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필자는 가끔 학회 여러분과 같이 식물탐사여행을 다니곤 한다.

올 초여름도 생태분류학의 원로인 전의식 선생님,

박용석 총무님 등 여러분과 같이 동강 일원을 돌아다니면서

특히 깽깽이 풀(Jeffersonia dubia)의 열매를 보고 돌아오면서

차안에서 왜 깽깽이라고 식물학자들이 명명하였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 대화하는 중에

전의식 선생님은

“일본 문헌 중에는 일본 군함이 항해 중에 이 식물을 발견하였다고 하여

그 배의 이름을 따서 용전초(龍田草)라고도 기록하였으나,

깽깽이라고 불려진 책은 없으며 우리나라 초기학자들이 대개

자생지역의 유래나 방언을 기초로 명명하였으나,

그 기록 내용에 대한 설명이 없는바 아마도 후학들이 해금(奚琴)의 음색을 따서

깽깽이 풀이라고 이름 지은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해금의 오동나무로 만든 둥근 머리 형태와 줄 모양이

모황련(毛黃連)의 열매와 줄기 형태가 유사하여 해금의 음을 따서

깽깽이 풀이라고 불렀을 가능이 높다는 것이다.

이 유래에 대한 흥미를 느껴 집에 돌아와 여러 책을 찾아보았다.

원래 해금(奚琴)의 해(奚)는 중국의 열하(熱河)지역으로

1955년 열하성과 다른 성이 합한 동북부 지역으로

옛날에는 해족(奚族)이 많이 살았으며,

그들이 주로 즐겨 사용하였던 악기란 뜻이며,

금(琴)이란 거문고와 같이 줄로 타는 악기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소수민족이 속악(俗樂)에 쓰던 악기였지만

해금은 다른 어떤 악기보다 8가지 음색을 나타내는 훌륭한 악기로

관악기와 현악기 사이에 음의 균형을 잡아주는

국악에서는 피리, 대금과 같이 빼놓을 수 없는 악기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들어와 국악과 더불어 대중화된 악기가 되었다.

이 악기는 오래 된 큰대나무의 밑뿌리가 해 묶고 마디가 촘촘한

오반죽(五班竹)을 재료로 하여 몸통을 만들고 몸통 끝에는

오동나무로 둥굴게 울림통을 만들어 붙이고 그 위에 두 가닥의 줄을 연결하여 놓고

말총으로 만든 활줄을 서로 안 줄과 바깥 줄을 사이에 넣고 문질러 소리를 내는데,

그 소리의 음색이 깡깡이 또는 깽깽이로 들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악기의 울림통과 줄 모양이

곧 깽깽이풀의 열매와 줄 모양이 거의 닮았다는 것이다.

1955년에 만든 조선식물명집을 보면,

그 때 원로식물학자들이 이 약을 우리나라에서는 토황련이라고도 불렀던 모양이다.

지금은 잔뿌리가 많다고 하여 한의계에서는 모황련(毛黃連)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향약집성방이나 동의보감, 방약합편에는 기록이 없으며,

申佶求 선생의 申氏本草學(1973년 발행)에는 이 약을 常黃連(보통황련)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기록에는 잔뿌리가 많다고 하여 한국에서는 毛黃連이라 쓴다고 하였고,

중국에서는 조선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하여 鮮黃連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이 약은 황련과는 식물학적으로 과가 다른 약이지만,

근래에 황련의 주성분인 Berberine 이란 성분이 들어 있는 것이 확인 되어

황련대용으로 쓰고 있지만 효능은 비교적 약하다.

주로 열과 염증을 치료하는 약으로

청열(淸熱), 명목(明目), 이질(痢疾), 설사(泄瀉)에 이용한다.

그런데 이 식물의 열매는 골돌(蓇葖;裂果의 하나)과에 속하는 넓은 타원형이며,

부리 같은 부속물이 있고 한쪽으로 갈라져서 열리는데 씨는 타원형의 검정색을 띠며,

광택이 있는데 그 밑에는 작은 받침 형태의 부속물이 한쪽으로 붙어 있는데

개미들이 이 씨앗을 물고가 그 부속물을 먹고 버리기 때문에 이 식물이 다른 곳에서 번식한다는 것이다.

