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마취과(통증 크리닉)

고령화사회라는 것은 동통성질환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회이기도하다.

이 영역에서도 한방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부 37편의 논문이 있고, 1보고는 이중맹검 비교시험이고,

29보고가 통상적인 비교시험으로 이루어졌다.

1. 안면신경마비 - 시령탕 (柴苓湯)

안면신경마비는 그 원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증례에 따라서는 완전한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치료하는데 의외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서양의학적으로는 스테로이드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시령탕이 더욱더 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이다.

근거: 여기에서는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안면신경마비인

벨마비 99예를 스테로이드 투여군, 시령탕 투여군, 非투여군의 3군으로 나누어서 검토한 결과,

스테로이드의 효과는 非투여군과 다름없이 효과가 없었고,

시령탕群만이 마비 수치 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것은 스테로이드를 제1선택으로 하는 지금까지의 통설을 뒤엎는 결과이다.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는 연구로서 추후 추가 시험결과가 기다려진다. <표1 참조>

2. 안면경련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안면경련은 안면신경 지배근에 보이는 주기적 불수의운동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보튤리누스독소(botulinus toxin)의 국소주사나 쟈넷(Janet)의 수술 등도 실시되지만,

일상적인 치료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권하는 쪽도, 받아들이는 쪽도 소극적인 자세가 보통이다.

이 질환에 芍藥甘草湯이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근거: 배경인자에 유의차가 없는 20예의 안면경련을

芍藥甘草湯투여군 10예와 非투여군 10예로 무작위로 나누어서 치료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半定量的 4단계 중증도 수치의 비교에서 투여 12주 후,

16주 후에 있어서 모두 유의차(p<0.05)를 가지고 작약감초탕이 개선시켰다.

<표2 참조>

기타 진료영역

어느 특정진료과로 분류하기 어려운 증례보고를 여기에 정리한다.

말하자면 틈새영역에서의 한방약의 활용이다.

1. 상부 또는 하부소화관검사의 전처치(前處置)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통상적인 검사에서 사용되는 항콜린제와 글루카곤(glucagon)의 주사 대신에

芍藥甘草湯을 복용시킨다는 다수의 연구가 있다.

근거 1: 58예의 상부소화관 내시경검사환자를

항콜린제 주사군과 작약감초탕 내복군과의 2군으로 나누어서

VAS(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해서 「통증」「고통」을 수치화해 비교했다.

그 결과 작약감초탕은 항콜린제와 동등한 고통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70세이상의 피험자는 모든 예에서 작약감초탕을 투여한 바,

통증과 고통의 정도가 70세 미만과 동등하였다. <표3 참조>

芍藥甘草湯을 前처치에 사용하는 임상연구는

注腸의 前처치에 있어서도 실시되고 있다.

근거 2: 3시설에서 60예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시험에서는

Brown變法群과 芍藥甘草湯투여군 각 30예로서 실시되었다.

작약감초탕 群은 유의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었고,

야간의 복통과 배변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표4 참조>

대장내시경검사에서는

잔변량을 적게하기 위해서 大黃甘草湯을 사용한 연구가 있다.

근거 3: 2시설에 있어서 60예의 대장내시경검사에서 Brown변법군,

大黃甘草湯群으로 무작위로 나누어서 실시한 결과를 비교분석했다.

대장내시경검사의 前처치법으로서 대황감초탕을 사용하는 방법은

腸管의 洗淨능력이 뛰어나고, 거의 모든 예에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대황감초탕을 사용하는 前처치법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표5 참조>

2. 기타

芍藥甘草湯은 각종 有痛性의 근육경련 병태에 응용된다.

이 임상보고는 원인이 알코올의존성인 경우이다.

근거: 16예의 알코올의존증에 동반한  腹筋 경련(장딴지의 쥐) 환자에게

芍藥甘草湯을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보고이다. <표6 참조>

의료경제

최근 고령화사회에 따른

의료수요의 증대와 더불어 의료경제는 증가의 도를 더해가고 있다.

한방치료는 간결한 처방구성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저렴한 의료비용으로 해결이 가능한 의료기술체계이다.

이 때문에 특히 의료경제 항목을 두어 이와 같은 연구보고를 다루기로 하였다.

근거: 서양의학적인 鐵劑는 단독복용에서는

胃를 상하게 하기쉬워 위장약 등의 보조약이 필요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약제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방약이 적절하게 운용된다면 이와 같은

보조약은 필요 없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해결될 수 있다. <표7 참조>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