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임상에서 비만환자를 보다 보면

각각 다른 목적을 갖고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고도비만으로 각종 성인병을 이미 동반한 상태에서 병원을 찾는 경우도 많지만

겉으로 보기에 그렇게 비만이 아님에도 팔뚝, 허벅지, 복부 등

특정부위의 부분비만이 해결되지 않아 찾는 경우들도 점점 그 수가 늘고 있다.

물론 우리 몸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

특정부위만 약간 통통한 것은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부분비만들은 흔히 체형의 변화를 동반한다.

이렇듯 부분비만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체형의 유형은

상체비만 거북이형, 복부비만 캥거루형, 하체비만 개미형,

그리고 이미 전신비만으로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

거미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거북이형 체형은

청소년과 직장인 층에서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루 종일 목을 앞으로 쭉 뺀 채 스마트폰을 잡고 있는다던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경우 우리 몸은 점점 구부정해지고

목은 앞으로 나오면서 목이나 어깨, 팔뚝 등 상체에 주로 살이 찌게 된다.

이렇게 체형이 굳어지게 되면 만성 두통, 어깨와 목의 통증이 흔하게 나타나게 된다.

하이힐을 많이 신는 직장여성에게는 캥거루형 체형이 흔하게 보인다.

요추가 앞쪽으로 전만되면서 배를 앞으로 내밀고 있는 체형으로

요통뿐 아니라 생리통, 변비 등도 동반이 된다.

이런 경우에는 유독 복부에 체지방이 쌓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거북이형 체형과 캥거루형 체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몸통부분은 비만해지고 팔다리는 오히려 가는 체형을 거미형으로 분류한다.

좀 더 비만이 진행된 상태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내장지방이나 성인병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미형 체형은

유독 하체가 튼실하고 잘 붓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젊을 때 허벅지부위가 튼실한 것은 오히려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근육이 빠져나가면서 하체가 약화되는 경우가 많은 까닭이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주로 체지방의 축적이 많은 경우이면서 골반의 불균형이 같이 있는 경우이다.

허벅지의 굵기가 근육 때문이 아니라 체형의 불균형으로 인한 경우라면

올바른 치료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거북이형

캥거루형

거미형

개미형

뒷목통증, 두통, 어깨통증, 불면

요통, 변비, 생리통

내장비만, 고혈압, 성인병,

고지혈증, 심혈관계, 당뇨

하체부종, 하지정맥류,

골반통

목이 앞으로 쭉 나옴.

목, 어깨, 팔뚝 등 상체에

살이 많음

배 부분 살이 많고

엉덩이가 뒤로 튀어나옴

몸통 부위에

집중적으로 살이 찜.

엉덩이와 허벅지가

유난히 뚱뚱함.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올바른 진단이며 건강해지는 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비만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은

체력저하가 아니라 통증이 사라지며 가벼워지는 몸인 것이다.

체형의 문제는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

그리고 일상 생활습관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작은 생활습관부터 조금씩 개선하려는 노력과

우리 몸의 균형을 맞춰나가기 위한 꾸준한

그리고 올바른 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 송미연 교수의 한방 운동보감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