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농약 용기의 라벨(포장지)에 쓰여 있는 주의사항을 지키고,

적정하게 사용하는 한 사람에 대한 위험성은 거의 없습니다.

병해충, 잡초에 대한

농약의 작용메커니즘의 전부가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농약이 병해충, 잡초에 작용하는 메커니즘과

사람에게 독성을 나타내는 메커니즘이 다르다는 등의 이유로,

현재는 사람에게는 위험을 미치지 않는 농약이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어떤 농약이 대상으로 하는 병해충 및 잡초와,

대상 이외의 예를 들면, 사람이나 가축에 대해서는

항상 선택성 향상이 지향됩니다.

해독․분해효소와 작용메커니즘의 차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의 경우,

사람과 해충 사이의 선택성 발현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기인제]

현재 보급되어 있는 농약 중 하나인 유기인제는

신경기능을 저해하여 효과를 발휘합니다.

사람과 곤충도 기본적으로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므로

신경기능을 저해하는 타입의 약제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기인제에는 곤충에 대해서는 포유류에 비해

수백 배에서 수천 배나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 많습니다.

그 하나가 지금은 존재하고 있지 않는 마라톤입니다.

포유류는 체내에 갖고 있는 어떤 종류의 해독․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해

이 약제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데, 곤충에서는 이 효소의 작용이 약해서

극히 적은 양으로도 작용을 받아 죽어 버립니다.

같은 유기인제인 파라티온은 해충에 높은 효과가 있지만,

사람에게도 독성이 강한 편입니다.

그래서 화학구조 일부를 바꿔 곤충에 대한 강한 효과를 가지면서,

사람에 대한 독성을 현저하게 경감시킨 것이 페니트로티온입니다.

[합성 피레스로이드제]

제충국의 살충성분인 필레토린에 기원하며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약하지만,

반대로 대부분의 해충에 대한 효과가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것은 포유류에서는 살충성분이

신경계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빠르게

대사․분해를 받아 해독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피레스로이드는 저온에서 효과가 높아

포유동물(항온동물)보다 곤충(변온동물)에게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도 선택성 발현의 한 원인이라고 합니다.

[BT제]

BT제는 고초균의 일종인

바실러스 슈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가 만드는 살충성 단백질을 이용합니다.

야도충이나 아메리카백등아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을 갖는 해충이

BT제가 묻은 잎을 먹으면 소화기관 내의 알칼리 조건과

분해효소가 작용하여 살충성 단백질이 활성화됩니다.

이 살충성단백질에 의해 소화기관의 세포가 파괴되어 해충은 죽게 됩니다.

그러나 산성의 소화액을 갖는 꿀벌이나 포유류에서는 독성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IGR제: Insect Growth Regulator (곤충생장조절제)]

곤충에게 특유의 탈피와 변태를 막고,

최종적으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약제입니다.

크게 나누면 곤충 표피의 형성을 막는 타입과,

탈피나 변태에 관련된 곤충호르몬의 작용을 저해하는 타입이 있습니다.

곤충의 표피는 단백질과 키틴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사람에게는 이 키틴의 생합성기능이 없으므로

키틴의 생합성을 막는 약제는 사람에게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또 사람은 탈피도 변태도 하지 않으므로 그것을 막는 약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그밖에 제초제 중에도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는 타입의 제초제는,

광합성을 하지 않는 사람이나 동물에게는 거의 작용하지 않습니다.

식물 병의 주된 요인이 되는 사상균(곰팡이)의 세포막은

미생물 특유의 에르고스테롤이 주된 성분입니다.

이 에르고스테롤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타입의 살균제도

에르고스테롤을 갖지 않는 사람이나 가축에게는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약제입니다.

참고로, 제초제의 경우,

작물과 잡초는 같은 고등식물이어서

그 사이의 선택성 발현의 메커니즘은 보다 복잡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