이 식물은 중부 이북에 많이 자생하며 이른 봄에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핀다.

관상가치가 높아 일반인들이 마구 채취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강병수(동국대 한의대 명예교수·본초학)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황련]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장부는 심, 간, 위, 대장(心, 肝, 胃, 大腸)입니다.

약리작용

1. 항균작용 :이질균, 결핵균, 대장균, 녹농균, 뇌막염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2. 해열, 흥분진정작용

3. 근육이완, 항염증작용

4. 혈관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5. 국부마취작용, 이뇨작용, 지사작용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

①. 습열중조(濕熱中阻): 완복비만(脘腹痞滿)-명치아래부위가 그득한 느낌

②. 습열사리(濕熱瀉痢): 설사, 대변 썩는 내, 감염성 설사

2. 청열사열(淸熱瀉熱):혀 바늘 돋는 데 <번열, 불면, 충열(심화로 인한)> , 구토(위화로 인하여)

①. 심경실화(心經實火): 번열, 혓바늘, 스트레스

②. 위화상염(胃火上炎): 화로 인한 갈증( + 지모, 천화분)

③. 간화범위(肝火犯胃): 신물이 올라오거나, 신트림을 하는 경우

위산과다인 경우(+오수유)

소화성궤양(+감초)

④. 혈열망행(血熱妄行): 토혈, 코피를 지혈

3. 사화해독(瀉火解毒): 고열로 인한 가슴답답증(+황금, 치자)

4. 제감안회(除疳安蛔): 회충으로 인해 배가 불러오는 경우

 

용량: 1.5-10g

 

주의사항

맛이 매우 쓰고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오래먹을경우 소화기계통에 영향을 줘서

소화관련 기능을 떨어뜨릴수 있음

 

배합예

1. +오수유(吳茱萸): 가슴과 옆구리 결림, 신물을 토하는 경우

2. +육계(肉桂): 불면증

3. +목향(木香): 이급후중(裏急後重)-대변이 급하지만 막상 화장실 가면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

4. +건강(干姜):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p.s: 황련을 끓인 후 그 약액을 증류해서 눈에 심한 염증에 안약으로 사용하기도 함.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으로 활짝 열려 있어

하나의 불완정한 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지세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다.

총면적 중 산지가 56%, 구릉이 24%,

평원 호구(湖區)가 20%를 차지하고 있다.

서북에서 서남으로는 해발이 1000m 이상으로

대파산(大巴山)의 동쪽 주봉(主峯)인 신농정(神農頂)은

해발 3105m로 ʻ화중제일고봉(華中第一高峰)ˮ이다.

동북에서 동남은 동백산(桐柏山), 대별산(大別山), 구관산(九官山),

막부산(幕阜山) 등으로 구성된 해발 1000m 이하의 저산구릉이다.

지세의 기복이 심하지 않고 언덕간의 골이 넓다.

중간에는 평탄하고 부유한 강한평원(江漢平原)이 자리하고 있고,

하천이 그물망처럼 짜여 있고 호수가 밀집하고 있어

배를 대는데 편리할 뿐 아니라 관개(灌漑)에도 유리하다.

본 성은 중위도(中緯度)지대에 위치,아열대계절풍기후에 속한다.

사계절이 분명하고 봄은 흐리고 비가 오며 기온의 승강이 극명하다.

초여름에 강우량이 집중되어 있고 습도가 높으며 한여름엔 무덥다.

가을에 호북성의 동쪽과 강한평원(江漢平原)은 하늘이 높고 공기가 맑지만,

호북성 서쪽의 산지는 비가 계속 내린다 겨울은 건조하고 한랭하다.

연평균기온은 15~17℃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2~4℃,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7~29℃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200~2200시간이고,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4800~5700℃가 된다.

무상기(無霜期)는 남쪽이 길고 북쪽이 짧다.

북쪽은 230일 정도이고, 강한평원(江漢平原)은 250~270일,

삼협(三峽) 하곡(河谷)은 300일 이상이다.

연강수량은 800~2000㎜이다.

토양은 주로 홍황양(紅黃壤)과 황종양(黃棕壤)의

두가지 지대성 토양과 조토(潮土),석회토(石灰土),

수도토(水稻土)및 일부 자색토(紫色土)등이 있다.

