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폐의 치료는 온법을 떠날 수 없다.”

현대 중의 폐병 치료의 설계자

 

1. 견효탕蠲哮湯

【조성】 정력자10g, 청피10g, 진피10g, 빈랑10g, 京대황10g, 생강10g,

모형자15g, 귀전우15g

【공효】 사폐제옹瀉肺除壅,척담거어滌痰祛瘀, 이기평천利氣平喘

【주치】 본 방은 기관지 효천의 급성발작이나 효천이 계속되는 증상,

천식형기관지염의 급성 발작기, 가래로 인한 기침 등 증상에 사용함.

【방해】 본 방은 기기의 소통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방제이다.

정력자, 청피, 진피, 빈랑, 모형자는 사폐제옹瀉肺除壅하여 비장의 기를 통하게 하고 담을 없앤다.

폐와 대장은 표리관계이고, 효증은 대부분 폐기옹체肺氣壅滯하여 부기腑氣가 막히고

탁기濁氣가 내려가지 못하고 상역上逆하여 발생한다.

폐기의 옹체壅滯가 심해지면 효천을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진다.

그러므로 대황을 사용하여 부기腑氣를 통하게 하여, 폐기가 스스로 내려가도록 한다.

귀전우는 활혈거어活血祛瘀, 항과민抗過敏작용이 있는 약이고,

대황과 함께 사용하면 행어行瘀작용이 증강된다.

효증은 여러 가지 외감外感 요소로 발생하므로,

생강을 가미하여 외부의 표한表寒과 내부의 수음水飲을 없애는 동시에

정력자, 대황 등 고한苦寒한 약재가 위장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임상가감법】 일반적 상황 하에서는 가감을 할 필요가 없으나,

변증을 거친 후 아래와 같이 가감 할 수 있다.

- 한담효寒痰哮 : 건강, 세신

- 표한증表寒 : 生마황, 소엽

- 열담효熱痰哮 : 황금, 어성초

- 알러지성 비염 후 기타 과민증상 : 선의, 신이 혹은 백선피, 지부자

- 변비: 生대황(後下), 설사 : 熟대황

 

임상사례

• 오모, 여, 6세

환자는 4세 때 외감으로 해소가 발병한 후 완전히 낫지 않고 계속적으로 효천哮喘이 있음,

기후가 급격히 변하거나 활동 후 증상이 재발함. 야간에 발작이 심하고,

아미노필린과 페너간 류의 약물을 복용하면 단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바로 재발함.

최근 일 년 간 매월 수 차례 발병하고,

발작이 시작되면 수일간 계속되며 프리드니손을 복용하면 증상이 조금 완화됨.

현재 발병 5일 째이고, 중, 서약 모두 효과가 미비함.

주요 증상은 효천이 계속되고, 흉만기급胸滿氣急이 있으며, 바로 눕지 못하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안색과 입술색이 창백함.

손발이 차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고 식욕이 부진함.

설은 편암偏暗하고 설태는 백황니白黃膩하며 맥은 침세활삭沉細滑數하다.

양쪽 폐에 모두 효명음이 있음.

【서의진단】 기관지효천 급성발작.

【중의변증】 담기효痰氣哮

•처방 : 견효탕蠲哮湯 3제,매일 1제,수전복.

약물 복용 후 효천 완화, 다량의 점액과 함께 묽은 대변을 3회 봄,

3제를 연속 복용함. 이후 매월 견효탕 3제를 복용하고 식료로 조리함.

 

 

임상사례

• 효천

• 왕모, 여, 41세, 효천 35년, 증상 가중 8개월

【초진】 2008년 4월 15일

유아시절 효천을 앓은 이후로 반복적으로 발작하였고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옴.

8개월 전 병세가 가중됨. 기침이 잦고 움직이면 심해짐. 밤에 편히 누워있지 못함.

흡입약을 두 차례 사용했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고 병원 응급실에서 응급처지를 받음.

현재 야간에 천식증상이 심해지고 기침을 빈번하게 하며 담이 있음.

담은 희고 양은 보통. 대변은 건조한 편이고,

설舌은 홍암紅暗하고, 설태는 백니후白膩厚에 약간 황색을 띠며,

맥은 세현활細弦滑하다. 우측 촌맥이 부하다.

•검사 : 양측 폐에서 다량의 효천음이 들림

•진단

- 중의 : 효병哮病(외한리음증外寒裏飲證)

- 서의 : 기관지효천 급성발작

•치법 : 산한선폐해표散寒宣肺解表, 이기척담평천利氣滌痰平喘

•처방 : 소청룡탕 가감방

生마황10g, 계지10g, 백작약10g, 세신3g, 法반하10g, 오미자10g,

건강10g, 소아조6g, 정력자15g, 위모10g, 천장각15g, 生대황6g(후하).

수전복 14제.

【2진】 상기 방제를 2주 복용한 후 천식이 호전됨,

밤에 바로 누울 수 있고 기침 횟수와 가래가 감소함, 담이 배출된 후에 기침 감소,

대변 건조 및 1일 1회 대변, 설은 홍암紅暗이며 설태는 백황후니白黃厚膩하고

맥은 현세활弦細滑하다.

외사는 이미 제거되었으나 담어가 기도를 막는 증상이 있음.

•치법 : 척담행어滌痰行瘀, 행기평천行氣平喘

•처방 : 견효탕과 천민탕을 같이 사용함

정력자15g, 小청피15g, 진피10g, 백개자10g, 위모10g, 모형자10g,

生대황10g(후하), 생강3편, 法반하10g, 청몽석20g, 황금15g, 아관석20g,

수전복. 1일에 1회. 14제.

