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주 듣는 생물농약이란 어떤 것입니까? 약용작물 관련자료/농약에 대해 궁금할때2020. 7. 27. 09:04
생물농약이란 살아 있는 미생물, 천연에서 유래된 추출물 등을
이용한 생물적방제제로서 미생물농약과 생화학농약이 있습니다.
미생물농약이란
진균, 세균, 바이러스 및 원생동물 등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농업용 미생물방제제를 말하며
또 생화학농약이란
자연계에서 생성된 천연화합물을 추출하여 이용하거나
비독성학적 기작에 의한 생물통신물질을 이용한
농업용 생물질 또는 생약방제제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30여 종류 이상이
생물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미생물 농약은
바실러스 슈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 BT)라고 하는 고초균의 일종으로,
살충제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BT는 몸 안에 결정성 독소를 만듭니다.
곤충이 BT가 묻은 먹이를 먹으면, 알칼리 조건 하의 소화기관 안에서
분해효소에 의해 독소가 활성화되어 소화기관을 파괴하여 살충력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러나 꿀벌과 같이 소화기관 안이 알칼리성이 아닌 곤충이나
위액이 산성인 포유류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BT는 그 종류에 따라 배추좀나방, 배추흰나비 등에게 효과가 있는 것,
파리나 모기에게 효과가 있는 것, 갑충에게 효과가 있는 것이 있습니다.
해충방제에 사용되고 있는 세균도 있습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병원균을 직접 공격하는 힘은 없지만,
어떤 종의 병원균과는 식물 표면에서 서식장소와 영양 확보를 위해 경쟁하므로
결과적으로 나중에 온 병원균은 살 장소와 먹이를 얻을 수 없으므로
정착하지 못하여 식물은 병원균으로부터 지켜집니다.
잡초방제에 사용되는 세균도 있습니다.
싼토모나스 캠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라는 세균은
잔디의 잡초, 새포아풀의 줄기와 잎의 상처부위로 침입하여
수분과 영양을 체내로 운반하는 길을 막아서 최종적으로는 고사시켜 버립니다.
곰팡이(사상균)는 형성된 포자가 곤충에 부착(직접 또는 바람 등)하여 널리 퍼져 나갑니다.
부착한 포자는 발아하여 균사를 곤충 체내로 투입, 체액을 양분으로 증식합니다.
그 결과 곤충은 죽어버립니다.
고가의 한방약인 「동충하초」는,
이렇게 해서 나방의 유충에 사상균이 감염하여 생긴 것입니다.
누에나 감귤류의 곤충 딱정벌레류를 대상으로 한 사상균 제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바이러스 중에는 곤충에 감염하여 곤충을 죽게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이러한 병원 바이러스 중에서, 표적 이 외의 생물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이러스를 뽑아 살충제로서 사용합니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바큘로바이러스(Baculovirus)속의 핵다각체병 바이러스(NVP), 과
립병 바이러스(GV), 사이포 바이러스(Cypovirus)속의
세포질 다각체병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는 병해의 예방에도 사용됩니다.
이것은 식물이 이미 감염된 적 있는 바이러스와 동일하거나
거의 흡사한 바이러스에는 잘 감염되지 않는다는 「간섭작용」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약독바이러스는
토마토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의 녹색반점모자이크바이러스,
감귤류의 트리스테자바이러스가 원인인 병해 예방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람의 백신과 같은 원리를 응용한 것입니다.
항생물질은 스토렙토마이세스속이나 슈도모나스속 등의
세균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주로 살균제로 사용됩니다.
페로몬에는 성페로몬, 집합페로몬, 경보페로몬 등이 있는데,
그 중에도 수컷 성충에 대해 유인, 교미행동을 일으키는 암컷의 성페로몬은,
나비목(나방류), 갑충목(벌레류)을 중심으로 한 해충의 화학구조가 밝혀져
대량 합성법이나 제제기술의 진전에 따라 실제 해충방제에서의 응용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 국내 생물농약 등록현황 (2008. 12. 31 현재)
'약용작물 관련자료 > 농약에 대해 궁금할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약을 장기간동안 계속하여 사용하면 해충, 균류, 잡초 등에 대해 효과가 없어진다는데 그게 정말인가요? (0) | 2020.08.11 |
---|---|
농약의 효과는 언제까지 계속되나요? (0) | 2020.07.31 |
생물농약을 사용하면 모든 병해충이나 잡초가 방제될 수 있나요? (0) | 2020.07.17 |
유전자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농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작물이 개발되었다고 하던데요? (0) | 2020.06.11 |
영향이 바로는 나타나지 않아도, 오랜 기간에 서서히 건강을 해치는 독성이 더 무섭다고 들었는데요? (0) | 2020.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