식생유형은 남에서 북으로 가는 과도기적 특징이 뚜렷하여

아열대침엽림과 아열대낙엽활엽-상록활엽의 혼교림 및 상록활엽림 등이 있다.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호북성(湖北省)의 약용 식물은 3354종, 약용동물은 524종,

광물약은 61종으로 총 3939종의 약재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 양식하는 , 약재는70종이다.

연간재배면적은 12만 무(亩)이고 연간 생산량은 400만kg,

수매약재는 400여종에 연간 수매량은 2500만kg이다.

 

주산품종

복령(茯苓) : 주산지는 나전(羅田), 영산(英山), 마성(麻城) 등의 현(县)으로

호북성(湖北省)은 복령의 명산지 중의 하나이다.

품질이 견실하고 색이 희고 고운 것으로 국내외에 알려져 있다.

50년대에는 생산량이 전국의 반을 차지하였고

수출량도 꾸준히 전국 순위의 앞쪽을 차지하고 있다.

 

황련(黃連) : 이천(利川), 은시(恩施), 선은(宣恩), 함풍(咸豊), 파동(巴東),

죽계(竹溪), 죽산(竹山),방현(房县) 등의 현(县), 시(市)와

신농가림구(神農架林區)가 주산지이다.

살지고 견실하며 노란색으로 형태가 닭발처럼 생겼다 하여

오래도록 명성을 얻어 오고 있다.

호북성(湖北省)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25% 이상으로 2위를 차지한다.

 

후박(厚朴) : 주산지는 은시(恩施), 건시(建始), 파동(巴東), 선은(宣恩),

이천(利川), 학봉(鶴峯) 등의 현(县)과 시이다.

호북성은 전국의 주산지 중의 하나로 상품은 껍질이 두텁고

자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향이 짙어 ʻ자유후박(紫油厚朴)ˮ 이라는

멋진 별칭으로 국내외에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두충(杜沖) : 주산지는 운서(鄖西), 방현(房县), 은시(恩施), 이천(利川),

흥산(興山), 장양(長阳),통성(通城), 영산(英山) 등의 현(县)과 시이다.

품질이 상등급인 것으로 국내외에 알려져 있다.

연간 생산량이 전국의 20%를 차지 1,2위를 점하고 있다.

 

독활(獨活) : 주산지는 장양(長阳), 파동(巴東), 오봉(五峯), 흥산(興山), 학봉(鶴峯),

죽산(竹山),죽계(竹溪), 방현(房县) 등의 현(县)과 신농가림구(神農架林區)이다.

본 성의 생산량이 전국의 40%로 1위를 차지한다. 전국에 판매되고 수출되고 있다.

 

목과(木瓜) : 주산지는 장양(長阳), 파동(巴東), 낭양(囊阳),

나전(羅田), 형문(荊門) 등의 현(县)과 시이다.

장양(長阳)의 ʻ자구목과(資丘木瓜)ˮ는 명산지 약재이다.

전국 생산량의 20%로 2위를 점하고 있다.

 

오공(蜈蚣) : 호북성 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수주(隨州), 낭양(囊阳), 안육(安陸), 경산(京山),

종상(鐘祥), 의창(宜昌), 당양(當阳), 운현(鄖县) 등의 시와 현(县)이다.

품질이 우수하여ʻ금두오공(金頭蜈蚣)ˮ이라 불리며

국내외로 명성을 얻은지 오래되었다.

호북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70%로 1위를 점하고 있다.

 

호북성(湖北省)의 주산약재는 위에서 상술한 품종 이외에도

당삼(党參), 당귀(當归), 속단(續斷),길경(桔梗), 창출(蒼朮),

백출(白朮), 사간(射干), 반하(半夏), 향부자(香附子), 현삼(玄參),

시호(柴胡),은이(銀耳), 천마(天麻), 목단피(牧丹皮), 호북패모(湖北貝母),

호북맥동(湖北麥冬), 판람근(板藍根),우방자(牛蒡子), 금은화(金銀花),

신이(辛夷), 사향(麝香), 전갈(全蝎), 귀판(龜板), 별갑(鱉甲)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운귀고원(雲貴高原)의 서쪽으로 서북으로는 청장고원(靑藏高原)과 닿아 있다.