【삼진】 2진의 처방을 2주 복용한 후 해천은 대부분 완화되었으며 기침이 조금 있음.

목이 가렵고 바람을 맞거나 자극적인 냄새를 맡으면 해소가 발작함,

발작 후에는 증상이 완화됨. 담은 백색이고 양은 많지 않음.

설태가 황후니黃厚膩한 것이 반으로 줄고, 맥은 세현활細弦滑하다.

•치법 : 부정고본扶正固本, 항민어풍抗敏禦風

•처방 : 온양호위탕溫陽護衛湯으로 척담행어滌痰行瘀, 평천平喘하고,

마황연교적소두탕麻黃連翹赤小豆湯, 단적자초탕丹赤紫草湯으로

청열거습清熱祛濕, 항민抗敏한다.

온폐전溫肺煎으로 산한해표散寒解表, 지해止咳한다.

탕약복용 후에 해천고본충제咳喘固本沖劑를 배합하여 6개월간 조리하였다.

3개월간 병증이 재발하지 않음.

추위를 많이 타고 등이 차가운 증상도 완화됨.

【해설】 소청룡탕은 선폐산한宣肺散寒으로 해표解表하고,

온폐화음溫肺化飲하여 평천平喘하는 공능을 지니고 있어

효병의 급성 발작기에 매우 효과적인 방제이다.

온양호위탕溫陽護衛湯은 효병의 완화기에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방제이다.

견효탕蠲哮湯은 정력자, 小청피, 진피, 빈랑, 위모, 모형자, 生대황, 생강 등으로 구성된

홍교수의 경험방이며, 사폐제옹瀉肺除壅, 척담행어滌痰行瘀, 이기평천利氣平喘하는

공능이 있어 외부 사기는 없어졌으나 ,

담어가 기도를 막아서 발생하는 제반 증상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임상사례

• 만성 폐심장증肺心臟症

• 유모, 여, 53세, 반복적인 기침과 가래, 기천 30여년

【초진】 1990년 12월 12일 입원

환자는 30년 전 원발성 기침과 가래, 천식이 발병했음.

당시 소염消炎, 지해止咳, 평천平喘 작용이 있는 서약 복용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그 후 매년 겨울마다 제 증상이 재발.

모병원에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심병으로 확진 받음.

이번 발병은 5일전 한사를 받은 후 발생함.

기침과 함께 끈적하고 맑은 가래가 약 300ml/일 배출됨,

환자는 의식이 불투명하고, 힘이 없어 계속 자려고 함.

숨이 가쁘고 바로 눕지 못함. 두통, 번조煩躁가 있음.

•일반검사 : 체온37℃, 호흡 : 27회/분, 맥박 : 101회/분, 혈압: 15/9kPa,

안구결막 수종. 입술은 청자青紫색, 경정맥 노장怒張, 통형 흉곽, 양측 폐에서 수포음이 들림.

복부 타진 시 이동성 탁음濁音(+), 양 하지가 슬관절까지 부종이 있음,

설는 암하고 설태는 무無, 맥은 부대浮大하고 무근無根함.

•실험실검사 : WBC 6.2×109/L, N 0.79, L0.21. ABGA: PO2 30.41kPa, PCO236kPa.

•진단 : 만성지관지염(단순형), 감염, 폐색성폐기종, 폐심장증, 심부전Ⅲ, 호흡부전Ⅱ형, 폐성뇌증.

•중의변증 : 양기허쇠陽氣虛衰, 담어복폐痰瘀伏肺, 상몽청규上蒙清竅,

수기불화水氣不化, 심양욕탈心陽欲脫

•치법 : 회양구역回陽救逆, 척담거어滌痰祛瘀, 개규성신開竅醒神, 온양이수溫陽利水.

•처방 : 홍삼, 맥동, 오미자, 청피, 진피, 빈랑, 위모, 生대황, 석창포, 울금 각 10g,

熟부자, 정력자, 모형자, 방기 각 15g, 익모초30g.

수전복, 1제/일 2~3회/일. 서약대증치료를 결합함.

【재진】 중, 서약 치료 5일 후, 제 증상이 호전됨, 정신이 맑고 두통이 소실됨,

양측 폐의 수포음이 줄어들고, 복부 타진 이동성 탁음(-), 양측 하지 부종이 경감됨,

소량의 황색 가래 배출, 설은 암하고 태는 없으며, 맥은 현활삭弦滑數하다.

•실험실검사 : WBC 5.3×109/L, N 0.70, L0.26, E 0.02, ABGA: PO2 30.81kPa,

PCO2 34kPa, 서약 투여 중지, 조담거어, 양기를 보하는 중약복용.

•처방 : 정력자, 금교맥근, 택사 각 10g, 칠엽일지화20g. 어성초30g, 도인10g

•상기 : 처방 복용 1주 후 제 증상이 명확하게 개선됨

•검사 : 폐부에 미약한 수포음이 있고, 기타 제 검사 결과는 이상이 없었다.

ABGA: PO2 38.41kPa, PCO2 33.1kPa.

【해설】 본 병례는 심신양쇠心腎陽衰 중증重症이며

병기는 양기허쇠陽氣虛衰, 담어복폐痰瘀伏肺 이다.

중약과 서약을 동시에 사용하여, 서약으로 감염을 치료하고

심부전을 교정하고 호흡을 안정시킨 다음, 중약으로 온보양기溫補陽氣하여 정기를 돕고,

조담거어滌疾祛瘀하여 질병의 숙근宿根을 제거한다.

온양과 조담을 병용하여 양기를 충만케 하고

담과 어를 제거하면 해천咳喘이 저절로 낫는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