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5. 26. 09:00
[약초세상]약초감별 - 인진호 약초야 놀자/약초감별2020. 5. 26. 09:00
728x90
인진호의 기원식물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국화과 Compositae)의 지상부이다.
봄에 채취한 것을 면인진(綿茵蔯)이라 하고, 가을에 채취한 것을 인진호(茵蔯蒿)라 한다.
국산 인진쑥과 더위지기
국산 인진쑥은 보통 어린 인진쑥과 인진호
두가지로 유통이 되는데, 사실 이게 정말 사철쑥인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국내에서는 한인진이라는 약초가 있는데, 이게 사철쑥이 아닌
더위지기라는 식물을 썰어놓으면 구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국산과 중국산 인진쑥
국산은 인진쑥이 대부분 대공과 같이 섞여서 유통되지만
중국의 경우는 잎만을 채취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내로 수입되는 중국산 인진쑥의 경우는 좀 더 어린 인진쑥을
사용하기에 대공이 국산보다는 적다는게 장점이라면 장점입니다.
예전에는 면인진이라고 해서 인진쑥만의 잎만 수입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카드뮴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면서, 현재 면인진은 통관이 되질 않습니다.
인진쑥과 더위지기의 효능차이
인진쑥은 보통 간세포 보호효과와 독성물질의 해독작용이 밝혀져있지만
더위지기는 간세포 보호효과는 없으며, 담즙분비만 촉진하는 것으로
효능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국산 인진쑥이 정말 기원식물에 맞는 사철쑥이 아닐 가능성이 높기에
가급적이면 헛개열매와 같이 사용하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쑥종류의 감별
사실 우리가 쑥이라고 부르는 종류는
실제 재배를 하거나 혹은 식물분류학을 전공하지 않고는
구별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다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쑥과 인진쑥은 그나마
시중에서 구별이 되어 유통이 되고 있기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약초야 놀자 > 약초감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약초감별 - 자단향 (0) | 2020.06.03 |
---|---|
[약초세상]약초감별 - 일당귀 (0) | 2020.05.29 |
[약초세상]약초감별 - 인삼 (0) | 2020.05.22 |
[약초세상]약초감별 - 익모초 (0) | 2020.05.18 |
[약초세상]약초감별 - 음양곽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