지세(地勢)는 서북(西北)에서 동남(東南)으로 계단처럼 경사가 져 있다.

서북부의 매리설산(梅里雪山)의

잡격박봉(卡格博峰. 카거보 봉)이 해발 6740m이고,

동남부의 하구현(河口县)은 해발 76.4m이다.

원강(元江)의 골짜기를 경계로 성을 양대(兩大)

지모유형구(地貌類型區)로 나누는데,

서부는 횡단산맥종곡구(橫斷山脈縱谷區),

동부는 전동고원구(滇东高原區)가 된다.

전체 성의 지모(地貌)유형은 복잡하다.

고원(高原)과 산지(山地), 파자(坝子. 산간분지)와

하곡(河谷)이 서로 교차해 분포하고 있다.

산지가 전체 성면적의 84%를 차지하고 고원이 10%,

파자(垻子)와 하곡(河谷)이 6%를 차지하고 있다.

본 성은 위도가 낮고 해발이 높은 지역으로

일광이 풍부하고 사계절의 온도 차가 적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계절풍 영향을 받아 강수량이 풍부하고

건습의 구분이 분명하다 입체기후 차이가 분명하여

ʻ일산분사계(一山分四季. 하나의 산에 사계가 분별되고)

십리부동천(十里不同天. 십리를 가면 하늘이 같지 않다.)ˮ 라는 설이 있었다.

연평균 기온은 5~24℃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7~22℃,

가장 더운 7월의 기온이 16~26℃이고, 연간일조시간은 2100~2300시간,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 686~8710℃, 무상기(無霜期)는 200~360일이다.

연강수량은 500~2250㎜이고 대개 5~10월에 집중되어 있다.

토양유형은 16종으로 주로 홍양(紅壤)과 황양(黃壤)이다.

식생은 열대우림(熱帶雨林), 열대계우림(熱帶季雨林),

아열대계절풍상록활엽림(亞熱帶季節風常綠闊葉林),

아열대침엽활엽혼교림(亞熱帶針葉闊葉混交林),

상록침엽활엽혼교림(常綠針葉闊葉混交林),

고산아고산침엽림(高山亞高山針葉林),

고산관총(高山灌叢), 초전(草甸)이다.

 

[운남성 지역구분]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가 114여종이다.

그 중 전통 품종이 30여종, 인종(引種)한 것이 47종, 야생의 변종이 37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이 7.6만무(亩), 연간 생산량이 200만kg이다.

수매약재는 400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000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삼칠(三七) : 주산지는 문산(文山) 주이고, 홍하(紅河), 옥계(玉溪), 곡정(曲靖),

대리(大理), 초웅(楚雄), 곤명(昆明) 등지의 지역과 주(州), 시(市)에서도 재배된다.

역사도 길고 품질도 뛰어나 국내외로 명성이 높다.

본성의 생산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인(砂仁) : 주산지는 경홍(서쌍판납)이다. 문산(文山), 홍하(紅河),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된다.

전국의 60% 정도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귀(当归) : 주산지는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난평(蘭坪),

유서(維西), 학경(鶴慶), 검천(劍川) 등의 현(县)이다.

상품명은 운귀(雲归)라고 하는데,

크고 단단하며 향이 짙고 기름진 것으로 유명하다.

대개 수출되고 있다.

 

운목향(雲木香) : 명산지약재다.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보산(保山),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가 주산지이다.

초웅(楚雄), 곡정(曲靖),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州)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그 줄기가 균일하고 견고하며 묵직하다.

기름지고 향이 좋으며 속이 비어 있지 않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1,2 위를 차지한다.

 

황련(黃連) : 주로 노강주(怒江州)및 등충현(騰冲县)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유서(維西),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지에서도 소량 재배하고 있다.

단단하고 색이 노랗고 쓰며 안에 국화심(菊花心) 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령(茯苓) : ʻ운령(雲苓)ˮ이라고도 한다.

야생은 여강(麗江), 유서(維西), 중전(中甸), 복공(福貢), 운룡(雲龍),

검천(劍川), 등충(騰冲), 녹권(祿勸), 무정(武定), 부민(富民),

선위(宣威)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고,

재배종은 주로 초웅(楚雄), 곤명(昆明), 곡정(曲靖)지역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유서(維西), 여강(麗江)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상품은 무게가 나가고 단단하며 크다.

