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중의경전과 임상의 융회관통融會貫通

 

이진탕의 운용

이진탕은 치담治痰의 통용방으로 담痰으로 인한 모든 병증의 기초방이라 할 수 있다.

리 선생의 이진탕 임상활용사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① 소아경풍小兒驚風

•처방 : 法반하6g, 진피6g, 복령6g, 자감초6g, 죽여6g, 炒지실6g, 석창포5g, 강잠5g

만약 열이 있고 구갈口渴, 요황尿黃이면 천죽황5g을 가미하고,

경풍이 오래되어 이미 정기가 손상되고,

추휵이 있으며 의식이 모호하고 숨이 약하면 당삼, 원지, 담남성을 가미한다.

② 전간癲癇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制남성10g,

炒지실10g, 원지10g, 석창포10g, 강잠10g, 패모10g, 당귀10g, 천궁8g, 백반3g.

③ 담痰이 있는 중풍으로 언어장애, 반신불수, 구안와사가 있고 맥이 허虛한 병증.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죽여10g, 炒지실10g,

담남성10g, 당삼10g, 석창포10g, 강잠10g, 죽력12g, 생강즙10g.

앞의 10가지 약재를 물에 달인 후 생강즙을 섞어서 복용한다.

④ 정신이상으로 항상 분주하고 말이 많으며 잠이 없고 슬피 우는 병증.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죽여10g, 炒지실10g, 석창포10g, 원지10g, 당삼10g.

⑤ 뚱뚱한 체형으로 머리가 혼민昏悶하고 말이 없으며 이유 없이 웃고,

웃으면 스스로 멈추지 못함. 설태가 흑황건조黑黃乾燥하고 맥이 현활弦滑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죽여15g,

炒지실10g, 황련10g, 천화분15g, 현삼10g.

⑥ 두통으로 머리가 혼민昏悶하며 갈증이 있고,

설태가 황니黃膩하고 맥이 현弦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죽여10g,

炒지실10g, 황금10g, 천화분10g, 담남성10g.

⑦ 견비통肩臂痛이 있어 팔을 들지 못하고 맥이 세細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당귀10g, 천궁10g, 강황8g, 강잠10g

⑧ 양측하지에 부종이 있는데 한쪽이 심하고 다른 한쪽은 가벼우며,

피부색은 변화가 없으나 다리가 무거우며 소변이 정상인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制남성10g, 炒지실10g, 목과15g, 창출10g.

⑨ 기허氣虛부종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얼굴과 눈에 부종이 심하고 다리는 가벼우나,

오후에는 다리가 무겁고 얼굴과 눈의 부종은 감소함.

쉽게 피곤함을 느끼며 설태가 박백薄白하고 맥이 허虛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2g, 복령10g, 자감초8g, 당삼10g, 炒백출10g, 생강6g.

⑩ 불면증으로 번조煩燥하여 잠에 들지 못하고 종종 놀라서 잠에서 깸.

심계心悸가 있고 때때로 구역질을 하는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죽여10g, 炒지실10g, 炒백출10g, 炒산조인10g.

⑪ 위창통胃脹痛이 배고플 때 발작하고 음식이 들어가면 멈춤.

대변이 묽고 소변은 황색이며 설태는 박백薄白하고 맥은 허虛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당삼10g, 炒백출10g, 생강6g, 계지8g.

⑫ 산기疝氣로 고환이 종대腫大하고 통증이 있으며

추창墜脹하여 아랫배가 불편하고 소변이 황색인 병증.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자감초8g, 청피10g, 소회향10g,

여지핵10g, 길핵인桔核仁10g, 천련자10g.

⑬ 적취積聚로 복만기색腹滿氣塞하고 단기短氣하며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감초6g, 빈랑12g, 생강10g, 시호10g,

자완10g, 자소6g, 세신3g, 숙부자8g, 대황10g.

⑭ 비만한 여성이 월경이 멈춰 나오지 않고 식사는 정상이고 맥이 침미沉微한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炒백출10g,

창출10g, 자감초8g, 당귀10g, 천궁10g, 사간10g.

⑮ 임신오조姙娠惡阻로 구토가 멈추지 않고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증상.

•처방 : 法반하10g, 진피10g, 복령10g, 당삼10g, 炒백출10g, 자감초8g, 생강10g, 황금10g.

 

 

 

경험방

1. 감한양음방甘寒養陰方

•조 성 : 생지15g, 산약10g, 석곡10g, 옥죽10g, 사삼10g,

검실10g, 연자육10g, 의이인10g, 맥동10g, 감초8g.

•주치증 : 위음허胃陰虛에 의한 위통으로 배고플 때 발작하고 작열감이 있으며,

음식을 섭취하면 통증이 경감된다. 구건口乾하고 갈증이 있다.

소변은 황색이고 대변은 건乾하며 맥은 세삭細數하다.

