽인다.

마른 풀에도 독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서 작물의 자람을 해친다.

또한 엄청난 씨가 떨어져 향후 10여 년 동안 계속 나온다는 점이다.

 

녹비를 보자.

질소를 고정하지 못하는 호맥의 경우에서도

건물로 400kg이 나오고 질소는 12kg 정도 회수된다.

콩과 녹비로 헤어리베치의 경우는 건물 600kg에서

무려 24kg의 질소, 4.9kg의 인산, 15.2kg의 칼리가 회수된다.

물론 각종 미량원소도 함께 들어 있다.

녹비도 적기에 베어 넣어야 효과가 극대화 된다.

호맥의 경우에는 이삭이 피고 10일경에 가장 녹비 효과가 큰데,

그 후에는 각종 양분이 씨로 가고 분해되어 잎과 줄기에는 별로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녹비를 가꿔도 적기에 잘라 흙에 넣어주어야 효과를 가장 크게 얻을 수 있다.

9월 상순에 붉은 클로버,

10월 상순에 헤어리베치, 중순에 호맥으로 이어진다.

녹비재배는 흙과 양분의 손실을 막고,

지구환경을 개선해 주어 우리 모두를 위한 친환경농법의 시작이다.

농진청은 헤어리베치를 가장 우수한 녹비로 지목하고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