둥글고 매끈하며 갈라져 있지 않고 단절면이 백색이고

매끄러워 전국에 공급되고 수출도 되고 있다.

 

천마(天麻) : 이량(彝良), 진웅(鎭雄), 대관(大關), 위신(威信), 영선(永善),

여강(麗江), 유서(維西), 운룡(雲龍), 복공(福貢), 공산(貢山)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상품이 크고 견실하며 색이 황백색으로 밝게 윤기가 나 ʻ명천마(明天麻)ˮ 라고 한다.

 

석곡(石斛) : 문산(文山),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홍하(紅河), 임창(臨滄),

곡정(曲靖) 등지가 주산지로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50% 정도를 차지,

1위를 점유하고 있다.

 

가자(訶子) : 보산(保山),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가 주산지이다.

상품은 단단하고 묵직하며 육질이 두툼하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80%를 차지한다.

 

반하(半夏) : 야생자원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주로 소통(昭通), 곡정(曲靖), 곤명(昆明), 문산(文山)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은 구슬처럼 동글동글하고 단단하며

전분의 가루성분이 풍부하고 치밀하며 맛이 신랄(辛辣)하다.

 

진교(秦艽) : 여강(麗江), 적경(迪慶), 대리(大理), 노강(怒江) 등에 분포하고 있다.

뿌리가 굵고 길며 육질이 두텁고 단단하며 색은 황색으로 품질이 우수하다.

 

저령(猪苓) : 여강(麗江), 유서(維西), 영랑(寧蒗), 이원(洱源), 검천(劍川),

운룡(雲龍), 난평(蘭坪), 공산(貢山), 진웅(鎭雄) 등의 현(县)에 분포하고 있다.

크고 단단하며 껍질은 검은색이고 안의 살은 흰색이다.

필발(蓽菝) : 영강(盈江), 서려(瑞麗), 로서(潞西), 양하(梁河) 등의 현(县)과

사모(思茅), 경홍(서쌍판납), 임창(臨滄), 노강(怒江) 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의 과혜(果橞)는 비대하고 단단하며 꽉 차있다.

흑갈색으로 단면은 약간 붉다.

운남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70%이상을 차지한다.

 

사향(麝香) : 적경(迪慶), 여강(麗江), 노강(怒江), 소통(昭通), 초웅(楚雄),

보산(保山), 곡정(曲靖),등의 지역과 주(州)에 분포하고 있다.

 

동충하초(冬蟲夏草) : 여강(麗江), 중전(中甸), 덕흠(德欽), 공산(貢山) 등에 분포한다.

상품은 건조하고 풍만하고 살찌고 단면은 흰색이고

균좌(菌座)가 작고 짧으며 검은색의 두꺼운 껍질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수오(何首烏) : 옥계(玉溪), 홍하(紅河), 문산(文山), 초웅(楚雄), 곤명(昆明),

소통(昭通) 등의 지역과 주,시에 분포하고 있다.

크기가 크고 단단하며 전분가루 성분이 확실하다.

표피는 흑갈색이고 안의 색깔은 황백색이거나 홍종색(紅棕色)이다.

운타문(雲朶紋)이 있다.

 

용담(龍膽) : 보산(保山), 문산(文山), 초웅(楚雄), 소통(昭通), 곡정(曲靖),

임창(臨滄) 등의 지역과 주에 분포하고

굵고 살지며 색은 노랗고 윤기가 난다.맛이 아주 쓰다.

 

운남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아차(兒茶), 호황련(胡黃連), 천산갑(穿山甲), 초과(草果)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지형이 동서로 크게 나뉜다.

용문산(龍門山)과 대량산(大凉山)을 경계로

동부는 사천분지(四天盆地),

서부는 천서산지고원(川西山地高原)이 된다.

 

성 전체에서 평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2.6%,

구릉 18.6%, 산지 50.3%, 고원이 28.5%이다.

지형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후 유형도 다양하다.

동부의 분지(盆地)는 아열대동남 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이르며 여름엔 덥고 무상기(無霜期)가 길다.

 

강수량이 풍부하고 습도가 높으며 운무(雲霧)가 많고 일조량이 적다.

가을엔 대개 비가 계속 내린다.