2. 동과피탕冬瓜皮湯

•조 성 : 동과피20g, 노근20g, 복령피10g, 의이인15g, 백모근15g, 석위10g,

차전자15g, 활석10g, 택사10g, 등심초10g, 서과취의20g.

•주치증 : 전신부종으로 피부색은 선명하고 소변이 잦으며,

소변량이 적고 소변색은 황적黃赤하고 작열감이 있다.

또는 갈증이 나고 찬물을 마신다. 설태는 황黃, 맥은 삭數하다.

3. 관완이진탕款菀二陳湯

•조 성 : 관동화10g, 자완10g, 法반하10g, 복령10g, 진피10g,

자감초10g, 건강10g, 세신6g, 오미자8g.

•주치증 : 해소咳嗽, 백담白痰, 설태는 백白, 맥은 현弦 또는 환緩.

4. 비파이동탕枇杷二冬湯

•조 성 : 炙비파엽10g, 천문동10g, 맥동10g, 관동화10g, 자완10g,

호두육10g, 자감초10g, 길경10g, 사삼10g, 상엽8g.

•주치증 : 마른기침을 하고 가래가 없으며 목이 간지럽고 건조하다.

5. 가미위경탕加味葦莖湯

•조 성 : 노근30g, 동과인10g, 의이인10g, 길경10g,

감초10g, 패모10g, 어성초30g, 도인10g.

•주치증 : 폐옹肺癰, 농혈膿血 또는 농담膿痰을 뱉고, 흉협에 은통隱痛이 있다.

입안이 건조하고 맥은 삭실數實하다.

6. 열비지탕熱痹止湯

•조 성 : 의이인15g, 창출10g, 황백10g, 川우슬10g, 선학초10g, 상지15g,

위령선10g, 승마10g, 사간10g, 목과10g, 우각편20g.

•주치증 : 열비熱痹로 사지관절에 홍종열통紅腫熱痛이 있다.

또는 갈증이 있고 소변이 황색이다. 맥은 유삭濡數하며 설태는 황색이다.

7. 가미교애탕加味膠艾湯

•조 성 : 생지15g, 당귀10g, 천궁10g, 백작약10g, 애엽10g, 자감초10g, 당삼10g,

炒백출10g, 炙황기10g, 아교10g(양화). 하루에 2첩을 복용한다.

•주치증 : 붕루崩漏, 월경과다, 아랫배의 추통墜痛, 심황, 심계, 사지무력이 있다.

맥은 허약虛弱하다.

8. 지대탕止帶湯

•주치증 : 여성 백白대하증

•조 성 : 당귀10g, 천궁10g, 산약12g, 검실10g, 炒편두10g, 炒백출10g,

복령10g, 의이인10g, 필발20g.

만약 대하의 색이 황색이고 역겨운 냄새가 나면 치자10g, 황금10g을 가미하고,

대하의 질이 묽고 비린 냄새가 나면 煆용골10g, 煆모려10g을 첨가한다.

9. 소진탕消疹湯

•조 성 : 당귀10g, 적작약10g, 방풍10g, 형개10g, 복령10g, 천궁8g, 炒지실10g, 길경10g, 자감초8g.

•주치증 : 전신피부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홍색의 작은 구진丘疹, 소양증이 있다

10. 화어지통탕化瘀止痛湯

•조 성 : 당귀12g, 천궁10g, 적작약10g, 홍화10g, 制향부10g, 炒지실10g,

후박10g, 制유향10g, 制몰약10g, 대황10g, 炒도인10g.

•주치증 : 타박상으로 통증, 흉민胸悶, 변비가 있으며

입이 마르지만 물을 마시고 싶지는 않고 맥은 삽澁하다.

11. 신낭풍외치방腎囊風外治方

•조 성 : 자소엽10g(가루), 선태2g(가루), 매화빙편3g.

위 약재를 마유麻油에 섞어서 환부에 바른다.

•주치증 : 신낭풍腎囊風으로 음낭이 몹시 가렵고 끓으면 진물이 나온다.

12. 부독산敷毒散

•조 성 : 황련10g, 황백10g, 熟석고8g, 매화빙편3g.

위 약재를 가루 내어 물로 반죽해서 하루에 5-6회 환부에 바른다.

별도로 어성초 30g을 물에 달여서 하루 2회 복용한다.

•주치증 : 대상포진

13. 가감지골피음加減地骨皮飮

•조 성 : 생지15g, 당귀10g, 적작약10g, 지골피12g, 목단피10g, 백미10g,

해합粉10g, 청대8g, 은시호10g, 호황련10g, 장미근10g.

매일 1첩을 물로 달여 하루 2회 온복한다.

•외용처방 : 청대3g, 황백3g, 해합분3g, 煆인중백3g, 매화빙편0.3g을 가루 내어 환부에 바른다.

•주치증 : 구강궤양.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