 

장강(長江) 연안의 기온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이는 분지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내려간다.

연평균기온은12~18℃로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4500~5000℃이상,

무상기(無霜期)는 220~300 일이며 연강수량은1000~1400㎜ 이다.

사천성의 서남부를 횡단하는 산지는

아열대서남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이 시원하다.

봄가을은 온화하고 건계(乾季)와 습계(濕季)가 분명하다.

 

연강수량은 1000㎜ 정도로 90%이상이

6~10월에 집중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12~20℃로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 3600~7000℃, 무상기(無霜期)는 220~330일이다.

천서고원(川西高原)의 고산지역은

남쪽에서 북으로 가면서 난온대-온대-한온대-아한대 등의

기후유형으로 연계, 수직적인 분대(分帶)가 뚜렷하다.

한랭건조하고 일조량이 충족하며 태양복사열이 매우 강렬하다.

 

겨울이 길고 여름은 서늘하다.

연평균기온은 2~8℃,

연간일조시간은 2200시간 이상이며

연강수량은 600~800㎜이다.

 

토양은 황양(黃壤)과 아열대 홍양(紅壤), 종양(棕壤),

자색토(紫色土), 갈색토(褐色土),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고원초전토(高原草甸土) 등이 있다.

 

식생은 아열대 상록활엽림과 상록활엽림,침활엽혼교림,

침엽림, 고산관총(高山灌叢) 등이 있다.

[사천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사천성(四川省)의 약용식물이 3962종,

약용동물이 344종, 광물약이 44종으로 총 4350종의 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사천성(四川省)은 전국 최대 약재생산지역이다.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20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은 31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1500만kg이다.

수매 약재는 500여종이고 연간 수매량은4600만kg이다.

 

주산품종

동충하초(冬蟲夏草) : 석거(石渠), 백옥(白玉), 색달(色達), 덕격(德格), 이당(理塘),

파당(巴塘),소금(小金), 금천(金川), 이현(理县) 등의 현(县)에 분포한다.

사천산(四川産)의 것은

충체(蟲體)가 굵고 풍만하며 겉은 황색으로 윤기가 나고 안쪽은 백색이다.

자좌(子座)가 짧고 냄새가 깨끗하여 국내외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30% 정도로 동충하초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황련(黃連) : ʻ미련(味連)ˮ의 주산지는 중경의 석주현(石柱县)으로

이미 300여년의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련(雅連)ˮ의 주산지는 아미(峨嵋), 홍아(洪雅), 아변(峨邊), 뇌파(雷波)등의 현(县)이다.

사천성의 수매량은 전국의 60%를 점유 전국 1위이다.

 

천궁(川芎) : 주산지는 도강언시(都江堰市), 팽주(彭州), 신도(新都) 등의 현(县)이다.

생산되는 천궁은 ​크기가 크고 풍만하며 재질이 견실하고,

유성(油性)이 많고 향이 짙다.

특히 도강언시(都江堰市)의 마조사(馬祖寺) 천궁이 가장 유명하다.

사천성의 연간 생산량이 전국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천패모(川貝母) : 송패(松貝)와 청패(靑貝)는 아패(阿坝), 감자(甘孜) 주에서

주로 나고 노패(爐貝)는 감자주(甘孜州)의 북부와 소금(小金),노산(蘆山)등의 현에서 주로 난다.

천패모의 알이 균일하고 단단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하다.

색이 희고 광택이 난다.

야생자원이 감소하고 있어 이미 인공재배를 시험, 생산하고 있다.

 

부자(附子) : 주산지는 강유현(江油县)이다.

부편(附片)의 가공이 정밀하고,가공된 부편(附片)의 크기가 크고

균일하며 단면에 세로무늬의 화문(花紋)이 있다.

반투명상태로 기름져 광택이 나며 부드럽게 잘 부스러진다.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사천성이 전국의 가장 큰 생산지이다.

 

백지(白芷) : 주산지는 수녕시(遂寧市)로

이미600년의 종식(種植)역사를 가지고 있다.

노두 부분은 네모지고 뿌리부분은 둥글다.

크고 견실하며 회피는 황백색을 띈다.

안쪽은 분백색(粉白色)을 띄고 단면에는

종색(棕色) 유점(油點)이 밀집해 있어

국화문(菊花紋) 처럼 형성되어 있다.

향과 맛이 매우 짙다.

 

맥문동(麥門冬) : 주산지는 면양시(綿阳市)와 삼태현(三台县)이다.

역사가 유구하여 ʻ면맥동(綿麥冬)ˮ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크고 알이 풍만하며 황백색으로 단면은 백색이 스며 있고 윤기가 난다.

사천성의 연간생산량은 전국의20%이상으로 2위를 점하고 있다.

 

백작약(白芍藥) : 주산지는 중강(中江), 거현(渠县), 광안(廣安),

중경의 동량(銅梁) 등의 현(县)이다.

특히 중강(中江)의 백작약은 굵고 살지며 재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나간다.

표면이 분홍색으로 매끈하고 단면에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황백이 적절하고 내심(內心)은 백색을 띄고 있어

ʻ은심백작(銀心白芍)ˮ이라고 불린다.

 

홍화(紅花) : ʻ천홍화(川紅花)ˮ 라고 불린다.

서한(西漢)시대부터 종식(種植) 했었다.

주산지는 간양(简阳), 평창(平昌) 및 자양(資阳), 안악(安岳),

의롱(儀隴) 영산(營山), 선한(宣漢),남강(南江), 달현(達县),

통강(通江), 수녕(遂寧), 중경의 점강(墊江) 등의 현과 시이다.

꽃이 길고 색이 붉고 선명하며 부드러운 것이 주요 특징이다.

천마(天麻) : 전체 성의 100개에 가까운 현에 분포하거나 재배하고 있다.

분지 주위 각 현에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크기가 크고 황백색에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이 반투명하다.

두충(杜沖) : 주산지는 광원(廣元), 왕창(旺蒼), 청천(靑川), 북천(北川), 평무(平武),

만원(萬源),통강(通江), 고란(古蘭),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충현(忠县), 석주(石柱),유양(酉阳), 검강(黔江) 등의 현(县)이다.

사천산 두충은 껍질이 두텁고 크기가 크며

안쪽 표면은 암자색(暗紫色)이고,단면에 끈끈한 섬유실이 많다.

 

후박(厚朴) : 주산지는 분지 주변의 산지이다. 만원(萬源), 통강(通江),

선한(宣漢), 개현(開县),무산(巫山), 고란(古蘭), 노산(蘆山), 평무(平武),

도강언(都江堰), 팽주(彭州),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봉절(奉節),

운양(雲阳) 등의 현과 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다.

천박(川朴)은 가공이 정밀하다.

내피(內皮)는 자홍색(紫紅色)으로 향기가 짙고

손톱으로 그어 보면 기름성분이 스며 나와

ʻ자유후박(紫油厚朴)ˮ이라고도 불린다.

 

황백(黃柏) : 천황백(川黃柏)이라고도 불린다.

분지 주변의 산지에 분포하고 있으며,주산지는아미(峨嵋), 홍아(洪雅),

도강언(都江堰), 광원(廣元), 왕창(旺蒼), 남강(南江),고란(古蘭),

중경의 무계(巫溪), 개현(開县), 남천(南川), 무륭(武隆), 등의 현과 시이다.

 

강활(羌活) : 주산지는 소금(小金), 흑수(黑水), 금천(金川), 송반(松潘),

단파(短巴), 도부(道孚),감자(甘孜), 덕격(德格) 등의 현(县)이다.

굵고 실하며 환절(環節)이 누에처럼 촘촘하고 단면에는

주사점(朱砂點)이 많으며 향이 짙어 잠강(蠶羌)이라고도 불린다.

 

사천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사향(麝香), 천우슬(川牛膝)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아마도 한약이 간에 나쁘다는 루머는 국내용인 것 같습니다.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는 한약재 종류가 제한적일뿐더러

간 손상과 관련된 한약재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물론 안전한 투약이 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겠고,

보다 세심한 투약지도가 되어야겠지만 약의 안전성에 대해서 상당히 민감한

미국에서조차도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물질로 지목된 한약재는 드뭅니다.

 

 

2005년 9월 DILIN(약인성간손상네트워크)에서는 총 96례를 정교하게 분석했는데,

원인물질 1위는 항생제(26례)였으며, 그 다음이 항경련제(10례), 항결핵제(6례),

타이레놀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5례), 마취제(4례) 순으로

92.7%를 차지했으며, 보완대체의료는 7.3%였습니다.

 

 

한약재 중에 간독성을 보이는 약재는

백굴채, 부자, 감수, 대극, 원화, 주사, 시호, 황련, 황금, 대황. 마황, 백선,

포황, 강반하, 상기생, 황단, 창이자, 천련자가 알려져 있습니다.

 

 

백굴채는 특정 성분이 간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았지만,

면역 매개 손상으로 추정을 하고 있으며,

10여명에게 급성 간손상을 유발시킨 증례보고가 있습니다.

 

대황은 anthraquinone이 함유되어 있고, 세노사이드 성분이 있습니다.

p.s: anthraquinone(안트라퀴논): 안드세라센에서 유도되는 퀴논.

식물이 만드는 안트라퀴논계 색소에는 일찍이 염료로 사용해온 꼭두서니과의 알리자린형과,

사하제·완하제로 사용했던 콩과·여귀과·갈매나무과에서 볼 수 있는 에모딘(emodin)형이 있습니다.

생약에서 사화,완화작용을 나타내는 안트라퀴논은 에모딘형으로

세노사이드와 같이 사하작용(설사를 유발하는 작용)을 나타냅니다.)

 

부자아코니틴과 클로로포름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창이자는 AA2라는 성분을 0.02% 함유하고 있죠.

 

주사는 수은이라는 중금속이 있으며, 중금속은 혈액을 따라 이동하다가

표적 장기인 간, 콩팥, 뇌, 뼈 등에 붙어 손상을 야기합니다.

 

황금의 SCD(skullcap diterpenoid)는 간에 저장된 글루타치온이 30% 이하로 고갈될 때만

독성이 발현되는 특징(세포괴사를 촉진)을 갖고 있습니다.

 

황련은 7∼9%의 베르베린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하수오-여기선 적하수오를 의미합니다.-

대황과 같이 anthra quinone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죠.

일부 책에서는 작약 등의 약재도 간독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없었던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때문에 약물유전체연구나 동물실험 외에도

임상에서 보고되는 부작용사례를 중심으로 추적해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황련이라는 약초로 불리는 식물의 종류]

 

 

 

황련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위 사진처럼 약 네가지 정도만

약초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은

국내에서 자생하는

깽깽이풀(일명 호황련)은

황련과는 다른 식물로

약초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이제부터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황련의 원형과 절단모습]

 

 

 

 

 

  

[삼각엽 황련의 원형과 횡단면]

 

 

삼각엽황련의 경우 잎의 모양이 삼각형의

모양을 띄고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는데..

 

실제로 뿌리를 비교해보면

중국황련과 삼각엽황련의 차이는

뿌리에서 나오는 줄기가

매우 길게 차이점입니다.

 

 

 

 

[운련]

 

   

[황련]

 

황련의 경우는 주로 일본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아래 비교사신을 보면

크기와 색의 차이가 나는걸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황련은

중국 사천성에서 나는

황련이 유명해서

 

사천의 이름을 따서

[천황련]이라고 불리는데

대부분 중국황련과 삼각엽황련이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3년이상이 된 뿌리가

국내로 수입되어 유통이 되고 있지만

한때 카드뮴의 기준치가 너무 엄격해지는 바람에

통관에 문제가 있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국내에서 자생하는 깽깽이 풀]

 

국내에서 자생하는 깽깽이 풀은

중국황련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호황련 혹은 모황련 이라는

이름으로 황련을 대신했지만,

 

지금은 과(科)가 전혀 다른 식물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물론 오랫동안 황련대용으로

사용되어온 점을 생각한다면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역시나 독성부분에서는

간수치 상승이 염려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 보여집니다.

 

 

황련은 무엇보다 소염의 역할이 큰데요.

 

가공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황련이 발휘하고자 하는 효능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몸의 윗부분의 염증은 술로 담근후에 볶아서 사용하고

몸의 중간부분(복부)은 생강즙에 담근 후에 볶아서 사용하며

몸의 아랫부분(하복부)의 염증에는 오수유라고 불리는

약초를 달인물에 담궈 볶아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황련은 의약품으로만 허용된 약재이기 때문에

식품으로 사용하실수 없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